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마디썰 Dec 04. 2023

아침에 일어나면 감사한것

행복Dream. 언제나 건강이 최고

아침에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것이다.

주말에 공부하러 온 카페 옆자리의 어르신들의 대화였다.

어르신이라고 표현했지만 우리 어머니와 비슷한 연배로 생각된다.

처음 대화를 듣고 이렇게 생각했다.

 

아침에 안 일어나는 사람도 있어?

우리는 모두 아침에 일어난다. [특별한 경우는 제외]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는 것만으로 감사한 것이라니? 무슨 말씀이신지 조금 더 들어보았다

최근에 건강이 안 좋아서 몇 달 병원에 입원해 보니 아침에 일어나는 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알겠어.

아침에 남편이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감사한 줄 모르겠어

요즘은 자기 전에도 내일 일어나기만 해도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어

모두 다른 어르신의 대화 중 일부였다.

(동호회에서 만나신 친구분들이셨고, 최근에 건강이 안 좋으셔서 입원을 했었던 경험에 대한 이야기였다)


가슴 먹먹해지자고? 스토리텔링하자고?

아니다. 무거워지려고 하는 게 아니다. 같은 말을 들어도 듣는 사람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싶다.

나는 아침에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는 문구에서 처음 든 생각은 누구나 다 아침에 일어날텐 데였다. 이유는 대화를 나누시던 어르신들의 나이가 우리 어머니 정도밖에 안 되었고, 우리

만약 같은 대화를 우리 할머니뻘 되시는 분들께서 하셨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것 같다.

나는 IT회사에 재직 중이고, 경력이 14년 정도 되는 개발자다. 경력이 높아질수록 타 부서의 인원들과 IT적인 이야기를 하거나 사내에서 발표를 할 기회도 많았는데 발표 이후에 가장 많이 듣는 칭찬은 다음과 같았다.

IT 하는 사람 같지 않아요.

IT 사람치고는 발표를 잘하시네요.

발표 내용이 이해하기 쉬웠어요.

나는 진성 IT개발자를 표방하고 있고, IT개발자 그 자체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칭찬이 IT사람 같지 않다니? 무슨 소리일까?


IT 하는 사람 같지 않아요.

이 말의 속뜻은 IT 사람같이 어려운 용어 쓰거나 난생처음 듣는 개념들만 나열해서 말씀하지 않아서 감사해요였다.

맞다. 나는 비 IT 부서와의 회의 때에나 전사 발표처럼 모두가 듣고 이해해야 하는 자리에서는 IT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바로 그랬다. 당시 재직 중이던 회사는 ASP.NET을 메인 언어로 사용 중이었고, 나는 Java로 회사의 메인 언어 전환부터 아키텍의 전환, Framework 개발 등의 미션을 달성해야 했고, 이것을 전사의 모든 부서에게 개발 언어 변경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왜 변경해야 할까? IT 개발자들이라면 ASP.NET에 비하여 Java가 가지는 한국 IT에서의 위상, 이직의 편리함, 오픈 소스의 장점 등등 나열할 것들이 아주 많은 걸 알고 있을 테지만 마케팅부, 영업부서 등 비 IT분들에겐 굳이 전환할 필요가 있을까가 자리 잡고 있었다.


Java는 영어고, ASP.NET은 프랑스어입니다.

ASP.NET도 훌륭한 언어이지미나 특정 국가에서 많이 사용되고, 전 세계로 보았을 땐 상대적으로 사용성이 떨어지고, 그렇기에 국내에서 개발자 수급이 어렵고, 앞으로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영어로 전환을 해야 하고, 신기술에 대한 도입도 영어부터 시작되는 것이 IT의 추세입니다.라고 설명했고, 꽤 많은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자리에 계셨던 분들 중에서 Java, ASP.NET이 개발언어라는 것을 모르는 분은 없었다. 하지만 왜 변경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계셨던 분은 많이 없었다.

그 자리에 계셨던 분들 중에서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르는 분은 없었다. 그렇기에 프랑스어에서 영어로 변경해야 하는 점에 대해서 공감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은 상대방이 어떻게 들었는가이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A는 무슨 말을 한 것일까?

A는 B에게 [MBTI: 긍정]에 대하여 이야기했다

B는 [MBTI: 부정]으로 이해했다.

A는 긍정을 이야기한 것인가? 부정을 이야기한 것인가?

답은 예상하시는 대로 A는 부정을 이야기한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은 상대방이 어떻게 들었는가이다.

즉,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편하게 설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언제 일어나셨던 상관없다.

아침, 오후, 저녁 언제 일어나셨던지 오늘 하루 일어났고,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가 되었음 하는 마음을 담아 부모님께 전화 한 통 합시다. 저도 할게요.

작가의 이전글 Enterprise 회사에서의 DevOps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