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정우 Sep 01. 2022

#3 1950년대 대만

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년 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09.03. ~ 1955.05.01.


1949년에 중국 본토와 바다 건너 대만(타이완)에 두 개의 중국이 세워졌으나 이들은 1950년대에도 꾸준히 해안가를 일대로 두고 크고 작은 마찰을 빚었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은 중국과 대만 사이 뿐만 아니라 미국, 그리고 일본 심지어는 한국까지 포함해서 넓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1949년 8월, 미국은 중국백서를 통해 내전 실패의 책임을 장제스와 국민당 정부의 부패 그리고 무능에 있다고 평가하며 미국의 정책적 오류를 덮으려고 했다. 그러면서 1950년 1월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은 중국 내전에 개입을 초래하는 어떠한 행동도 추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만에 군사 원조나 조언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 행정부가 대만에 대해 가지고 있던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결정적으로, 1950년 1월, 애치슨 (Dean Acheson)이 ‘태평양에서 미국의 방위선은 알류산 열도 – 일본 – 오키나와 – 필리핀을 연결하는 선’이라고 말하며 미국의 방위선 밖에 있는 나라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에도 미국은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자신의 안보는 자신이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소위 ‘애치슨 선언 (Acheson Line)’이라 불리는 이 보이지 않는 경계에는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민감한 지역이었던 남한, 대만 그리고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게 되는 인도 차이나 반도가 제외되어 있었다. 그리고 남한, 대만 그리고 베트남은 훗날 하나같이 한국전쟁(1950), 두 차례의 대만해협 위기(1954, 1958) 그리고 베트남 전쟁(1964)를 겪게된다.


그러나 미국이 이런 결정을 내린 데에도 나름의 이유는 있었다. 소련과 달리 미국은 종전 후 대대적인 군 감축에 나섰다. 여기에는 핵무기를 보유한 유일한 국가라는 자신감과 소련이 핵무장을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5년 내지는 10년은 걸릴 것이라 보았던 자만심도 한몫 했다. 그러나 1948년 4월에 일어난 베를린 봉쇄 (Berlin Blockade)로 미국은 서둘러 다음해 4월에 북대서양조약기구,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를 결성한다. 여기에 1949년 8월 29일, 카자흐스탄 사막에서 소련이 핵실험에 성공하고 일본 본토 폭격 도중 시베리아에 불시착한 B-29를 역설계하여 탄생한 Tu-4 Bull 폭격기가 공개되자 미국은 서둘러 재래식 무기 확충에 나섰다.


겉보기에는 미국의 핵독점이 4년만에 깨진 초유의 사태로 보인다. 하지만, 소련은 이제 핵실험에 성공한데 반해 미국은 다량의 핵무기와 이를 운반할 폭격기를 갖추고 있어 미국의 절대적인 핵우위는 여전히 건재했다. 폭격기도 왕복엔진을 가진 구식이라 실제로 일어나진 않았지만 미국 본토까지 도달하기 전에 미국의 방공망에 걸려 요격될 것이 뻔했다. 그러다보니 미군의 군사력 확충은 일시적이었으며 전쟁 직후 경제 불황과 의회의 반발로 병력은 다시 축소되었다. 이처럼 당시 미국은 유럽과 아시아 전체를 지켜낼 역량이 없었다. 그랬던 미국이 1950년 6월에 일어난 한국전쟁과 1950년대 초 대만과 중국 사이에 벌어진 군사적 충돌에 개입한 이유는 미 국무부 내의 변화 때문이었다.


애치슨의 연설 직후 미 국무부 내 온건파였던 조지 캐넌이 해임되고 강경파인 폴 니츠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폴 니츠는 소련이 세계 공산화 정책을 꾀하고 있으며 괴뢰국가를 앞세워 미국의 동맹국들을 침략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트루먼의 주변 인물들 역시 남한과 대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결국, 미국의 극동 정책은 전면적으로 재검토 되었으며 그 결과 1950년 4월, 국가안전보장위원회는 대소련 봉쇄를 더욱 강화하고 소련의 도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따라서 만약에 김일성의 북한이 조금이라도 남침을 앞당겼더라면 미군은 한반도에 개입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았다. 일례로 1950년 4월, 하이난이 함락된 후 장제스는 미국에 군사원조를 요청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절했다.


한편,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이 시작되면서 미군은 타이완 해협에 제7함대를 보내게 된다. 하지만, 이는 미국이 장제스의 본토 수복을 지지하는 뜻은 절대 아니었다. 미국은 한국전쟁을 일으킨 북한의 배후에는 소련과 중공이 있을거라 생각했고, 이를 단순한 내전이 아닌 동북아시아 전체의 공산화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라 보았다. 더 나아가 공산 진영이 타이완과 한반도를 시작으로 일본까지 공산화하여 태평양으로 진출할지 모른다고 여겼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은 대만의 전략적 가치를 보고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제7함대를 타이완 해협으로 보낸 것이다. 실제로 장제스는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이때를 틈타 중국 본토를 공격할 것을 거듭 요청했으나 빈번히 미국에 의해 좌절되었다. 심지어 장제스가 한국전쟁에 참전하는 것 조차 미국은 허락하지 않았다. 미국은 마오쩌둥과 장제스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철저히 막았으며 국민당이 그대로 대만에 머물길 원했다.


문제는 1953년 7월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마무리 된 이후였다. 마오쩌둥은 한국전쟁이 끝나자 타이완으로 눈을 돌렸다. 그러나 1954년 3월부터 시작된 베트남과 프랑스 사이의 전쟁이 7월에 제네바 회담으로 종결될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그렇게 베트남 전쟁이 마무리되자 1954년 8월 11일, 저우언라이는 타이완을 해방시키라는 명령과 함께 9월 3일부터 대만에 대한 포격을 실시한다. 중국은 대만과 미국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기 전에, 그리고 한국전쟁에서도 자신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피하고자 했던 미국의 애매모호한 태도에 미국의 의지를 시험해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장제스가 이끄는 대만은 생각보다 강렬히 저항했다. 진먼다오(금문도)와 마쭈다오(마조열도)는 군사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중국 본토와 너무 가깝기에 포기하는 것이 맞으나 본토 수복을 꿈꾸는 장제스에게는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섬들이었다. 그러다보니 장제스는 국제 사회의 강력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내정간섭이라며 되려 진먼다오와 마쭈다오에 병력을 증강시켰다. 포격전은 20일까지 이어졌으나 중국이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사용 검토를 의식해서였는지 1955년 5월 1일 돌연 포격을 중단하였으며 1차 대만 해협 위기에서는 별다른 공중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1차 대만 해협 위기를 계기로 대만과 미국은 1954년 12월에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다. (아직도 중국이 어떠한 연유에서 포격을 중단하였는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그 사이 1953년 6월 대만에는 상호 방위원조 형태로 F-84G전투기가 들어오나 이미 한국전쟁에서 MiG-15에 상대가 되지 않음을 확인하면서 바로 다음 해인 1954년부터 1956년까지 160대의 F-86F를 도입하게 된다. 중공군의 MiG-15를 상대하기에 부족함에도 대만에 인도된 이유는 간단했다. 미국은 대만이 중공군에 대하여 공중 우세를 점하여 본토 수복을 꿈꾸는 상황을 원하지 않았다. 단지, 왕복엔진을 탑재한 P-51 Mustang과 P-47 Thunderbolt를 대체하여 바다를 건너오는 MiG-15를 억제할 수준의 전투기를 제공해준 것 뿐이다. 더불어 큰 기대를 받으며 개발된 F-84 Thunderjet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능을 보여준데 반해 뒤이어 등장한 F-86이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자 미국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가진 F-84는 동맹국들에게 군사 원조 형태로 제공해준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이 MiG-15에 이어 MiG-17을 배치하면서 빠르게 공군력을 증강시키고 8월에는 포격전이 일어나는 등 양측 간의 갈등이 고조되자 1954년 12월부터 F-86F가 대만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후 대만은 앞서 말했듯이 1956년까지 160대의 F-86F를 도입하였고 1958년 6월에 와서는 약 320대의 F-86F를 보유하며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대수의 F-86F를 보유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지상 공격 임무는 F-84G가 맡고 MiG-15에 대응하여 공중전은 F-86이 맡는 형태로 임무가 나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대만에 배치된 F-86F는 1958년 제2차 대만 해협 위기에서 미국이 대만에 제공해준 당시로써는 최첨단 무기였던 AIM-9 Sidewinder 열추적 미사일과 함께 항공기 개발 역사에 한 획을 긋게 된다.


<Cover Image>

Outrider.org The Taiwan Strait Crisis 1954-1958





매거진의 이전글 #2 1950년대 대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