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테크르르 Dec 03. 2022

당신은 어떻게 사랑을 표현하시나요?


알고리즘이 물었습니다. 



저는 차여본 적이 없습니다. 고백을 거절 당해본적은 당연히 없고요. 무슨 허세와 중2병 같은 소리겠냐 하시겠지만, 정말입니다. 비결은 고백 자체를 시도를 안 해봤으니까요. 시작이 없으면 끝도 없습니다. 


외모가 너무 멋지고, 매력이 철철 넘쳐 연애 전적 100전 100승 했으면 좋겠지만, 사실 용기가 없어서 '고백'하는 것을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겁쟁이였죠. 

"그럼 어떻게 연애를 하고 결혼을 했지?"

이기는 것에 배팅을 했습니다. 와이프(구여친)가 받아 줄 것 같으니까 한 거죠. 한국판 프러포즈와 같습니다. 어차피 답은 정해져 있는데 엄청난 모험을 하는 것 같은 시늉만 하는 것 말이에요. 


허나, 사랑의 '표현'은 한 번의 '도전'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그저 시나브로 해나가는 것이죠. 사랑의 표현은 강도보다 빈도 아니겠습니까. 용기 없는 자에게 가장 좋은 표현은 매일매일. 그저 자주자주 표현하는 것입니다. 표현도 익숙해야 자연스러워집니다. 익숙하지 않으면 한 번의 표현이 더욱 어렵습니다. 매일 습관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사랑을 표현하는 일이 쌓이면 꽤 강력한 흑역사(?)가 됩니다. 

그때 왜 그랬을까?..... 

좋았나 보지요. ㅋㅋㅋㅋ

그래요 지금도 좋고, 그때도 좋았나 봅니다. 


사랑의 표현은 '강도'보다 '빈도'가 맞습니다. 자주자주 해줄수록 더 행복해지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사실 가끔 마음보다 표현이 먼저 움직일 때도 있습니다. 습관처럼 말이 먼저 나오죠. 

"사랑해. 고마워" 

아.. 제 영혼이 어디로 간 걸까요.. 

하지만, 표현이 선불제가 되면, 마음은 반자동입니다. 말로 뱉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랑하는 마음이 샘솟습니다. 


무슨 개소리냐고 하시겠지만, 몸과 마음이 힘들 때도 일부로 억지로 입을 가로로 길게 찢어 웃어 보신 적 있나요?  뇌가 멍청해서 기분이 좋은 것으로 착각하고 또 호르몬을 뿜어댑니다. 사랑에 대한 표현도 마찬가지입니다. 뱉었기 때문에 책임지려고 본능적으로 더욱 그렇게 믿게 되는 것이죠.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저에게 문제 되지 않습니다. 닭도 맛있고, 달걀도 맛있으니까요.(네?) 사랑하는 마음이 우선이냐, 표현이 우선이냐. 저에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사랑해서 '행복'한 게 우선입니다. 오늘도 가식이든 가짜든 가족이 일어나면 먼저 '사랑해. 고마워.'로 하루를 시작해야겠습니다. 제 하루는 표현한 데로 그렇게 되어갈꺼니까요. 

사랑의 표현은 부끄러운 게 아닙니다. 

시나브로 물들어 가는 거죠. (네?)




작가의 이전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