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한국 영화지만 유독 뮤지컬 영화에서만큼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본다면 반길만한 완성도로 관객에게 감상의 맛을 전해준다.
<국제시장>, <해운대> 등 그간 여러 작품의 흥행을 보증해 온 윤제균 감독의 지휘 아래 영화는 뮤지컬과 서사의 경계를 원활하게 오가며 무리 없이 관객의 마음에 녹아든다. 그야말로 웰메이드 뮤지컬 영화로서 손색이 없다 하겠으며, 그간 국내 뮤지컬 영화의 우여곡절을 감안해 본다면 큰 쾌거라 할 수 있겠다. 호기롭게 명작 <레미제라블>을 모델로 하여, 동시녹음이라는 위험수를 두었음에도 무리 없이 뮤지컬 넘버들을 소화해 냈다. 감독의 역량도 있었겠지만 이 부분이야말로 국내 뮤지컬 수준이 돋보이던 지점이 아니었나 싶다. 역시나 안중근 역의 '정성화'가 큰 몫을 해주었다.
뮤지컬과 영화라는 매체의 차이를 고려하여 뮤지컬 원작을 영화적 영상미로 잘 승화시켰다는 면에서, 특히 촬영 상의 스펙터클과 자유를 극대화한 점(추격신 등)이 적시했다고 보인다. 다만 뮤지컬 원작의 코미디 요소가 역사극이라는 영화적 특성에 섞이지 못하고 이질적으로 느껴지거나 감정적 몰입에 제동을 거는 측면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원작 뮤지컬이 워낙 크게 흥행하고 오랫동안 사랑받은 작품이라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장면과 넘버의 누락과 변형이 쉽지만은 않았으리라는 고충 또한 이해하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국내의 열혈 뮤지컬 팬들의 성화를 생각해 본다면..)
주연 정성화의 비장미에 비해, 조연들의 코믹극은 몰입에 제동을 건다
뮤지컬 영화로서는 (그간에 비해) 웰메이드로 평가될 수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블록버스터 공식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재미 요소를 안배하기보다 인물과 사건에 조금 더 몰입해 주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건 어쩔 수 없다. 특히 뮤지컬 원작 초연에서 보여주었던 이토와 안중근의 인간 대 인간이라는 관점의 시선이 배제된 것은 여러모로 아쉽다. 이는 단지 영화가 아니라 뮤지컬에서도 논란이 되어 일찍이 각색되었지만, 의사 안중근으로서가 아닌 인간 안중근으로 인물과 서사를 조명하는 데 있어 적절한 짝(인간 이토)으로 매치되었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는 뮤지컬 초연의 각본에 더 크게 매료되었던 기억이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의 백미는 배우 나문희가 안중근에게 보내는 노래(사랑하는 내 아들 도마에게)의 신이 아닌가 한다. 단지 이 장면만으로도 이 영화는 찬사를 받기에 마땅하다 할 정도랄까. 나문희라는 배우의 인생이 담긴 엄청난 연기 내공에 대한 감탄과 아울러, 역시 뮤지컬 넘버는 가창이 아닌 연기라는 점을 다시 한번 실감케 한다. 나문희 배우가 극 중에서 부르는 노래는 노래가 아닌 연기의 아름다운 극치였다고 하겠다. 기립으로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