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별 Mar 09. 2021

너를 알고 싶다면

우울에는 비 맞은것처럼 젖어들었다. 방임의 유년기였다. 나를 케어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방치된 아이였고 그러기엔 너무 어린 나이였다. 혼자 덩그러니 놓인 집에서 오지 않는 부모와 오지 않는 잠을 기다렸다. 무서움을 참아내가며. 그게 당연한 건 줄 알고 자랐다. 부모가 다투던 원인은 대부분 나였기에 나만 잘하면 되는줄 알았고 혼자서도 뭐든 착착 해내는 아이가 되면 더 이상 싸우지 않을것 같았다. 누가 시킨것도 아닌데 그래야만 할 것 같았다. 감정을 드러내는일은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 사람들이 봤을때는 오로지 사랑스러움을 연기하는 나만 남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연기는 발전했고 진짜와 가짜를 구분할 힘을 잃었다. 지금의 나는 거짓말을 혐오하지만 그때는 밥먹듯 했다. 모두가 다 거짓말이었다. 거짓말이 거짓말을 만들고 또 거짓말이 거짓말을 만드는. 흔한 얘기다.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나는 모두를 속여야했다. 그래도 지금 생각해보면 아무리 어린 애들이라지만 같은 어린애가 하는 거짓말에 위화감을 느낀 사람이 없을리가 없다. 분명 이상하게 생각했지만 다들 속아줬던것 같기도 하다. 뒤늦게 고마움을 느낀다.

  이렇게 시작한 정서의 불안함은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됐다. 내가 우울증 환자라는건 어렴풋이 느끼고 있었다.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눈물, 갑자기 주체 할 수 없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기분, 컨트롤이 불가능한 불안 같은것들이 그러했다. 우울과 함께 자란 아이는 아티스트가 되어 어쩌다보니 사람들 앞에 나서서 공연을 하게 됐다. 뭣 모르고 시작한 공연은 뿌듯하고 행복한 때도 많았지만 자주 도망치고 싶었다. 불안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다른 뮤지션들도 이러할까, 내가 맞지 않는 일을 하고 있는건 아닐까 고민하던참에 정말 무서운 순간을 맞닥들였다. 높은 집중력을 요구하는 공연에서 ‘집에 가고 싶다. 그러지 않으면 큰 실수를 할거 같아. 내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서 저 문 밖으로 나가버리면 어떡하지’ 하고 문을 바라보며 불안을 내려놓지 못하는 순간 공연의 흐름을 망쳐버렸다. 팀 멤버와 관객, 공연장에 있는 모두가 당황했다.

그 길로 신경정신과에 찾아가 내가 할 수 있는 얘기는 다했다. 어렸을때 이야기, 사람들을 속이는 두가지 모습의 나, 음악을 시작 하고 나서부터 가장 최근 공연장에서 있었던 일까지. 제때 치료되지 못한 소아우울이 만성우울, 공황장애, 불안장애로 발전한거 같다는 진단을 받았다. 나도 모르는 사이 괜찮다며 넘겼던 감정들이 생채기가 되어 아물지 못한 채 흉터로 남아있었다. 서른을 한참 넘기고서야 진단 받은 소아우울이, 나의 어린시절이 안쓰러워 견딜 수가 없었다. 파도처럼 휘몰아쳤다. 잊고 싶은 기억들이 나를 덮쳤고 나는 해변가의 조개껍질처럼 이리 저리 떠다니며 하나 둘 씩 떠오르는 기억에 미처 아물지 못한 상처가 덧났다.

그간 모른척 해온 감정들, 조금씩 기미가 보였던 우울증과 불안, 공황장애는 의사에게 확진을 받고나니 제대로 증세를 드러냈다. 잠드려고 누워있는 시간이 무서워 약을 증량하고 공연하기 전에 약 먹는건 필수였다. 그렇게 3년동안 먹은 약은 나를 재우고 움직이고 일하게 했다. 하지만 여전히 뭔가를 하는건 너무나도 힘들다. 그 중 최고로 어려운 건 나를 돌보는 일이었다. 내가 나를 소중히 여기지 않으니 그냥 방치해 두는것이다. 씻기 위한 노력은 마라톤을 앞둔 선수와도 같았다. 침대에서 화장실까지 42.195Km 정도 되는것 같았다. 씻고 싶지만 침대에서 쉽사리 일어날 수 없었다. 더러운 집을 치워야 하지만 치울 수 없었다. 아무것도 못하고 집에만 누워있는 시간이 점점 길어졌다. 반려견인 달에의 산책도 점점 짧아지고 못 나가는 날이 늘어났다. 놀고 싶지만 누워있는 나의 눈치를 보며 참는 모습에 마음이 아팠다. 그저 집 앞에 잠깐 나가 바람이나 쐬어주는 정도밖에는 할 수 없었다.. 예전처럼 하루 2회 두시간 파워 산책은 불가능 했다.

많은 어려움들 중에서도 나의 2019년 한 해를 가장 완벽하게 망치고 찬란하게 빛나게 한 것은 여행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는게 여행이라지만 내게는 일종의 큰 자극이었다. 돈을 써서 어딘가로 떠나고 낯선곳에서 낯선 사람들과 밥과 술을 함께 하며 긴장을 즐기는 것. 돈이 벌리는 족족 충동적인 여행을 떠났다. 일본, 태국, 다낭, 랑카위, 프랑스, 스위스, 발리... 그러다 여행 자금이 부족해 딱 하나 있는 실비 보험을 엄마 몰래 해지한적이 있다. 당장 내일 죽을지 살지도 모르는 인생인데 보험을 들어 뭐하나, 그 돈으로 여행이나 가지 뭐. 친구들과 베트남을 가기 전날에 해지했고 비행기를 타러 가는길에 엄마한테 전화가 왔다. 너 미쳤냐고. 왜냐면 환급금을 받은 직후 다음 여행 가는데 써버렸기 때문이었다. 난리 난리가 났다. 엄마는 화가 났지만 나는 또 여행을 갈 수 있다는 생각에 몰래 신이 났다. 하지만 혼나는건 싫으니까 진지하게 나의 중증 우울증에 대해 설명하여 큰 화는 면할 수 있었다. 이때가 처음으로 엄마에게 우울증에 대해 털어놓은 때이다.

이제 가까운 사람들은 내가 무슨 병을 앓고 있고 나의 상태가 어떠한지 잘 알고 있다. 내가 자주 씻지 못하고 누워만 있는것도, 갑자기 즉흥적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후회하며 집에 돌아오는것도, 불쑥 어딘가로 떠나버리는 것... 이런 예상치 못한 일들을 벌이는 나는 아주 오랫동안 혼자 우울증과 싸워왔다가 이제 조금 아픔을 말할 수 있게 된 초보 우울증 환자였다. 어떤 사람을 알고 있다. 2012년부터 그 사람의 블로그를 구경하는게 취미였고 가끔 댓글도 달며 친구가 되었는데 자신의 얘기를 가감없이 쓰고 들려주는 사람이었다. 그 매력에 끌려 2018년이 되어서야 얼굴을 봤고 두번째 만남에 8시간동안 너나 할거 없이 자신의 얘기를 쏟아부었다. 나는 그때 조금은 쾌감을 느꼈던 것 같다. 이야기를 함에 있어 죄책감보다 후련함이 컸다. 조금 배웠다. 자신의 얘기를 이렇게 캐쥬얼하게 할 수 도 있다는 사실을. 아마도 그가 내게 있어 낯섦과 익숙함의 경계에 있는, 마치 여행 같은 사람이라 가능한 일일수도 있다. 깊고 얕은 대화를 왔다 갔다 한 8시간의 수다로 도대체 이 사람을 어떤 카테고리에 분류해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아직 최측근은 아니고 멀리서 가끔씩 안부를 물으며 지내는 사이에 넣을수도 없었다. 누구한테 내 얘기를 경중에 상관 없이 입에서 나오는대로, 후회할 걱정 없이 한 게 처음이었다. 보통 말을 많이 한 날은 집에 가서 자책하고 괴로워 할 걸 말 하는 순간 순간 떠올린다. 그러면서도 내가 가진 오지랖 넓은 캐릭터는 자꾸 말한다. 그랬는데 이 날은 그런게 없었다. 우연히 들어간 바의 분위기도 한 몫 했을테지만 (그 날 이후 그 곳의 단골이 되었다.) 인터넷으로 만난 이 사이버 친구는 나를 말할 수 있게 만들어줬다. 아니, 이야기는 아주 많이 쌓여있었다. 다만 입을 열 수 없을 뿐이었다. 친구는 자기 얘기를 하며 아주 자연스럽게 나의 입을 열어줬다.

  아직도 나는 내 얘기를 하는게 부정을 저지르는 일인것만 같다. 허락되지 않은 행위. 그래도 나에게 따뜻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걸 안다. 조급해하지 않고 천천히 발을 내딛으며 한 글자 한 글자. 유려하지 않아도 좋다. 그들은 들을 준비가 되어있다. 말을 하고 나서도 죄책감이 들지 않는 이야기의 즐거움을 알고 싶다. 너와 내가 얘기를 나누며 세상에 대한 관점도 명확히 하고 나 자신에 대해서도 좀 더 알고 싶다. 너를 알고 싶은건 말하지 않아도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그런거였다. 너를 알고 싶으면 내 얘기를 좀 더 하면 되는거였다. 그게 우울증이든 엄마 몰래 보험 해지 한 얘기든 뭐든 간에.

작가의 이전글 잠과 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