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대영 Jan 07. 2024

이제 제가 팀장이라고요?

팀원에서 팀장으로, 어떤 것이 바뀌나요?


대표님께서 뜻밖에 제안을 하셨다.


“ 이제 팀장을 해보는 게 어때요?”


평소 감투(?) 쓰는 것을 피하는 편이 아니라 흔쾌히 수락했고, 인원이 3명인 팀이라 큰 부담은 없었다. 더 솔직히 말하면  ‘뜻‘ 밖은 아니었을지도 모르겠다. 평소 누군가와 함께 일하는 것을 추구하고, 좋아하는 나로서는 팀장이라는 큰 책임이 비교적 가볍게 느껴졌던 것 같다. 하지만 곧이어 나오는 대표님의 질문이 이후로 내내 머리에 맴돈다.


“팀장이 어떤 일을 하는 건지 알죠? “


 평소 ‘리더’라는 말에 로망이 있는 사람인지라 다른 사람들보다는 준비가 잘 되어있다고 자부했는데, 막상 이런 상황이 오니 어떤 것부터 해야 할지 생각이 필요해졌다. 어떤 것을 봐야 할까 고민하며 책장을 뒤적이다. 문득 생각난 글이 있었다. 바로 ‘내가’ 기록한 글이다.


“개구리가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라는 말은 자신의 처음을 기억하지 못하는, 일명 ’ 꼰대‘들을 말한다. 그렇다면 나는 반대로 “개구리가 올챙이를 기억한다면? “ 팀장이 어떤 일을 하는 것인지 감이 오지 않을까?라는 나름의 합리적인 생각으로 전에 꾸준히 적었던 글들을 살펴보기 시작했다. 기록이 이렇게 무섭다. 별 볼 일 없어 보이는 생각도 꾸준히 기록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1. 역할이 달라진다.


너무 당연한 말처럼 들리지만 이 포인트만 잘 짚어도 반은 간다고 생각한다. 간혹 팀장이 팀에서 가장 일을 잘해야 하는 사람이 돼야 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팀장은 자기의 성과에만 집중해서는 안된다. 팀장이 되는 순간 팀장의 책임은 개인이 아닌 팀에 있다. 즉, 팀장의 성과는 팀의 성과다. 아무리 일을 잘하는 팀원이었더라도, 팀장이 되는 순간 팀 전체를 관망할 줄 알아야 한다. 팀이 담당하고 있는 일의 전체와 흐름을 파악하고 팀원들이 어떤 곳에 적재적소에 투입되어야 효율, 효과적으로 일할지에 대한 계산이다.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보는 것이 성과인 역할이 되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직업인으로서의 개인의 이기심과 싸워야 하는데, ”나만 잘하면 되지 “와 같은 이기적인 생각은 독이 될지도 모른다. 본질적으로는 추구해야 하는 이상향이지만 팀장의 역할에서는 조금은 거리를 둬야 하는 생각이다.


생각은 좀처럼 쉽지만, 실제 상황에서 이 부분은 여전히 어렵다. 이쯤에서 2002년 월드컵에서 ‘히딩크’가 인정받은 이유를 더욱 체감한다. 조직은 물건이 아닌, 사람을 활용해야 하는 아주 예민한 작업이기에 그렇다. 선수마다의 기술적인 특징뿐 아니라 멘탈, 성격, 동료들과의 관계까지 고려했다던 히딩크 감독의 마음을 조금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단순히 ‘일’적인 측면에서만 팀을 운영할 수 없다. 팀원의 개인적인 상황, 회사에서의 목적, 직업인으로의 목표, 동료들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요즘 친구들, 일명 ‘mz’라 불리는 젊은 직장인들은 그렇지 않다고 몇몇 매체에서는 말하지만,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결핍이 과잉이 되는 법. 오히려 ‘관계’가 중요하기에 개선의 가능성이 없는 ‘조직’에 시선을 두지 않는 것이다. 대세와 반대되는 아이러니지만 결국 팀원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2년 한일 월드컵 ‘게티이미지코리아‘

2. 모든 것이 내 탓


“무슨 교과서 같은 이야기?”라고 생각할 사람도 있겠지만, 내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팀장은 팀원들의 무대가 되어줘야 된다. 손만 되면 일이 해결되는 마법사 같은 팀장이 아니라, 팀원들이 마법을 부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다. 팀원 각자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상황과 일을 줘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는 권한과 책임도 부여해야 한다. 가끔 모든 권한과 책임을 팀장이 짊어지려 하는 사람도 있는데, 당장은 든든한 팀장이 될 순 있어도 팀원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성장과 책임의 크기는 비례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만, 탓은 하면 안 된다. 문제에 있어 팀원에게 부여한 책임까지만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네가 그렇게 했으니, 네가 책임져”의 자세가 아니라는 것이다.


팀원이 잘하면 인정받는 것은 팀장이다. 그렇기에 반대로 팀원의 성과가 부진하거나 프로젝트의 결과가 좋지 않을 때도 팀장은 가장 큰 책임을 가져가야 한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인데, 우리의 이기심은 이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결국 팀원의 결과는 모두 팀장의 탓이다.



3. 팀장의 성장이 결국 팀의 성장


“회사는 대표의 그릇 이상으로 클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결국 회사라는 조직을 이끄는 대표의 생각이 회사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말이다. 나는 이 말이 팀장에게도 접목된다고 생각한다.


“팀은 팀장이 가지고 있는 생각 이상으로 성장할 수 없다.”  


잘못 이해하면 건방진(?) 말 같기도 하지만, 내가 보기엔 섬뜩한 말이기도 하다. 팀장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역량의 크기가 결국 팀의 한계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팀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팀장의 성장은 그저 개인의 성장과는 역할이 다르다. 성장 자체가 팀원의 동기부여가 되기도, 조직에 남아야 할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반대로 성장이 멈추거나 더딘 팀장 밑에는 성장이 멈춘 팀원만 남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팀장의 성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고, 책임이다.




4. 팀장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


나는 성장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머리로 받아들이는 성장’,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성장’이다. 머리로 받아들이는 성장은 내가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여러분이 잘 알고 있다. 업무와 관련된 좋은 책을 읽고, 글을 쓰고, 가끔은 관련 교육을 다니기도 하면서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팀원일 때는 그저 내 일에 대한 공부만 필요했지만 팀장은 더 다양한 역량을 위한 공부를 지속해야 한다. 조직관리, 리더십, 심지어는 재무 회계도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회사는 결국 이익을 내야 하는 집단이라, 그에 대한 다양한 공부는 분명 도움이 된다.


다음은 마음으로의 성장이다. 이것은 공부의 영역은 아닐지 모른다. 다만 성장해야 한다.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결국 대화다. 그리고 생각이다. 훌륭한 리더는 결국 일이 아닌 사람을 다룬다. 팀원이 가지고 있는 삶의 목표, 그들이 추구하는 삶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면서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업무라도 누군가에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일이기도, 누군가에게는 스트레스만 쌓이는 소모적인 일이지도 모른다. 사생활에 대해 궁금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일과 삶을 대하는 형태를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감은 그저 의미 없는 가식적인 행위가 아닌 마음의 성장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팀장은 잦은 대화와 유연한 생각을 통해 마음을 성장시켜야 한다.


팀장은 ‘머리’와 ‘마음’ 두 가지를 조화롭게 성장시켜야 한다. 이것들의 성장이 불균형하다면 ’ 능력 없는 팀장‘, ’ai가 대체할 팀장‘ 이 될 날이 멀지 않았다.




5. 팀장의 진정성


이 글은 그 누구도 아닌 나를 위한 기록이다. 식재료에도 제철이 있듯 사람의 역할에도 제철이 있다. 나는 다행히 팀원의 역할을 했던 시기에 그 시절을 기록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아닌 그 시절의 나의 생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입장이 바뀌면서 그 당시 나의 리더라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무거운 책임을 지고 있었다는 것을 느끼기도 하지만, 여전히 그들에게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만약 그 시절 그들이 조금 더 좋은 팀장이었다면, 내 인생은 다르게 흘러갔을까? 인생은 비가역적이라 후회도 원망도 의미는 없다. 여러 가지 의미로 팀장은 참 부담스럽고 어려운 자리다.  


누군가의 인생에 영향을 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나를 가슴 뛰게 한다. 그들을 더 좋은 사람을 만들어야겠다는 자만이 아니라 내가 그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진정성의 설렘과 긴장이다. 앞으로 더욱 치열하게 나와 누군가를 위해 영향력을 끼칠 이 세상의 팀장들의 노고에 미리 감사하며 글을 마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