brunch

매거진 긴 혼잣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arty noodle Jan 05. 2023

담배

"나 사실 담배 피워."


증명해달라고 하진 않았는데 친구는 굳이 가방을 뒤적거리며 담배를 찾았다. 그럴 필요까진 없었는데 익숙하게 한 대를 뽑아 입에 문 뒤 불을 붙이고 연기를 후우, 천장으로 뿜었다. 그때 우린 아직 중학생이었는데 친구는 나이에 걸맞지 않게, 자연스럽게 담배를 다뤘다. 


"언제부터 피웠어?" 내 질문에 연기를 후 뱉더니, "쫌 됐어" 하고 히- 바보처럼 웃었다. 웃는 얼굴은 분명 내 친구가 맞는데 그 애 손가락 사이의 담배가 너무 낯설어 비현실적인 기분이 들었다. 


학창시절부터 이상하게 내 주변에는 담배를 피우는 친구들이 많았다. 중학교 때 그 친구를 시작으로 고등학교 때 가장 가까웠던 친구도, 대학교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 중에도 담배를 피우는 친구들이 꽤 있었다. 내가 그 애들에게 담배를 부르게 하는 친구인건지 아님 비흡연자인 주제에 헤비스모커 마그네틱이라도 있는 건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는 일이다.


친구들의 영향이었는지 나도 한 번쯤은 담배를 체험해본 적이 있다. 제대로는 아니고 겨우 흉내만 낸 것이나 다름 없어서 '피워봤다'라고 말하기도 애매하다. 대학교 2~3학년 때였나, 술이 진탕 취해서는 친구가 피우고 있는 담배를 빼앗아 "나도 피워볼래!"하고 한 두모금 정도 깊지 않게 마시고 연기를 흘려본 것이다. 


그래서 체험해보니 어땠냐고? 술을 마셔 얼굴에 뻘겋게 열이 오른 데다 김까지 뿜고 있으니 끓는 주전자가 된 것 같다고 생각했다. 아무 맛도 감정도 느끼지 못했다. 호기롭게 시도는 했지만 입에 대는 순간 쫄보 기질이 발동해서 몸을 사린 탓일 거다. 어쨌든 그 허망한 감각에 나는 금새 흥미를 잃었고, 그렇게 술이 취한 와중에도 친구에게 이렇게 재미도 감동도 없는 것을 대체 왜 피우냐고 물었던 게 기억이 난다.


그랬던 주제에 무슨 늦바람인지 요즘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렬하게 담배를 피우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다른 사람들은 금연을 시작하는 마당에 웬 뒷북. 


딱히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다. 그저 두세시간 씩 의자에 앉아 작업을 하며 헛헛한 기분에 밀가루나 설탕 가득한 군것질거리로 손을 뻗는 것도 싫고 그 결과로 살이 찌고 여드름이 나는 것도 싫다. 누가 봐도 쟤가 지금 한숨을 쉬고 있구나 느낄 정도로 맨입으로 깊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도 싫다.


하던 일이 막혀 스트레스가 쌓일 때 그래서 군것질이 하고 싶을 때 또는 바싹하게 추운 겨울밤에 좋은 영화를 보거나 좋은 노래를 들었을 때 그래서 감성을 주체하지 못하고 가슴이 벅차서 어쩔 줄 모를때


그럴 때,


조용히 밖으로 나가 불 붙을 위험 없는 싱싱한 풀들 속으로 들어가서 담배를 피우고 싶다. 


멘솔향이 나는 담배를 입에 물고 손바닥으로 바람을 가려 불을 붙이고 뻐끔, 한 번 깊이 빨아들이며 담배속과 그것을 감싼 종이가 타들어 가는 소리를 듣고 싶다. 턴테이블 위에 LP판을 올릴 때의 잡음 소리 같은 그 기분 좋은 지직거리는 소리와 매캐하지만 상쾌한 담배 냄새가 복잡한 마음과 생각을 조용히 가라앉혀줄 것 같다. 


담배 한 개비를 둘째 손가락과 셋째 손가락 사이에 아슬아슬하지만 단단하게 끼우고, 최대한 머리를 비운 상태로 그 녀석을 태워 없애는 일에만 집중하는 일, 어쩌면 그 행위도 명상의 일종이 되지 않을까? 인센스 스틱에 불을 붙이고 가부좌 틀고 머리를 비우고 자신의 호흡을 바라보는 일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 것 같은데.


모르겠다. 알고 싶다. 담배를 피운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코 끝 너머로 새끼 손톱만한 빠알간 불빛이 타오르고 눈 앞으로 희미한 연기가 아른거리는 풍경을 바라본다는 건. 

매거진의 이전글 왜 쓰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