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는 무엇을 배울까?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9화

 Chapter. 공연연출 입시 함께 공부할까요? 9화 세 줄 정리.

ⓒ 예술도서관 아카데미




✅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연극원의 설립 및 교육이념

 연출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연극학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드라마투르기의 정의)




 Chapter.1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연극원의 설립 및 교육이념

ⓒ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9화



한국예술종합학교 로고

✅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연극원의 설립 및 교육이념


한국예술종합학교는 1990년 국립예술학교 설립계획 공포에 따라 설립된

국립예술학교로서 한국 최고의 예술학교로서 그 명성과 내실을 다지고 있는 학교다.

많은 예술학교 지망생들은 한국예술종합학교로의 진학을 꿈꾸며 공부하고 있으며

연극학과를 지망하는 학생들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음악원, 연극원, 영상원, 무용원, 미술원, 전통예술원 총 6개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원이 외국의 학교들과 같이 독립된 교육기관으로 기능한다.

각자 독자성과 전문성을 지녔지만 예술이라는 공동의 테두리 안에서

서로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전문성을 심화시키는 교육을 받는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실기전문교육기관'을 표방하며 실기의 전문성에 집중하는 학교다.

교육목적 및 교육내용에서 예술학교는 창조적 전업예술가를 육성하기 위한 실기 및 제작 능력을 

배양하는 전문교육을, 일반대학교 내의 예술전공분야는 학문적인 영역에서 예술을 탐구하는 교육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예술생산 능력을 전문적으로 교육한다는 점에서 

교육목표와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일반 예술계 대학과의 차이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모든 교과과정은 학생들의 전공생산능력의 향상을 위해 편성되어 있다. 

또 모든 수업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수학의욕을 고취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주입식 강의는 가능한 지양하고 1대1레슨, 그룹별토론, 전공별워크숍, 

공동제작, 현장실습 등 실기·제작 중심으로 강의와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연극원은 국내 최초의 국립연극학교로서 연기과․연출과․극작과․무대미술과․연극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첫 째, 국적있는 연극교육 및 훈련을 목표로 하여 한국의 정서를 

한국적 언어․몸짓 및 양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훈련과 학습과목들이 전 과정에 걸쳐 강조된다. 

둘째, 각 과의 전공분야에서 능력있는 예술가들을 양성한다는 설립취지에 따라 

모든 학과의 교과과정이 전문예술가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실기과목들을 집중 훈련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다. 


또한 실기전공 학생들의 정신적 자양을 위해 국내외에서 진행되는 주요한 사회문화현상들과 인접예술을 

검증하는 문화와 예술 과목도 4학기에 걸쳐 개설 하고 있다. 연극원은 사회와 시대에 대한 인식을 적합한 양식, 

효율적인 기술, 한국적 언어·몸짓 및 정서로 표현할 수 있는 연극예술가들을 양성하여 

한국연극의 세계화를 앞당긴다는 목표를 향해 교수와 학생 전체가 매진하고 있다.


오늘은 연극원의 두 학과, 연출과와 연극학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전문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을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출처 : 한국예술종합학교 입학정보)




❍ Chapter.2   연출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9화



사진 출처 : School of Drama - University of Washington


✅ 연출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 교육목표


연출과는 전문적, 직업적 연출가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연극제작에 있어서 연출가의 역할은 막중하며 

텍스트로부터의 해방을 모색하는 현대연극에 있어서는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뛰어난 연출가가 되기 위해서는 예술전반에 걸쳐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가져야 하며 

연기, 극작, 무대미술 등 인접분야에 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연출과에서는 학생들이 연출가로서 꼭 필요한 전문지식과 함께 

연극 전반에 걸쳐 폭넓은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졸업과 동시에 한 사람의 완성된 연출가로서 출발할 수 있도록 직업배우들과의 끊임없는 연출실습을 통하여 

연출가로서의 체험과 경력을 길러 줄 것이다. 특히 한국적 정체성이 있는 연극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극원의 기본정신에 입각하여 전통연극의 현대화를 위한 다각적인 훈련이 무엇보다 강조된다. 



● 교과과목 (전공필수 과목)


- 명작읽기 1, 2(Reading of Literary Masterpieces 1, 2) 


- 글쓰기 1, 2(Creative Writing 1, 2) 


- 희곡분석 1, 2(Play Analysis 1, 2) : <희곡분석 1>은 20세기 구미의 대표적인 희곡 1~2편을 주제와 사상, 성격창조, 

희곡의 구조, 시청각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심층 분석하여 각자가 글로써 무대를 만들어본다. 

<희곡분석 2>는 신극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희곡 1~2편을 <희곡분석 1>과 같은 방법으로 학습한다. 


- 예술산책(Introduction of Stage Directing) : 연출가가 지녀야 할 예술적 덕목과 무대 연출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를 학습하며 연출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탐구를 한다. 


- 연출을 위한 스테이지매니지먼트(Stagemanagement for Directors) : 연출 전공 학생들은 2학년부터 공연에 참여하게 된다. 해당 수업을 통해 무대감독이 알아야 할 극장 운영이나 진행, 주의사항 등을 배우게 된다.


- 연출과 연기(Basics of Acting for Directors) : 직접 연기를 해보며 디렉팅을 받아보고, 배우의 입장에서 어떠한 디렉팅이 필요하고 효과적인지 경험해보는 수업이다. 해당 수업을 통해 연출가와 연기자의 관계와 소통에 대해 탐구한다. 


- 연출입문(Fundamentals of Theatre Directing) : 실제적인 연출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첫 번째 과정이다. 이론과 실기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연출의 기초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 연출실습(Directing Practicum) : 연출입문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기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반복하여 장면을 구성,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이론을 적용하는 방법론을 발전시켜 나간다.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장면을 구성함에 있어 필요한 연출의 방식을 학습하고, 연출로서의 자세에 대해 탐구한다.

- 연출과 디자이너의 콜라보레이션(Directors and Designers’Collaboration) : 연출과 학생과 무대미술과 학생이 함께 진행하는 수업이다. 실제 공연 과정에서 많은 의견 조율과 협업이 가장 많이 필요한 관계이기에,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중시된다. 해당 수업을 통해 서로의 언어와 소통의 방식을 탐구하고, 연출가와 디자이너의 올바른 관계 형성을 도모한다. 


- 창작 콜라보레이션(Playwright-director Collaboration) : 연출과 학생과 극작과 학생이 함께 진행하는 수업이다. 창작 공연 개발을 목표삼아 진행되며 학기 말에 발표로 진행된다. 한 학기에 끝나지 않고, 이후 공연 개발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관계할 수 있는 과정이 될 수 있는 발판으로써의 수업이다. 


- 연출론(Directors and Directing: Theory, Stage, Text) : 1960년대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전개되었던 여러 가지 연극의 양상과 발전과정을 개관하여 새로운 연극의 방향과 방법론을 모색한다. 


- 스튜디오공연준비(Pre Producting) : 지도교수와 1대 1로 졸업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작품의 선정부터 함께 하기도 하고, 이미 원하는 작품을 정하고 연출의 방향성을 논의하기도 한다. 창작극, 기존작품, 비텍스트 공연 등 어떠한 제약 없이 원하는 작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학생의 희망에 따라 작품의 방향과 적합한 지도교수와 매칭된다. 


- 공연 A 1, 2(Production Practicum A 1, 2) : 연극원 레퍼토리 공연에 연출부로 실제 참여함으로써 희곡이 무대에서 상연되는 전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교과이다.


- 공연 B 1, 2(Production Practicum B 1, 2) : 연극원 스튜디오 공연에 연출부로 실제 참여 함으로써 희곡이 무대에서 상연되는 전 과정 속에서 연출가에 대한 역할 이해의 폭을 넓히는 교과이다. 


- 스튜디오공연 Ⅰ, Ⅱ(Studio Production Ⅰ, Ⅱ) : 연출 전공 학생의 졸업 과제 과목이다. 학생에 따라 연출 프로젝트가 개별적으로 부여되며 연극연출 뿐 아니라 무용, 음악극 등 다양한 장르의 연출작업도 과제로 인정된다. 


<전공선택과목> 


- 현장답사 1~4(Field Research 1~4) : 연극의 ‘한국적 전형’을 추구하는 연극원의 교육 이념 아래 이 땅의 인문지리적 풍경과 토양 속에 저장된 무형문화재(굿·춤·노래·전설)와 유형문화재를 8개 지역으로 묶어 그 현장을 찾아가 직접 만나고 교감하는 ‘교실 밖의 살아있는 교육’을 겨냥한다. 


- 음악극창작교실 1~2(Musical Theatre 1~2) : 작곡/작사의 협동작업을 통해 음악극을 창작, 발표하는 과목이다. 수강생은 작곡/작사의 분야 가운데 한 분야를 맡아서 작품을 함께 만든다. 협업하여 만든 작품과 중요한 음악극의 장면을 발표하며, 수업에서 끝나지 않고 이후에도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기 위한 발판을 목표로 한다. 


- 음향디자인(Sound Design) : 실제 공연에서 사용되는 음향을 직접 제작한다. 음향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준비된 음향 소스를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작품에 어울리는 음향 소스를 직접 찾기도 한다. 하나의 작품 전체에 사용될 음향을 모두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 학기를 진행하고 학기 말에 발표한다. 


- 개념기반창작방법론(Creating Devised Theatre) : 희곡기반의 작업 외의 창작방법론을 학습한다. 발견된 텍스트의 공연화, 개념과 사유의 공연화, 탈서사, 공동창작 등의 방법론에 대해 이해하고 초기 구성안을 만들어 본다.





 Chapter.3   연극학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드라마투르기란?)

ⓒ공연연출 함께 공부할까요? 9화




사진 출처 : MPR News


✅ 연극학과의 교육목표와 교과과목 정리



● 교육목표


예술적 통찰과 감성이 뛰어난 창조적 평론가, 이론과 창작을 접목시켜 줄 드라마터그, 

창작 및 수용의 전 과정을 매개하고 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경영할 전문 예술경영자를 양성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세계연극의 맥락 속에서 한국연극의 자리를 매김할 줄 알고, 

동시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연극을 정확하게 분석․예측하여 한국 연극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창작에 반영하는 데 기여할 연극이론가로 키운다. 




● 교과과목 (전공필수 과목)


- 명작읽기 1~2(Reading of Literary Masterpieces 1~2) : 신화, 역사, 사회과학, 문학, 예술 분야의 명작읽기를 통해 연극 비평가, 이론가로서 지녀야 할 인문주의적 정신을 배양한다. 


- 희곡분석 1~2(Play Analysis 1~2) : <희곡분석 1>은 현대 서양의 대표적인 희곡 1~2편을 선정하여 주제와 사상, 성격창조, 희곡의 구조, 시청각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극 텍스트 분석 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희곡분석 2>는 신극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희곡 1~2편을 <희곡분석 1>과 같은 방법으로 학습한다. 


- 한국연극사(History of Korean Theatre) : 탈춤․판소리․창․굿 등 한국전통연희의 기원과 발전을 추적하고, 신극 이후 한국 근현대연극사의 전개과정과 맥락을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연극의 정체성과 다양성을 고찰한다. 


- 졸업논문(Senior Thesis) : 4년간의 학부 전 과정을 정리하고, 이후에 보다 전문적인 과정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과정이다. 관심분야에 대해 드라마투르기 케이스북 또는 논문을 제출하며, 마지막 학기에 예비 논문심사를 거쳐 최종 심사를 통해 통과 여부를 결정한다. 


- 비평워크숍 1~3 (Criticism Workshop 1~3) : 비평적 글쓰기 워크숍으로 <비평워크숍 1>에서는 비평에 대한 개념과 공연비평의 역할을 이해한다. 공연의 여러 형식과 맥락을 학습 하고 분석하여 기초적인 비평적 글쓰기를 실습한다. 


<비평워크숍2>에서는 다양한 공연 현상들을 중심으로 현대 공연비평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비평적 쟁점을 포착하는 훈련을 한다. 여러 형식의 비평적 글쓰기를 공부하고 시도한다.<비평워크숍3>에서는 공연에 대한 포괄적 읽기와 자신만의 개성적 비평문 쓰기를 연습한다. 



- 공연분석 : 캠퍼스 안팎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공연들을 대상으로, 공연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가치평가를 시도한다. 


- 셰익스피어 : 셰익스피어의 주요 작품을 선독하여 셰익스피어의 극작법과 극미학에 대해 이해하며, 공연사와 비평사를 통해 셰익스피어 작품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동시대성을 탐구하여 창조적 무대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 20세기세계희곡 : 사실주의에서 포스트드라마에 이르는 대표적인 20세기 세계희곡을 선독 하여, 현대지성사와 극언어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연극의 형성 배경을 이해한다. 


- 드라마투르기 1~2(Dramaturgy Workshop 1~2) : 연극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드라마투르기 1>에서는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를 익히며, <드라마투르기 2>에서는 학교공연에 참여하여 드라마투르기를 실습한다. 


-연극의 이론과 비평 1(Dramatic Theory & Criticism 1) : <연극의 이론과 비평 1>은 희랍극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구연극을 관통해왔던 공연미학적 이론과 비평의 발전과정을 점검하면서 연극의 형식과 매체에 대해 이해한다.



✅ 드라마투르기란?


그리스어 ‘dramaturgia’에서 유래한 것으로, ‘극작술’이나 ‘희곡작법’으로 번역된다

이 드라마투르기를 전문적으로 맡은 이를 독일어로 ‘드라마투르그’, 영어로 ‘드라마터그’라고 부른다.

단순한 극작술 뿐 아니라 희곡 작품이 연극 무대에 올라가는 전 과정에서 문학적, 예술적 조언까지 아우르는 역할이다. 몇 드라마투르그는 희곡의 창작과정에서부터 배우 캐스팅과 공연 후 평가까지 맡기도 한다. 


“애초에는 작가와 연출가의 매개 역할부터 시작해요. 일찍부터 투입되면 작품 설정 과정에서부터 같이 가는 거죠. 어떤 작가의 작품을 왜 지금 올려야 하는지 연출가와 충분히 이야기를 나눕니다. 저는 연극 연구자 출신인데 제가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과는 다르게 공연제작 현장의 분위기는 많이 달라요. 연출가나 배우들이나 스태프들도 굉장히 독립적인 예술가들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각자 작품과 배역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지 같은 합의를 이뤄내는 과정이 중요해요.


드라마투르그는 연출가와 배우, 스태프 간의 서로 다른 언어를 잘 ‘번역’ 해서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합니다. 한국 연극계에서도 1990년대 중반 이후 드라마투르그가 많아졌는데 아직 인식이 낮아서 외국과는 달리 직업으로 정착되지 않는 실정입니다." - 연극평론가이자 드라마투르그인 김옥란


(출처: 한겨레  <연출가-배우-스태프 아우르는 ‘소통 메신저’>)




제작/기획: 예술도서관 아카데미 

글쓴이: YEDO Teaching Artist. SEOB 

매거진의 이전글 몸과 움직임에 집중하는 피지컬 씨어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