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괜찮아. 주식에서 너만 그런게 아니야.

하지만, 계속 그럴 것 같으면 투자하면 안돼...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계산적으로 확률이 크거나 확률에 의한 기댓값이 큰 것을 선택할 것 같잖아.


그럼 다음에서 문제에선 어느 것이 유리한 걸까?

A. 100%로 500만 원
VS
B. 50%로 1,200만 원 50%로 0 원
A는 기대되는 값이 500만 원이고, B는 기대되는 값이 600만 원이다.


한 푼도 못 얻을 상황보다 확실한 500만 원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야. 단순히 기대값이 높은 것을 고르기보다 더 큰돈을 얻을 기회에는 더 큰 위험이 있으니 작아도 확실한 이익을 선택하는 거지. 이것이 기대효용이론의 한 예시야.


그럼 이런 경우는 어때?

A. 100%로 -500만 원
VS
B. 50%로 -1,200만 원 50%로 손실 없음
A의 기댓값은 -500만 원, B의 기댓값은 -600만 원이다.


여기서도 더 큰 위험은 B이라서 A를 선택하는 것이 위의 기대효용이론에 부합하는데, 50%로 확률의 손실 없음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더라는 거야. 즉, 같은 기댓값이라고 해도 수익일 경우에는 작아도 확실한 것을 선택하지만 손실의 경우에는 손해가 커져도 위험을 감수한 더라는 거지.


수치로 정확히 비교를 할 수 있는데도 이런 선택을 하는데, 투자의 실상황에서는 이런 비교 없이 각 상황을 마주하게 될 거야. 그래서 사람마다 비교를 할 심리적인 기준점을 만들게 되는데, 이런 기준은 같은 값이라도 평가를 다르게 만들어.

예를 들어 10만 원에 주식을 산 사람에게는 6만 원은 너무 많이 내려가서 더 떨어질 수 없는 값이지만, 같은 6민원이 관망을 하는 사람에게는 값이 떨어지는 관성이 붙어서 오르기 어려운 값으로 보이는 것 같은 거야. 경제노벨상은 받은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은 이렇게 사람마다 다른 기준을 '준거점'이라고 말해.


준거점 때문에 기존의 경제학의 기대와 달리 개인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를 때 첫 번째 상황처럼 확실하고 적은 수익을 선택하고, 가격이 떨어질 때는 두 번째처럼 위험을 선택한다고 보는 거지.



나만 손해일 때 존버하는 게 아니야.


물론, 존버가 꼭 손해는 아니야. 존버를 해야 2배, 3배의 수익까지도 기다리는 일관성이 될 수도 있어.

하지만, 수익을 얻는 경우가 드문 개미집단에서 이익은 짧고 손해는 길게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생각해봐야 해.


그래서, 세력이 우리 개미를 털려면 일반적인 전망이론의 행동을 이용하겠지?

개미들은 가격이 떨어져서 포기하기보다 가격이 조금 회복해 줄 때 털고 나가게 되어있어. 그런 차트를 만드는 것이 꼭 개미를 터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팔고 싶어지는 자리는 대부분의 개미에게 그 준거점을 만들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해.


  우리가 팔면 오르고 우리가 사면 떨어지는지 건
우연이 아니야.


이런 심리를 알았으니, 우리 심장이 시키는 반대로 하면 수익이 날까? 네가 너를 속이고 그런게 가능할까??


그것보다 우리의 심리를 건드는 그런 자리를 만드는 차트를 찾는 것이 더 효율적일 거야. 어떤 차트가 우리의 심리를 건드는지를 구술할 수 있다면, HTS로 다 찾을 수 있어.

투자를 느낌에 의존하지 마.
매거진의 이전글 지금의 급여로 미래가 안 보여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