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빅토리아 May 20. 2024

MZ며느리의 양성 평등론

시아버지 할 말 잊다

나이에 따른 세대 간 의식차이도 크고 남녀 성별에 따른 역할 인식도 급변하고 있다. 오랫동안의 시어머니와 며느리 갈등구조는 어느덧 옅어지고 장모와 사위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이 모든 갈등은 사실 <내가 기여한 만큼 인정해 달라>는 욕구의 표출이다.

어느 일반적 가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직장 다니는 며느리는 출산 이후 육아를 위해 시부모와 같이 살기를 희망한다. 그녀는 시아버지가 사준 아파트도 있지만 좀 더 마음 편히 직장생활을 하기 위해 합가를 선택한 것이다. 시어머니는 또 기꺼이 승낙한 걸 보면 유교적 사고가 몸에 밴 유순한 분인 것 같아.

4 가족이 저녁식사 하는 중이었다. 아들이 생선가시를 발라 자기 부인에게 주는 일은 늘 일상이라 했다. 그 모습을 본 시아버지 말씀.


"얘야  저번에 온 작은 아버지가 며느리에게 생선 발라 준다고 웃긴다고 하더라. 도대체 체신머리 없이 ..."

이 말을 듣고  며느리 한 말 한다

" 아니 아버님...어머님도 늘 아버님께 생선 발라 드리는데 그럼 어머님도 체신머리 없으신 건가요? 그럼 아버님도 어머님한테 하지 말라고 하셔야죠."


"얘야.. 그거 하고 같냐?"


그 뒤에 나온 며느리의 말은 생략한다.

시아버지는 며느리의 양성평등론에 뒷말을 잊지 못하고 말았다 한다.


시아버지 시대에 남녀역할은 분명히 구별되었다. 나가서 돈 버는 남자, 집에서 살림하고 출산 육아를 담당하는 여자. 하지만 가사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인정하지 않고 현금만 돈으로 인정하는 남성중심적 가치관에 아내들은 남편의 생선가시를 발라주는 일을 무심코 습관처럼 되었고 남편들 또한 그 대우를 당연하게 받아들인 것이다.


이 가족은 누구도 실수했거나 잘못한 게 아니다. 각자가 살아온 시대적 가치를 존중하고 있을 따름이다. 다만 가족 중 누군가가 좀 더 지혜롭고 현명하다면 지금까지 누려온 편안함이 누군가의 배려와 노동력을 제공받았기 때문이라는 걸 알 것이다. 늘  가까운 가족을 한 번 챙기고 아껴주는 마음을 가진다면 많은 가족 간의 갈등은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남편들의 4가지 유형 분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