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경 Dec 03. 2019

혹독한 아홉 수의 신년맞이

예밍아웃

 여느 날과 다름없이 회사에서 일을 하며 열심히 업무 메모를 적고 있는데 잔잔하던 심장이 쿵쾅거리기 시작하고 가슴은 미치도록 답답했다. 빈 공간이 없는 듯한 답답한 몸통 속 크게 뛰는 심장 때문인지 손으로 만져보면 마치 탱탱볼처럼 작은 공 같은 게 뛰어대는 게 느껴질 정도였다. 


또 어떤 날은 가장 편하다고 생각하는 우리 집 침대에 누워있는데 천장이 내려앉는 공포를 느껴 정수리까지 이불을 덮어 눈을 가려야 잠을 잘 수 있었다.  비교적 사람들이 몰리는 출, 퇴근시간대의 거리나 건물 안 등은 뛰다시피 걸어 다니는 게 습관이 되고 자연스러울 수 있는 모든 상황에 온갖 신경이 곤두선채로 두리번거리기도 하였다. 


두 번째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다.


 그 크기와 정도와 빈도수가 다를 뿐 전체 성인 인구의 30% 정도는 한 차례 이상 공황상태를 경험한다고들 한다. 어쩌다 한 번의 경우들이 점차 일상생활을 침범하기 시작하여 회사에서도, 거리를 걷는 와중에도 몇몇 증상 때문에 피곤한 시간을 보내야 한다. 


대학시절까지만 해도 정말 열심히 다니던 교회에 딸처럼 아껴주시는 목사님 게 기도 요청을 드리기도, 기다리던 주말이면 내가 좋아하는 걸 찾아 고집적으로 집중해보기도 (꼭 보편적으로 선한 게 아니더라도), 집 동네 근처 조명은 밝지만 가장 사람이 드문 카페를 찾아다니며 글을 쓰고 책을 보며 시간을 보낸다. 내 핸드폰 진동소리만 들어도 쿵쾅거리는 답답함에 두 손으로 꼭 쥐고 테이블에 내려놓지 못할 때도 있으면서 자연스러운 척 나를 그렇게 훈련했다.


내 증상의 첫 번째 원인은  만성 스트레스다. 그리고 내 증상의 첫 번째 원인을 낳게 한 근본직으로 가장 큰 '영'번째 이유는 나의 지긋지긋한 예민한 성격이다. 내가 나를 갉아먹어가며 가장 힘들게 하는 것 같다. '좋은 게 좋은 거지'라는 '좋게 좋게 생각해'라는 조언들은 내게 조언이 아닌 나와 정반대의 사고를 주입시키는 공격처럼도 느껴졌다.  좋아야 좋은 거지 뭘 좋게 좋게 생각해....


원래부터 '예민이 뭐죠?' 싶은 무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같은 방식인 '좋은 게 좋은 거지'가 너무 자연스럽게 '맞아 좋은 게 좋은 거야' 되는 그런 본디 내겐 없는 우둔함이 천성인 부러운 사람.


뭔가 풀리지 않는 일에 밤 잠을 설쳐가며 고민하고 어느 정도 해결이 될만한 방향이 찾아지기 전까지 끙끙대야 하는 예민한 사람과, 잠시만 다른 생각을 하기만 해도 원래 위치로 돌아오면 이불 뒤집어쓰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무디고 편안한 성격을 소유한 사람의 삶의 질과 가치의 차이는 크다.


예민한 사람은, 또는 예민해본 사람은 안다. 알기에 반성하는 것이 예민한 탓에 주변 사람을 아프게 할 수도 있다는 부분이고, 알기에 자책하는 것이 예민한 탓에 가장 고통받고 깊은 동굴화 되어가는 것이 자기 자신이라는 부분이다. 누군가에겐 해결방법이 치료이기도, 흡연이기도, 술이기도, 셋 모두이기도, 말도 안 되게 본인을 향한 폭력이기도 , 폭언이기도 한여러 가지 생김새의 예민함을 승화시키고자 내가 선택한 방법은 치료, 그리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없도록 나를 틈틈이 다그치는 것이다. 그래도 내가 해결하고 책임져야 할 내 감정이니깐.


'예밍아웃'을 하고 나면 알게 모르게 피곤한 오해를 감당해야 한다. 때로는 타당함과 타당하지 않음, 합리적임과 불합리 적임, 논리와 비논리를 구분 짓는 기준에 대한, 발언에 대한 이유들이 단순히 예민한 성향 탓으로 치부될 때가 많다.


 얼마 전 같은 회사에 동시에 입사했던 동기와 술을 한잔하며 무엇인가에 대해 맞다고 생각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목소리를 내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대화를 한 적 있다. 처음엔 옳고 그른 것에 대한 단순한 구분이 아닐까 했는데 특정 상황을 두고 옳다고 생각하는 것도 글렀다고 생각하는 것도 나의 잣대일 수 있는 것이다. 객관적이거나 확실히 설명이 되는 기준에 대한 질문이었다. 결국 '내 자식에게 같은 일이 생겼을 때 내가 부끄럽지 않게 해 줄 수 있는 조언?이지 않을까'라는 대답으로 대화를 마무리했다. 엄마는 못 그랬으면서 자식이라는 이유로 내 생각을 하나의 해결 방식으로 강요할 순 없을 테니까.


사실 요즘같이 노잼 연말을 보내는 내게 굉장히 중요한 대화이고 질문이었다. 전투력, 공경력 상승한 뾰족한 상태이기에 어쩌면 소중한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는 시기였다. 한번 더 거꾸로 걸어보고 돌아보라는 뜻에서 기어이 쓰리게도 날 더 좋은 모습으로 만들어 2020년으로 보내려나보다.


기대된다. 혹독한 아홉수가 보낼 2020년. 싫은 거는 악착같이 2019년에 다 놓고 가야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