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째 유형은 단순히 지문 속의 주제문을 찾아 선지와 맞추는 것이 아닌, 글의 전반적인 내용을 읽고 주제문을 함축하여 스스로 추론하는 유형이다.(빈칸 문장을 제외하고는 주제문이 따로 없다는 말)
2. 주제문이 처음이나 끝에 한 문장 정도 있으며(빈칸 문장), 부연설명의 공통된 단서를 모아 선지에서 단서를 가장 잘 함축할 수 있는 것을 추리하는 유형(글의 구조가 주제-부연설명, 부연설명-주제의 형식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음. 31번이 단연 많음.)
- 주제문의 특정 내용을 간결한 어구나 단어로 '함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빈칸 문제 유형 중에서도 31번 문제에 자주 나온다!
- 함축 의미 추론 문제 유형의 경우에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주제문을 첫 번째 문장이나 마지막 문장에 비유적으로 함축(?)하는 경우는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생략한다. 그렇게 되면 문제를 풀 근거가 너무 약해지고 문제 유형 자체도 지문의 어떤 근거 문장을 함축한 문장의 의미를 추론하라는 의도이기 때문에, 여기에 넣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유머는 실제적인 탈락뿐만 아니라 인식적인 비참여를 필요로 한다. 무언가가 웃기다면, 우리는 그것이 실제적인 것인지, 가상적인 것인지, 진실인지 거짓인지에 대해 현재는 걱정하지 않는다. 이것이 우리가 웃기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여지를 주는 이유이다. 그들이 상황의 어리석음을 과장하거나 몇 가지 세부 사항을 만들어 냄으로써 추가로 웃음을 얻고 있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만화적인 자유, 일종의 시적인 자유를 부여해 준다. 실제로, 웃기는 이야기를 듣는 사람 중에 이야기꾼을 고치려는 사람 - "아니, 그는 키보드와 모니터가 아니라 키보드에 스파게티를 엎어 놓았어" - 는 아마도 다른 듣는 사람들에게 방해하지 말라고 말릴 것이다. 유머를 창조하는 사람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여 그 아이디어가 가져다 줄 즐거움을 위해 만들어 낸다. _____ 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① accurate
② detailed
③ useful
④ additional
⑤ alternative
1. 빈칸 문장을 먼저 정리해 보자.
Thecreatorofhumourisputtingideasinto people’s headsforthepleasurethoseideaswillbring,nottoprovide __________ information. -> 유머를 창조하는 사람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여 즐거움을 위해 유머를 만들어내며, OO 한 정보를 위해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이 글은 '유머의 목적'에 대해서 서술되어 있을 것이며, 유머가 무엇을 위한 것이 아닌지를 찾아야 한다.
2. 앞부분을 살펴보자.
Humourinvolvesnotjustpracticaldisengagementbutcognitivedisengagement. not just a, but b 구문이다. (강조 구문은 정말 시도 때도 없이 수시로 튀어나온다.) 첫 번째 문장에서 강조구문으로 명확하게 주제를 제시해 주는? 것 같지만, 단어가 너무 어려워서 이해가 어렵다. disengagement는 engagement의 반의어로, engagement가 '참여, 관여'라고 해석되므로 이것을 반대로 돌려서 이해하면, '관여하지 않음'으로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해석을 돌려야 한다.(어렵다)
->해석하면, 유머는 실질적인 비관여뿐만 아니라, 인지적인 비관여를 수반한다인데, 이것이 무슨 말인지 지금은 알 수가 없으므로 두 번째 문장과 같이 본다.
-> 무언가가 재미있는 한, 우리는 그 순간 그것이 허구인지, 진짜인지, 가짜인지 신경 쓰지 않는다고 한다. 즉, 앞문장에서 말한 '인지적 비관여'는, 유머의 진실성 여부에 신경 쓰지 않는다, 관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이렇게 이해해야 한다)
3. 그렇다면 유머의 목적은 유머의 진실여부와 상관없으며, 재미만을 위한 것이라는 건데, 한 문장 더 읽어보자. 저 멀리, 강조의 연결사 Indeed가 보인다.
4. Indeed,someonelisteningtoafunnystorywhotriestocorrecttheteller ―'No, he didn’t spillthespaghettionthekeyboardandthemonitor,justonthe keyboard’― willprobablybetoldbytheotherlistenerstostopinterrupting.
-> 실제로, 웃기는 이야기를 듣는 사람 중에 농담을 하는 사람을 고치려는 사람은 아마도 다른 듣는 사람들에게 방해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을 것이다, 로 번역되는데, 다시 말하면, 농담은 진실성 여부와 상관없기 때문에 농담을 '교정'하려는 사람은 핀잔을 들을 것이라는 말이다.
5. 정리하면, 농담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재미'를 주기 위함이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가 된다.
6. ② detailed(세부적인), ④ additional(추가적인)과 혹시나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은데, 글 전반부에 오히려 농담을 하는 사람들은 '세부사항'을 만들어내서 웃음을 준다고 되어있기도 하고, 1) 유머의 진실성 여부는 중요하지 않으며, 2) 농담을 '교정'하려는 사람은 핀잔을 듣는다(농담이 교정되면 정확한 정보이다^^)는 내용에서 ' ① accurate'가 정답임을 충분히 추론할 수 있다. 세부적인 것, 추가적인 것과 정확성의 여부는 별개이다. 2,4 선지가 비슷한 결이기 때문에 답이 아닌 것까지 캐치했다면 더욱 훌륭하다.
2. 2024학년도 31번
Over the last decade the attention given to how children learn to read has foregrounded the nature of textuality, and of the different, interrelated ways in which readers of all ages make texts mean. ‘Reading’ now applies to a greater number of representational forms than at any time in the past: pictures, maps, screens, design graphics and photographs are all regarded as text. In addition to the innovations made possible in picture books by new printing processes, design features also predominate in other kinds, such as books of poetry and information texts. Thus, reading becomes a more complicated kind of interpretation than it was when children’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printed text, with sketches or pictures as an adjunct. Children now learn from a picture book that words and illustrations complement and enhance each other. Reading isnot simply____________. Even in the easiest texts, what a sentence ‘says’ is often not what it means.
(지난 10년 동안 아이들이 어떻게 읽기를 배우는지에 대한 관심은 텍스처의 본질과 모든 연령대의 독자들이 텍스트를 의미하는 다양하고 상호 연관된 방식을 강조해 왔다. '읽기'는 지난 시대보다 다양한 표현 형태에 적용된다: 그림, 지도, 화면, 디자인 그래픽 및 사진은 모두 텍스트로 간주된다. 새로운 인쇄 공정으로 인해 그림책에서 가능한 혁신에 추가로, 시와 정보 텍스트와 같은 다른 종류에서도 디자인 요소가 우세하다. 따라서 읽기는 인쇄된 텍스트에 아이들의 주의가 집중되고 스케치나 그림이 부속물로 사용되던 시절보다 더 복잡한 종류의 해석이 된다. 아이들은 이제 단어와 일러스트가 서로 보완하고 향상한다는 것을 그림책에서 배운다. 읽기는 단순히 _________가 아니다. 가장 쉬운 텍스트에서라도 문장이 '말하는' 것은 종종 그 의미와 다르다.)
① knowledge acquisition
② word recognition
③imaginative play
④subjective interpretation
⑤ image mapping
1. 빈칸 문장을 먼저 정리해 보자. 빈칸 문장이 이렇게 짧거나, 유의미한(?) 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앞 뒤 문장을 같이 읽으면 좋다. 뒷 문장을 엮어서 같이 읽어보자.
Reading is not simply ____________. Even in the easiest texts, what a sentence ‘says’ is often not what it means. -> 독서는 단순한 ______가 아니며, 심지어 쉬운 텍스트에서도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종종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우리가 글을 읽을 때 표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이렇게 정의할 수 있겠다. 아마, 이 지문에서 이야기하는 '독해'의 의미가 따로 있는 거 같다.
2. 앞으로 가서 글을 읽어보자. Over the last decade the attention given to how children learn to read has foregrounded the nature of textuality, and of the different, interrelated ways in which readers of all ages make texts mean. -> 지난 10년 동안 아이들이 어떻게 읽기를 배우는지에 대한 관심은 텍스처의 본질과 모든 연령대의 독자들이 텍스트를 의미하게 만드는 다양한 상호 작용 방식을 강조해 왔다. -> 글의 소재가 아이들의 '읽기 학습'이며 읽기 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다, 정도로 간추려보자. (서론에서 너무 힘 빼지 말고 최대한 간단한 언어로 정리해서 넘어간다, 서론을 완벽히 이해해서 푸는 문제는 없다.)
3. ‘Reading’ now applies to a greater number of representational forms than at any time in the past: pictures, maps, screens, design graphics and photographs are all regarded as text. -> '읽기'는 지난 시대보다 다양한 표현 형태에 적용된다. 그림, 지도, 화면, 디자인 그래픽 및 사진은 모두 텍스트로 간주된다. -> 더 이상 '글' 만이 아닌 다양한 표현이 텍스트로 간주된다는 말이다.
4. 문장을 조금 건너뛰고, '결과'를 나타내는 연결사인 'thus'로 가보자. Thus(그래서), reading becomes a more complicated kind of interpretation than it was when children’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printed text, with sketches or pictures as an adjunct. Children now learn from a picture book that words and illustrations complement and enhance each other. -> 따라서 읽기는 인쇄된 텍스트에 아이들의 주의가 집중되고 스케치나 그림이 부속물로 사용되던 시절보다 더 복잡한 종류의 해석이 된다. 또한 아이들은 그림책으로부터 이제 단어와 그림이 서로 상호보완된다라는 것을 배운다 -> 즉, 더 이상 아이들의 '읽기 학습'은 텍스트 위주가 아닌, 그림 등의 요소도 포함된 다양한 소스에서 읽기를 학습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5. 읽기는 단순히 _________가 아닙니다. -> 읽기는 더 이상 '텍스트' 위주가 아니다는 뜻이 되도록 답을 만들어주시면 된다. 정답은 ② word recognition(단어 인지)이다.
6. 지문의 주제문이 명확해 보이는 지문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text(=word)'와 'pictures, maps, screens, design graphics and photographs(그림 등의 부가적 요소)'가 계속대비되는 글임을 인지하면 쉽게 풀 수 있다. 예전에는 텍스트 위주였는데, 지금은 텍스트와 그림이 상호보완되는 식으로 그림도 중요하다! 따라서 읽기는 더 이상 단순히 '텍스트(단어 인지)'가 아니다.
3. 2021학년도 33번
Thanks to newly developed neuroimaging technology, we now have access to the specific brain changes that occur during learning. Even though all of our brains contain the same basic structures, our neural networks are as unique as our fingerprints. The latest developmental neuro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brain is much more malleable throughout life than previously assumed; it develops in response to its own processes, to its immediate and distant “environments,” and to its past and current situations. The brain seeks to create meaning through establishing or refining existing neural networks. When we learn a new fact or skill, our neurons communicate to form networks of connected information. Using this knowledge or skill results in structural changes to allow similar future impulses to travel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an others. High-activity synaptic connections are stabilized and strengthened, while connections with relatively low use are weakened and eventually pruned. In this way, our brains are ____________________.
(새로 개발된 신경 영상 기술 덕분에, 우리는 이제 학습 중 발생하는 특정 뇌 변화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우리의 모든 뇌는 동일한 기본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신경망은 우리의 지문만큼이나 독특하다. 최신 발달 신경 과학 연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뇌는 일생 동안 이전에 추정한 것보다 훨씬 더 유연하다. 그것은 자신의 것에 반응하여 발전한다. 또한 즉각적이고 먼 "환경",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상황에 반응하여 발전한다. 뇌는 기존의 신경을 확립하거나 정제함으로써 의미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우리가 새로운 사실이나 기술을 배울 때, 우리의 뉴런은 연결된 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통신한다. 이러한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여행하기 위한 유사한 미래의 신경자극을 허락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를 초래한다. 활성이 높은 시냅스 연결이 강화되고 안정화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을 가진 연결은 약해지고 결국 가지치기된다. 이런 식으로 우리의 뇌는 ________.)
① sculpted by our own history of experiences
②designed to maintain their initial structures
③ geared toward strengthening recent memories
④ twinned with the development of other organs
⑤ portrayed as the seat of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1. 빈칸 문장을 먼저 정리해 보자.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의 뇌는 ______한다고 한다.
앞의 설명을 쭉-읽고 뇌의 역할을 정리해 보자.
2. Thanks to newly developed neuroimaging technology, we now have access to the specific brain changes that occur during learning. -> 신경 영상 기술 덕분에, 우리는 학습 중의 특정한 뇌의 변화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 글의 소재는 '뇌의 변화'인 듯하다.
3. The latest developmental neuro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brain is much more malleable throughout life than previously assumed; it develops in response to its own processes, to its immediate and distant “environments,” and to its past and current situations. ->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전에 추정했던 것보다' 뇌는 일생동안 훨씬 더 유연하다고 한다. 뇌는 스스로의 과정, 즉각적이고 먼 환경,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상황에 반응하여 발달한다고 한다. 뒤의 설명은 아직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조금 더 읽어보자,
4. The brain seeks to create meaning through establishing or refining existing neural networks. -> 뇌는 '기존의' 뉴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새롭게 무언가를 만들어내거나 정제함으로써 의미를 부여한다고 한다. 앞의 문장과 연결해 보면, 뇌가 스스로의 과정에 반응하여 발달하고 자신의 과거, 현재, 환경 등에 반응한다는 말이, 원래 가지고 있던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말인 것 같다. 우리는 이렇게 지문에 나온 내용을 최대한 이용해서 '치환'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나의 배경지식과 지문이 짬뽕되어서 이상한 해석이 된다.
5. 글 자체가 반복되는 부분이나 요지가 약해서 계속 읽게 된다. 어렵다. When we learn a new fact or skill, our neurons communicate to form networks of connected information. Using this knowledge or skill results in structural changes to allow similar future impulses to travel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an others. -> 우리가 새로운 사실이나 기술을 배울 때, 우리는 뉴런은 연결된 정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의사소통한다. 이러한 지식이나 기술을 이용하면, 다른 사람들 보다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이게 여행할 수 있는 비슷한 미래의 (신경) 자극을 허락하는 구조적 변화라는 결과를 낳는다. -> 서로 연결된 정보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말이 무엇일까? 앞의 문맥을 다시 활용하면, 새로운 사실이나 기술을 배울 때도, 원래의 정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망을 형성하며, 그리고 이것은 '미래의 자극을 허락', 즉, 미래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뇌 스스로 자가 학습을 하며 스스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간다는 말이다.
6. High-activity synaptic connections are stabilized and strengthened, while connections with relatively low use are weakened and eventually pruned. -> 고 활동 시냅스 연결은 안정화되고 강화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도의 연결은 약화되고 결국에 솎아내 진다. -> 사용하지 않으니 퇴화된다는 말인 것 같다.
6. In this way, our brains are _________________. 이제는 빈칸에 들어갈 말을 '정말로 함축'해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의 뇌는 무엇을 하는 걸까?? 내용을 종합하면, 우리의 뇌는 가지고 있는 정보의 망을 활용하여 스스로 발달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이러한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한 선지를 골라보자.
① sculpted by our own history of experiences(경험의 역사에 의해 조각되는)
-> 비유적인 표현이라 헷갈릴 수 있지만, 뇌 스스로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새롭게 학습하고 이것이 다시 미래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험'의 역사라는 말은 알맞다.
②designed to maintain their initial structures(초기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설계되는)
->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한다는 말은 있었지만 유지는 아니다.
③ geared toward strengthening recent memories(최근의 기억을 강화하는 쪽으로 맞춰진)
-> 최근의 기억을 강화한다는 말은 없었다.
④ twinned with the development of other organs(다른 장기의 발달과 연관된) -> 뇌 스스로 발달한다는 내용이다. 다른 기관은 언급이 없다.
⑤ portrayed as the seat of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의 장으로 묘사되는) -> 딱히 지문에서 창의성이나 논리성에 대해 언급한 바가 없음.
7. 지문의 내용과 가장 연관이 되는 것은, ①번이다. 지문이 이렇게 어려우면 의외로 선지에서는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 지문과 관련성이 없는 것을 지워나가면 충분히 풀 수 있다.
8. 아무래도 함축 빈칸 유형은 이렇게 우리 뇌의 학습 과정을 설명하는 글처럼, '과정'을 쭉-설명하는 글이 어울린다.
1. 빈칸 문장에 대한 힌트가 1번째 유형처럼 문장이 거의 비슷한 형태로 제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이도가 어렵다.
2. 주제문이 중간중간 쌈빡하게 제시되기보다는 글을 끝까지 읽게 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과정'을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글의 빈도수가 높을 수 있다.
3. 오히려 선지에서 하나하나씩,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지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1번 유형 같은 경우에는 선지로 갔을 때, 바로 답이 보이는 편이다. 여러모로 까다로운 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