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atattobroone Aug 10. 2022

내 감정도 내 거라서요

지울 수 없다면, 받아들이고 지키려고요.



출처 하단 표기



한 동안 감정을 가지는 내가 싫었습니다. 감정은 항상 냉정한 판단을 흐리게 만들고, 뭔가 문제를 불러일으키거든요. 특히, 이리 저리로 전염되는 감정은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쳐 괜스레 주위까지 불편하게 만들게 되곤 했거든요. 제 경우에는 돌리지 못하고 직설적으로 말할 뿐 아니라, 감정이 섬세하고 일정 수준의 감정 역치를 넘어서 버리면 여과 없이 그것을 타인에게 표출하는 성향이 강했기에 제게 감정관리는 최대의 숙제였습니다. 더욱이 내가 버티고 있는 스트레스가 과할수록 더욱 그 정도가 심했습니다.


저는 늘 강한 사람이어야 한다고 스스로 되뇌었습니다. 제 감정이 타인에게 표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했습니다. 먼저 기대어오는 감정적으로 여린 사람이 아니라 누군가 기댈 수 있는, 이왕이면 마지막 방파제 같은 사람이 되었으면 했습니다. 글쎄요, 주위 사람들이 그렇게 느꼈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적어도 그런 사람이고자 했습니다. 성취욕과 욕망에 충실하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완고한 냉혈한 같은 인간이지만, 나에게 기대어 오는 사람에게는 큰 힘이 되어주는 그런 사람 말이에요. 기타 부차적인 감정과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것들은 얼마든지 삶에서 치워버릴 수 있었으면 했습니다.



출처 하단 표기



사실 그렇게 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한창 다양한 기업인들을 만날 때였는데, 그들의 목표 지향적 행동양식이 그것과 비슷했습니다. 협상에서도, 작은 인간관계에서도 득실과 이해관계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한창 만날 기회가 많았습니다. 경쟁에서 항상 승리를 최우선으로 했고, 실제로 이겨왔던 사람들이 참 많았습니다.


그들이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은 없지만, 제가 그들에게서 몇 가지 느낀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굉장히 목표 지향적이었습니다.

2. 이해관계에 민감하고 실제로 그 계산치가 어느 정도 들어맞았습니다.

3. 본인을 충분히 존중하고, 자신의 삶을 대하는 태도가 굉장히 진지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와의 작은 약속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그런 태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업무를 대하는 태도나 타인에게 뱉는 작은 말 하나조차도 참 신경을 많이 쓰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4.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잃어야 하는 것을 잘 알았습니다. 특히 '시간'에 대해 굉장히 민감했습니다. 일을 할 때에도 '~시간을 투자해서 무엇이 아웃풋으로 도출되었느냐'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감정이나 목표 달성에 불필요한 것이 낄 여유가 없었습니다. 때문에 '~의 시간, ~의 인력, ~의 자원을 투자해서 얻은 게 본인의 계산에 충분히 미치지 못할 경우가 주로 가장 크게 사람에 대해 실망하는 경우'였습니다.


그 외에도 시간을 들인다면 더 생각나는 게 있겠지만, 우선은 가장 크게 생각나는 것은 이 정도인 것 같아요. 써놓고 보니, '성공하는 1%의 비밀' 같은 자기 개발서의 서론에나 있을 말이네요. 중요한 것은 실제로 저걸 지키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아마도 저걸 지켜도 성공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저걸 지키며 사는 게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에 가깝게 사는 방법이라고 믿는 것은 아닐까요.


일을 할 때는 그럴 생각을 할 겨를도 없어서,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일을 딱 그만두고 난 이후 거울을 보니 감정을 거세하고 욕심만 가득해 그걸 이루는 데에 안달 난 검은 무언가가 있을 뿐이라는 느낌을 들었습니다. 아마 그때는 뭔가가 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출처 하단 표기



감정을 느낀 순간순간에 그것들을 뱉어내고 표현하고 표출하거나 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그것들은 시간이 지나 가슴에 남아 병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걸 다른 형식으로 승화하거나 표현해서 오해를 풀거나 스스로가 다치지 않게 최선을 다해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억누르고 바쁘게 살면서 스스로를 충분히 돌볼 생각 없이 맹목적이게 살다가는 당장은 느끼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언젠가는 그게 반작용으로 더 큰 파도가 되어서 돌아온다는 것도요.


다른 한 편으로는 내 것 하나 없는 세상에서, 감정만큼은 다른 누구의 것도 아니라 소중하게 내 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내 감정을 소중히 받아들이고 그것을 지키는 것이 결국 나를 지키는 길이라는 것을 남들보다는 좀 더 늦게 알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내 기분만 신경 쓰고 남 기분은 신경 쓰지 않는다면 그것도 꽤나 이기적이고 무례한 사람입니다. 돈 받고 일하는데 어떻게 제 기분대로 하고 살겠어요 그래서 어릴 때에는 눈길이 가지 않던 화술이나 대인관계가 점점 궁금하고 관련 서적들이 눈에 들어오는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아마도 언행의 차원에서 타인에게 무례하지 않으면서 내 감정을 충분히 신경 쓸 수 있는 적절한 지점을 찾아가는 게 사회생활을 잘해나가는 또 하나의 센스가 아닐까요.











*고료를 받지 않고 작성된 글이며, 주관적인 생각을 밝힌 글입니다. 글의 내용은 특정 단체, 특정 인물과는 무관하며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특정 인물을 비하할 의도는 없음을 밝힙니다. 이미지 및 원문의 저작권 관련해서는 개별적으로 문의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22/8/10

<내 감정도 내 꺼라서요>





그림 및 사진자료 출처:

https://www.pinterest.co.kr/pin/25403185380815084/

https://www.pinterest.co.kr/pin/351843789642432858/

https://www.pinterest.co.kr/pin/377317275034484330/

https://www.pinterest.co.kr/pin/590745676136229431/

https://www.pinterest.co.kr/pin/168533211047048233/









매거진의 이전글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