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경은 Jan 10. 2024

유화를 처음 하시는 분들께..

유화 준비물



새해가 밝았다. 

벌써 며칠이 지났지만 그래도,

유화 준비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분들을 위해..

작게나마 [유화준비물] 같은 메모의 짧은 글을 적어보았다. 



캔버스는 화방이나 인터넷 화방에서 제일 작은 것을 준비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손바닥보다 좀 큰 사이즈부터 시작해 보는 것이다. 어느 정도 유화의 터치감이나 그리는 방식에 대한 감을 잡게 되면 조금 더 사이즈를 크게 캔버스 10호나 20호에 도전해볼 수도 있다. 


젯소칠이 되어 있는 면천캔버스(왼쪽)                                                            젯소칠을 덧칠하기(오른쪽)


캔버스 면천 (젯소칠이 되어 있는 것으로) - 요즘 화방이나 인터넷에 판매하는 대부분의 캔버스는 면천에 바로 그릴 수 있게 젯소칠이 처음 되어 있다. 


젯소칠 - 젯소를 우선 소량 구비해 본다. 본격적인 캔버스 작업에 앞서 초벌을 칠해 캔버스 면의 올을 틈틈이 메꾼다는 느낌으로 젯소를 물에 적신 넓적한 빽붓 같은 것으로 곱게 칠한다. 칠하고 말리고 여러 번 할 주로 초벌작업을 꼼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유화 아크릴 겸용붓 세트  -  그림의 디테일이나 캔버스 크기에 따라 다양할수록 좋다)

그림 스타일에 따른 다양한 붓 선정



유화 기본 12색 혹은 24색  -  기본으로 구성된 세트를 사서 유화색상을 만드는 조색 연습을 하다 보면 다양한 색감과 비슷한 색상의 온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색상을 섞어 만드는데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게 되면 낱개의 물감을 따로 사서 조금씩 추가하게 되면 좀 더 풍부한 색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창한 봄날의 환한 하늘색을 만들 때 주로 쓰는 화이트를 쓰게 될 때 징크 화이트나 티타늄 화이트는 하얀 색상이 너무 강해서 주로 다른 색상을 섞어서 쓰게 된다. 이때 파운데이션 화이트나 한 톤이 좀 다운된 화이트를 물감에 섞어 쓰게 되면 원하는 부드러운 색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린시드오일, 테레핀(유화물감을 잘 희석해서 쓸 수 있는 미디엄)  -  린시드오일은 말 그대로 오일이기에 물감을 팔레트에서 잘 풀어주고 색상을 섞어주는데 잘 쓰인다. 약간은 올리브유 같은 점성을 가지고 있기에 붓에 살짝씩 감을 보면서 물감을 풀어줄 수 있다. 테레핀은 휘발성이라서 물감을 쉽게 휘발시켜 버린다. 주로 캔버스에 스케치한 뒤에 처음 물감을 칠하는 초벌칠 작업에서 이 테레핀을 좀 많이 사용하게 된다. (유화를 할 때 쓰는 오일은 린시드가 보통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해바라기유를 추천한다. 가격은 좀 나가지만 린시드와 같은 특유의 오일냄새가 거의 없을뿐더러 린시드처럼 물감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기타 면천 혹은 키친타월 - 면천은 쓰고 말리고 하다 보면 천 표면에 물감이 굳게 되어 나중에 좀 뻑뻑한 물감이 묵은 붓을 1차로 닦아낼 때 편리하다. 반면 자주 버리고 새로 써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붓을 닦을 때 보푸라기가 일어나지 않아 닦을 때 편하다. 키친타월은 휴지보다 기름 흡수력이 좋고 좀 더 튼튼해서 일회용으로 붓을 닦고 팔레트를 쉽게 막 닦아 버리기 좋다. 



그림을 그릴 대상 이미지나 사진



공간

간단하게 이렇게 준비를 하면 어느새 그림그릴 준비가 된 셈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아무래도 시간적인 여유가 10분이라도 있다면 금세 시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유화 특성상 수채화나 드로잉과는 다르게 오일 물감의 냄새와 미디엄 냄새가 좀 나므로 적당한 나만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베란다 한편에 소막하게나마 본인만의 아뜰리에를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유화는 무슨 붓으로 그려야 할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