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꽃차이 Apr 27. 2024

작은 기쁨을 삶에 들일 때, 제비꽃

너를 보려고 일부러 멀리 돌아다녔어

치자나무가 없어서 아쉽던 서울의 첫봄, 학교 캠퍼스에는 오래된 느낌의 돌 건물이 많았다. 큰길보다 건물 사이 좁다란 길이 좋았다. 도서관과 법대 건물 사이, 두 명이 겨우 지나갈 만한 그 길에서 제비꽃을 발견했다. 나지막한 키에 귀여운 모습이 처음 보았는데도 방긋 웃으며 손 흔들어 주는 다섯 살 아이 같았다. 걸음을 멈추고 ‘안녕.’ 인사할 수밖에 없었다.

대개 귀여운 꽃은 노랑이나 분홍색이다. 저렇게 우아한 보라색을 하고 귀여울 수 있다니. 작다고 꼭 귀여운 건 아니니까, 오밀조밀한 모양과 숙인 듯 안 숙인 듯 갸우뚱한 고개가 그 비법 같다. 그저 몇 송이, 몇 걸음 길이의 길이었지만 나만의 소중하고 비밀스러운 공간이었다. 빨간 머리 앤이 다이애나와 학교 갈 때 지나가던 제비꽃골짜기라고 이름 붙였다.

귀여움은 아름다움보다 친근한 매력이다. 마음을 열게 하고 다가가고 싶게 한다. 우아해지고 싶거나 경계하려는 마음을 내려놓을 때 가능한, ‘나를 낮춤’이기도 하다. 아기는 볼수록 귀엽듯이, 귀여운 매력은 질리는 법 없이 빠져들고 웃게 만든다. 판다는 다른 능력이 없어서 귀여움이 무기라는데, 푸바오의 인기를 보면 그 무기가 최고구나 싶다.

내 또래 엄마들은 귀엽다는 말을 들을 일이 잘 없다. 그래서 더욱, 순간순간 툭 튀어나오는 귀여운 느낌을 놓치지 않고 말해 주고 싶다. 꽃을 받을 일이 잘 없기에 꽃을 주고 싶듯, 말꽃을 건네본다. “예쁘세요.” 하면 “아유, 아니에요.” 하는 사람도 “귀여우세요.”, “방금 참 귀여우셨어요.” 하면 스스럼없이 웃어 준다. 그 미소가 꽃 선물을 받았을 때와 꽤 닮았다.


대부분 꽃은 눈에 띄는 한 가지 치트키를 갖고 있다. 색이 눈에 띄거나 키가 크거나 얼굴이 크거나 얼굴이 작아도 무리 지어 있거나. 제비꽃은 땅딸막한 높이에 조그만 보랏빛 얼굴을 하고 있어 그마저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모르는 사람에게는.

제비꽃의 매력을 아는 사람은 봄마다 제비꽃을 발견하느라 금광처럼 즐겁다. ‘나를 생각해 주세요.’라는 제비꽃 꽃말 때문에 이타적으로 돌아보는 게 아니다. 한번 이 즐거움에 빠지면 동네 골목길마다 꿀단지 묻어 놓은 사람처럼 설레며 걷는다. 세밀화가 같은 눈을 가진 안도현 시인은 「제비꽃에 대하여」에서 이 비밀을 털어놓았다.

봄은 제비꽃을 아는 사람 앞으로는 그냥 가는 법이 없단다. 그 사람 앞에는 제비꽃 한 포기를 해마다 잊지 않고 피워 두고 가거든.


스무 살. 하루하루가 즐겁고 신나던 나이였다. 나이를 먹는 것조차 기대되던 시절. 하지만 3월에도 폭설이 내릴 수 있다. 세상의 봄에는 일기예보가 있지만, 인생의 봄에는 일기예보가 없었다.

지금도 자주 지나다니는 길에는 특별한 친구를 둔다. 캄캄한 골목길의 가로등처럼, 그 습관이 인생의 여러 어둠 속에서 나를 지켜 줄 줄은 더욱 몰랐다. 꽃으로 바위를 막을 수는 없지만, 절망은 비껴갈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다시 힘을 내고 싶을 때, 치자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