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화양연화 Oct 26. 2024

팔순 아버지의 발목을 꽁꽁 묶어둔 그림 한 점

우연히 들른 부여 사비도성 가상체험관과 부소갤러리

부친은 올해 82세다. 최근 몇 년 전부터 난 부친과 일 년에 한두 번 여행을 떠난다. 점점 발걸음이 느려지는 부친이 이나마 걸을 수 있을 때 함께 다니며 좋은 추억을 쌓고 싶기 때문이다. 지난봄엔 언니까지 출동해서 군산 일대를 돌았고, 이번엔 부친과 단둘이 부여, 논산, 강경 일대를 1박2일 돌아볼 예정이다. 물론 여행지는 부친이 선택하고, 그에 따라 동선을 짜고 맛집과 숙소를 예약하는 건 내 몫이다. 부친과 나는 삼백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관계로 논산역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부친께 논산행 기차표를 예매해 보내드렸다.      

날이 좋은 10월엔 지방 어느 도시를 가도 축제다. 논산은 대추 축제, 강경은 젓갈 축제, 부여는 백제 문화제. 그러니 볼 것과 먹거리가 많다. 부친은 감정도 풍부하고 친화력도 좋은 극 F이시다. 어느 날 부친에게 문자가 왔다.

“막내딸, 여긴 비가 하염없이 와. 비가 하염없이 오니까 마음이 울적하네. 회신 요망”

회신 요망만 없었으면 울적한 팔십 노인네가 가여워서 울뻔했는데, 회신 요망이란 요망한 단어 때문에 눈물은 쏙 들어갔다. 부친께 바로 전화를 걸었다. 부친은 웬일이냐고 전화를 받으신다. 분명 회신 요망이라 해서 회신한 건데, 웬일이냐니.     


괜히 민망해서 그러시는 건지 알기에 “어쩌자고 비가 그렇게 하염없이 올까요. 적당히 오고 말 것이지.” 맞장구를 쳐주면 “웬만치 오고 말제는 계속 와 분다.”며 목소리가 가라앉는다. 글로 쓸 땐 표준어인데, 말씀으로 하시면 사투리다. 그럴 땐 얼른 화제를 돌려 요새 딸기가 맛있네, 사과가 맛있네, 하며 제일 좋은 걸로 사드시라고 얼마 안 되는 돈이지만 그 자리에서 계좌이체를 한다. 즉각적인 금융치료를 받으신 부친은 고열에 해열제를 맞은 사람처럼 금세 말짱해져서 “어허, 이러라고 말한거슨 아닌디”라며 좋아하신다. 단지 돈보단 부친의 울적한 마음을 알아준 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여러 차례 경험한 바에 의하면 따뜻한 마음만으론 이토록 빠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고백하자면, 부친과 여행할 때 부친의 지나친 친화력과 TMI 때문에 일행이 아닌 척 조금 떨어져 앉을 때도 있었다. 관광지를 산책하다가 잠시 벤치에 앉으면 옆 벤치에 앉은 사람에게 꼭 어디서 왔는지를 묻는다. 다시 볼 것도 아닌데, 어디서 왔는지 왜 묻는지를 이 불효녀는 당최 알 수가 없다. 또 호기심이 많은 편이라 어딜 가도 꼭 문화재 해설을 찾아 들으시는데, 문화재 해설사가 만약 이 건물이 1942년에 지어졌다고 말하면, 부친은 난 1943년 생인데, 그럼 나보다 이 건물이 나이가 많네! 하며 감탄하는 식이다. 부친이 BTS도 아니고 몇 년에 태어났는지 아무도 관심 없는데, 많은 사람 앞에서 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이 불효녀는 또 알 길이 없다. 이 불효녀가 단 하나 아는 건 그런 말을 못 하게 하면 부친은 “왜 넌 말도 못 하게 통제하냐?”고 삐진다는 거다. 그러니 입을 다물고 멀리 떨어져 있을 수밖에.     

사비도성 가상체험관

지난 토요일, 논산역에서 부친을 픽업해 부여로 향했다. 첫 번째 목적지는 부소산성이다. 근처 맛집에서 배를 든든히 채우고 주차장에 차를 세웠다. 그리곤 일단 눈앞에 보이는 흰 건물을 향해 걸었다. 사비도성 가상체험관이었다. VR 고글을 쓰고 있으면 경비행기에 탑승해 백제 문화유산이 있는 곳곳으로 날아갔다. 부친은 처음 해보는 VR 체험을 어린아이처럼 좋아했다. 고글을 쓰고 아래로 떨어지는 장면에서는 진짜 떨어지는 사람처럼 손잡이를 꼭 쥐고 무서워하시더니 체험이 끝나고 고글을 벗자 멋쩍으셨는지 한참을 웃으셨다.    


부소산성 안에 있는 낙화암과 고란사를 둘러보려면 1.5킬로 정도 산길을 걸어야 하는데, 무릎이 불편한 부친이 거기까지 갈 수 있을지 걱정됐다. 가는 데까지 가보고 정 힘들면 다시 돌아와야겠다고 생각하고 체험관을 나왔다. 체험관 옆엔 나란히 부소갤러리가 있는데, 수채화 동호회의 그림 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명화도 아니고, 유명 작가의 전시도 아니라 지나치려 했다. 미술관에 서 있으면 무릎이 아플 테고, 부친의 체력을 아껴야 목적지까지 최대한 갈 수 있으니까. 그런데 부친은 들어가 보고 싶단다. 뜬금없었지만, 잠시 들러보고 나올 요량으로 들어갔다. 아마추어 작가들의 고만고만한 그림이 전시되어 있었다. 관람객은 나와 부친뿐이고, 60대로 보이는 전시 관계자 두 분이 입구에 앉아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      


부친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작품을 보는 것처럼 유심히 그림들을 봤다. 그러다 허름한 슬레이트 지붕 집에 앙상한 나무가 서 있는 그림 앞에 멈춰 섰다. 한참을 유심히 보시던 부친은 “쓸쓸하기 짝이 없네.” 하신다. 꽃 그림도 많고, 귀여운 푸바오도 있는데, 하필 그 그림 앞에서 발을 떼지 못하셨다. 대충 둘러본 후 그만 나가자고 하니까 “잠깐만, 나 저 그림 다시 한번 보고 올게” 하시더니 다시 그 그림 앞으로 가신다.      

“아빤, 이 그림이 좋아요?” 내가 물었다. 부친은 “응. 좋아. 옛날 생각이 나서. 옛날엔 다들 이렇게 가난하게 살았거든.” 나는 한 걸음 뒤에서 부친의 그림 감상이 끝나기를 조용히 기다렸다. 관계자 두 분이 내 곁으로 왔다. 난 두 분께 우리 아버지가 저 그림을 가장 좋아하신다고 말했다. 한 분이 왜 그 그림이 좋은지 내게 물었고, 그 순간 난 구부정한 어깨의 부친이 두 손을 모으고 쓸쓸하기 짝이 없는 얼굴로 쓸쓸하기 짝이 없는 그림을 지긋이 바라보는 걸 발견하고 말았다. 느닷없이 목이 멨다. 내 목 상태를 알 리 없는 부친이 나 대신 답했다.      

“이 그림은 정말로 쓸쓸하기 짝이 없네요. 그런데도 이 그림이 참 좋아요”     


감동에 젖은 목소리였다. 과거 내가 알지 못하는 쓸쓸한 일이, 가난해서 겪었을 가슴 아픈 일이 그의 내면에 고여있다고 생각하니 계속 목이 멨다. 생각해 보면 난 그가 그림 같은 건 잘 알지도 못하고, 좋아할 거라고 생각지도 않았다. 그러니 함께 여행을 다니면서도 미술관에 간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나로 말하자면 어쭙잖은 지식으로 미술관 책도 썼고, 대단찮은 언변으로 미술 강연도 다니면서 말이다. 명화만 그림이 아니란 걸 말로는 잘도 떠들면서 아마추어 작가의 그림은 보지도 않고 별것 없는 것으로 간주했다니.     


흑백요리사에 심사를 맡았던 안성재 쉐프가 어떤 인터뷰에서 자신의 인생 요리를 만들라면 무엇을 만들겠냐는 질문을 받고, 어린 시절 할머니가 만들어줬던 감자떡이나 냉면을 만들 것 같다고 했다. 그가 흑백요리사에서 급식 대가의 급식을 먹으며 감동에 젖는 장면과 연결되는 대답이라 느껴졌다. 나의 부친도, 안성재 쉐프도 그렇듯이 어떤 감동은 추억과 맞닿아있다. 그러니 감동을 주는 그림이 꼭 명화일 리 없는 것이다.      


우연히 들렀지만, 다시 돌아본 부소갤러리는 아름다운 건물 자체를 보는 것으로도 의미가 있고, 넓은 잔디도 있어 인생샷을 찍기도 좋았다. 그 뒤로는 두어 시간 숲속을 산책하기 좋은 부소산성이 있으며, 고란사 아래에서 배를 타고 백마강을 둘러볼 수도 있으니, 요즘처럼 단풍이 아름다운 가을날, 당일치기로 훌쩍 다녀와도 좋은 장소였다.     


날씨까지 좋아서 이번 여행은 또 우리에게 행복한 추억을 남겼다. 아마 훗날, 딸과 아빠가 여행하는 그림을 본다면 난 감동에 젖어 눈물을 흘릴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감동이 오래가면 경찰에 잡혀가는 법이라도 있는지, 다음 날 부친은 뜬금없는 문자를 보냈다. “노벨 문학상 받은 한강이 너랑 동갑이더라. 누군 그런 상도 받는데 우리 딸은 되는 것 하나 없어 아버지가 심히 언짢다.” 순간 머리가 띵했다. 비교할 사람하고 비교해야지 감히 한강 님과 비교하시다니.      


되는 것 하나 없다는 말은 작년 드라마 공모전에 당선되고도 더 진전이 없었으며, 올해 새롭게 준비한 드라마가 공모전 최종심에 오르고도, 수상하지 못한 것을 뜻했다. 그런 팩폭을 하시는 부친께 서운한 마음이 들기도 했지만, ‘그래, 안 된 나도 속상하지만, 안 되는 자식을 보는 부모도 속이 상하시겠지’ 싶어 신속히 답장을 보냈다.     


“언젠가는 될 거예요, 아버지. 왜냐면 제가 될 때까지 할 거니까요. 회신 요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