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keryoung Nov 06. 2023

광고의 문화적 각인효과

Emotional Incention 은 없다.

Ads Don't Work That Way 라는 아티클을 보고 든 생각을 정리했다



Emotional Inception 은 없다. 


Emotional inception 은 어떤 이미지가 감정적으로 고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고 구매까지 이어진다고 이야기하지만, 저자는 이런것은 사실 존재하지 않고 사실 문화적 각인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문화적 각인(Cultural Imprinting) 효과는 

내가 알고있는 것을 다른사람도 알고있다는 것을 알때 나타난다. 

 어떤 브랜드 이미지가 계속 노출되어서 사회에서 상식이 되었을때. 그 이미지가 마음에 드는 사람이 그 제품을 구매한다. 


CONSPICUITY

문화적 각인 효과와 emotional inception 의 가장 큰 차이점은 Ad 가 얼마나 Conspicuous 하게 노출되느냐에 있다. 


Product Types 

혼자쓰는 product 가 있고 사회적인 맥락이 있는 product 가 있다. 문화적각인효과는 후자에 더 잘 일어난다. 

문화적 각인효과는 브랜딩이 왜 하나의 메세지에 집중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브랜딩은 제품의 퀄리티에 대한 신뢰도 줘야하지만, 브랜딩의 이미지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도 함께 줘야한다. 



그래서 든 생각은 


이런 문화적 각인 효과가 있는 아이템으로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이 광고를 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작은 커뮤니티 (10인 이상)을 만드는 것이 아닐까 싶다. 작은 커뮤니티는 독립된 문화를 형성하고, 그 커뮤니티 안에서 아이템이 "구성원을 멋있게 느끼게하는" 가치를 줄 수있다면 그 아이템은 바이럴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작가의 이전글 프로덕트 오너, 신뢰를 얻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