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세징 Apr 25. 2024

나는 커서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할까?

인생의 가장 큰 목표를 정해보자

- 내가 정의하는 어른

내 나이 만 27살. 어릴 적 미디어를 통해 27살이란 나이를 보면, 직장을 가지고 치열히 사회생활을 하는 어른을 떠올리곤 했다.

하지만, 막상 그 나이가 된 지금의 나는 나 스스로를 어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법적으로 성인이고, 내가 내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고 있으며 부모님의 경제적 도움에서 벗어나 성실히 경제활동을 하고는 있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사회에서 인정하는 어른이 아닌 인격적으로 성숙한, 내가 내 마음을 다스릴 줄 아는, 사회에 적극적인 기여를 하는 사람이 진정한 어른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가 아직 내적으로 미성숙하고, 가끔은 화/욕심이나기도 하고, 사회에 적극적인 기여를 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기에, 내가 아직 진정한 어른이 되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 어떻게 어른이 될 수 있을까?

하지만 지금의 나에겐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이 남아있기에, 내게 주어진 시간들을 잘 활용한다면 금방 어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나는 어떤 방법을 통해서 내가 어른이 될 수 있을지를 고민했다.


내적으로 미성숙하고, 가끔은 화/욕심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내가 나의 마음을 잘 사용하는 training을 할 것이다.

주변 모든 것들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짐으로써 내적으로 성숙해지고, 또 평상시에 내 마음이 어떤 부정적인 것에 끌릴 때에는 그 끌림을 잘 인지하여 원래의 끌리지 않던 마음으로 돌아가는 연습을 할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매일 다이어리 작성을 하며 아래칸에는 하루 동안 감사를 느꼈던 일들 3가지를 작성할 것이고, 끌림을 인지하는 것에 대해서도 화/욕심에 내가 이겼든/졌든 그 승패를 떠나 다이어리에 그 상황을 작성해 보고, 만약 내가 끌림에 패배했다면 내 자신을 반성하고 고칠 수 있도록 실행해볼 예정이다.


그리고 사회에 적극적인 기여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간 고민을 정말 많이 해오던 문제인데, 최근 멘토링의 교수님으로부터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인생의 가장 큰 목표를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전달하는 것’으로 정하고, 실제 그것을 실현하겠다는 마음을 먹는 것이다.



- 인생의 가장 큰 목표

나는 지금까지의 인생을 살아오며 수많은 행운이 함께했다고 믿고, 또 주변사람들의 도움으로 인하여 지금의 안정적인 위치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내가 받음 도움들을 언젠가 주변에게 나누어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솔직하게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사람들을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없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나 자신이 내 인생의 목표를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전달하는 것’으로 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할 것이다.



- 인생의 가장 큰 목표를 수립하면 얻을 수 있는 것

자신의 인생 목표가 ‘이로움을 전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을 보면 그 누구라도 너무나 막연한 이야기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따라서 나는 나의 최종 목표를 ‘이로움을 전하는 것’으로 두되,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그것을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지를 찾아 긴 인생의 타임라인을 빼곡히 채워 볼 예정이다.


이로움을 전하는 사람이 되려면, 그것도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전하는 사람이 되려면, 우선 나 자신이 인격적으로 훌륭한 실력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인격적인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내 감정을 완벽히 다스리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실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것들 중 제일 잘할 수 있는 것을 발전시켜야 한다.


이처럼 나는 자기 수련을 통해 나를 성장시킴으로 인해 세상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고, 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