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uly Oct 26. 2022

니트컴퍼니 공부 - NEET 선행연구(질적연구) (2)


Kim Baldry & Lauren Graham & Ariane De Lannoy, 2019. "The agency and resilience of NEET youth and what we can do to support them. Evidence from a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young people in South Africa," SALDRU Working Papers 253, Southern Africa Labour and Development Research Unit, University of Cape Town.



위의 연구는 2018년 11월에서 2020년 3월까지 했었던 “Towards a Basic Package of Support for Young People who are not Employed, in Education or Training (NEET) in South Africa” 프로젝트의 결과이다. 



서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니트 청년들 대상으로 했던 12개의 연구를 분석한 글.  


 국가 통계에 따르면 절반 이상의 젊은 청년들이 소득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같은 연령대에서 절반 정도는 고등학교 졸업 하지 못한다(or 대학을 가지 못한다)  


 15~24세의 청년 중 55.2%의 실업률을 2019년 첫 분기에 보였고, 이 중 33%는 NEET 상태에 있다.   


 남아프리카에 사는 가난한 청년들이 동질적인 집단은 아니지만, 비슷한 형태의 포괄적이고 상호 연관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중에서 10개의 문제로 추려서 논하게 된다.   


   학교 교육, 학교 교육 이후, 취업, 취업을 위한 지원들, 가족과 육아, 재정적 배제, 건강과 안전, 정보와 연결, 교통과 이동, 소속감과 네트워크     


방법


 앞서 이야기 한대로 12개의 연구를 분석한다.  


 각 연구는 다른 그룹의 청년들과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접근하고 있지만, 모든 연구는 청년의 삶에서 마주하는 어려움들, 사회와 공동체에서 어떠한 형태의 도움이 이 청년들에게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논의를 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토론은 Gauteng과 Western Cape에서 이루어졌다.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토론은 도시와 농촌에서 섞여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은 연구 당시 11~34세 사이였다.   


12개의 연구들 


AIDS 시대에 교육과 관련된 의사 결정 (De Lannoy, 2008)

 HIV와 에이즈에 감염된 젊은이들은 교육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는 데 관심이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조사. 연구 결과는 남아프리카의 청년들이 상향(계층) 이동을 위해 교육에 높은 포부를 보였다는 걸 나타냈다.  이 연구는 그러한 열망과 가치가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에 남아프리카의 모든 사람들에게 열린 기회 구조에 대한 믿음에 기초한다는 것 나타냈다. 청년들과 그들의 부양자들은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청년이 올라가는 데 장벽이 있음을 고려하지 않았다.


새로운 아프리카에서의 성장 :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Cape Town의 아동 및 청소년 (Bray et al., 2010)

 이 연구는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케이프 타운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자라는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풍부한 민족지학적인 작업은 조사 데이터의 분석과 함께 가정, 지역 사회, 학교에서 젊은이들의 삶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정보는 빈곤의 지속성과 불평등, 그리고 분리로 인해 참여자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들을 보여준다.              



자유 이후 : 민주적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르트헤이트 이후 세대의 부상 (Newman & De Lannoy, 2014)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소위 '자유롭게 태어남' 세대의 삶이 어떤 것인지 연구하는 장기적이며 민족지학적인 연구. Cape Town 도심 지역에 사는 18~35세 사이의 7명의 젊은이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도시의 일부 가난한 지역에서 젊은이들의 삶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도전과 다른 인구 집단 사이에서 일어나며 지속되고 있는 계층 차이, '새로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라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과 소속감을 찾기 위한 노력들과 과거의 불평등을 바로 잡기 위한 정책, 정치 토론들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청년 문제 : 젊은이들이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 (De Lannoy et al., 2015)

 이 연구는 젊은이들이 지역사회에 직면한 과제를 탐색하고 대략적으로 어떠한 해결책들이 있을 수 있을지에 대해 보여준다. 다양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전국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14~25세 청년 18명과 워크샵을 가졌다. 이 워크샵 결과물은 짦은 출판물로 나왔고 다양한 역할을 하는 청년들에게 행동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가최저임금 실현가능성 조사 (Patel et al., 2016)

 이 연구는 젊은이들의 관점에서 18~25세 연령층에 대한 최저임금이 노동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9개의 포커스 그룹은 18~25세 사이의 153명의 참가자들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은 실업자이거나 저임금 노동을 하고 있었으며, 5개 주에 걸쳐 도시나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교육 수준은 다양했다.            



양육수당 이후 상황분석 (Graham et al., 2017)

 최근 5년간 부모가 양육수당 대상였으나 여러 이유로 상실하면서 양육수당을 받을 수 없게 된 청년들을 대상으로 16건의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참가자는 청년 고용가능성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모집되었다. 인터뷰는 삶의 역사, 가족 배경, 학력, 보조금 지급에서 제외된 경험, 미래에 대한 계획, 서비스에 대한 접근, 양육수당를 받지 않게 된 뒤에 달성한 것 및 직면한 과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이루어졌다.             



행동을 위한 청년 대화 : 청년 지원 기본 패키지를 향하여(Youth Lab &  PII, 2017)

 이 그룹 주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젊은이들이 발전하는 단계 전반에 걸쳐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와 개입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모색이었다. 참여자는 연구원, 개발 실무자, 정부 관료 및 청년이었다.  주요 주제는 건강, 기초교육, 중등교육 및 훈련, 고용, 소득 및 사회보장, 생활여건 및 연결성이었으며, 청년 참여자들이 목소리를 높인 주제들이 이 보고서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다.            



Western Cape 청년들의 살아있는 현실을 풀어본다 (De Lannoy et al., 2018a)

  본 연구는 Western Cape에서 가장 빈곤한 5개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과 청년들의 복지와 삶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11~24세 젊은 남성 25명과 32명의 젊은 여성으로 구성된 10개의 포커스 그룹 토론이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지역사회에서 젊은이들이 직면한 주요 이슈와 서비스 및 지원 구조에 대한 접근성, 그리고 그들의 지역에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에 대한 제안이라는 주제로 토론 하도록 요청하였다.             



중등 교육 이후 청년들의 접근 경험(Graham & Geerars, 2018)

 18세에서 25세 사이의 16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들은 모두 면접 당시 NEET였고, 그들은 학교 교육을 마친 뒤에도 이어서 공부를 하고 싶어했다. 인터뷰의 목적은 그들이 어떤 공부를 선택하는지에 대한 경험과 중등교육 이후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중학교까지가 의무교육이다.)            



남아공 공동체에서 청년의 이행(Graham et al., 2019)

 이 연구는 젊은이들이 미래에 대해 가지고 있는 희망, 꿈, 계획을 확인하고, 20년 전에 실시된 비슷한 연구에서 보고된 것과 비교하기 위해 10개의 포커스 그룹이 85개의 '자유롭게 태어남'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즉, 1994년 이후에 태어나 연구 당시 15세에서 21세 사이의 사람들이다.             



Siyakha 청년 자산 연구 (Graham et al., 2019)

  본 연구는 청년취업가능성 프로그램이 청년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역할을 조사하였다.  청년취업가능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48건의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면접은 프로그램을 마친 후 9~1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을 완료한 후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그리고 이러한 청년들의 삶에 어떤 요인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Raymond Ackerman  Academy Of  Entrepreneurial Development (RAA)가 아카데미 졸업생들이 전 보다 나아지고 지속 가능한 삶을 만드는 데 미치는 영향(Yiannakaris,  2019)

 이 연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이 취업하는데 취약한 것으로 여겨되는 젊은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Western Cap의 Cape Flats에 있는 저소득 지역의 18-30세 사이의 모든 젊은 흑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작가의 이전글 니트컴퍼니 공부 - NEET 선행연구(질적연구)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