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주현 Jul 31. 2024

영화 <다우트>가 보여주는 신뢰와 관용의 관계

관용은 온정이나 공감 능력이 아니라 신뢰 위에서 쌓을 수 있는 덕목

영화 <다우트>를 다시 보았다. 5년 전에 무척 재미있게 봤지만, 영화의 시대 배경인 1960년대 미국 사회/문화 분위기에만 주목했다. 196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다른 영화와 마찬가지로 그 때엔 미국도 상당히 가부장적이고 도덕주의적이었던 것 같다는 내 인상을 단단하게 만드는 정도였다. 지금 다시 보니, 나름 메시지가 남는다. 


제목이 말하듯이, 이야기는 신뢰에 관한 내용이다. 메릴 스트립이 연기하는 원리원칙주의자 수녀를 통해 영화는 신뢰가 뒷받침 되지 않으면, 인간에게 관용이 존재할 수 없는 원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신뢰가 임의적이고 주관적인 견해 같은 빈약한 공격만으로 얼마나 쉽게 무너지는 지도. 


즉 관용은 그저 온정이 있다거나 공감만 할 수 있으면 발휘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신뢰를 바탕해야 쌓을 수 있는 덕인 것이다. 그것이 낯선 사람을 신뢰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의해 사회적 신뢰를 두텁게 쌓은 사회일수록 관용이 쉽게 발견되는 이유일 것이다. 개개인으로서는 삶의 경험이 두터워야만 발휘될 수 있는 덕목인 이유이기도 하고. (하이에크에 의하면, 관용은 전체주의 사회에서 발견할 수 없는 개인주의 사회의 특징이다.)


아마 그래서 시장경제를 부정하는 사회주의 사회에서, 그리고 사회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 여성이 상대적으로 융통성 없는 경향이 있는 듯하기도 하다.





2024.05.30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