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ehind you Nov 20. 2020

‘택리지’

어디에 살아야 하나, 어느곳에 살게 될까?

이중환 택리지

     



총론 중..


  ... 사람이 이미 목석이나 금수가 아니고, 사람과 더불어 이 세상에 함께 살고 있으니, 머리를 들고 눈을 뜨면 곧 남과 접촉하게 된다. 대저 남과 접촉하면 친하고 싫어하는 것이 생기고, 친함과 싫어함은 좋아하고 미워함이 생긴다. 친함과 좋아함은 어울리고 합침이 생기고, 미워함과 싫어함은 떨어지고 배반함이 생기게 한다. 한 번 어울림과 배반함, 떨어짐과 합침이라는 지목을 받게 되면, 문득 한계가 생겨 저쪽이 이쪽에 들어오지 못하고, 이쪽도 능히 저쪽에 가지 못한다. 비록 중간에서 이해를 살펴 행동하려 해도 또한 할 수 없다. 오직 이 한계가 사람을 우리에 가두어 산도 하수도 아닌 것이 쇠와 돌보다 더 굳고, 방향도 없는 것이 정해진 위치만은 확실하다. 한 사람도 이 우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바, 이것이 오늘날 치우친 논의의 형태이다.


  이 치우친 논의가 처음에는 사대부 사이에서 생겼으나, 끝판의 폐단은 사람을 서로 용납될 곳이 없게 한다. 옛말에 “불이 나무에서 생겼으나, 불이 일어나면 반드시 나무를 이긴다.”하였다. 그러므로 동쪽에도 살 수 없고, 서쪽에도 살 수 없으며, 남쪽에도 살 수 없고, 북쪽에도 또 살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살 곳이 없다. 살 곳이 없으면 동.서.남.북이 없고, 동서남북이 없으면 곧 사물이 구별이 확실하지 않는 하나의 태극도이다. 이렇다면 사대부도 없고, 농.공.상도 없으며, 또 살 만한 곳도 없을 것이니, 이것을 땅이 아닌 땅이라 하는 것이다. 이에 사대부가 살 만한 곳을 기록한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도서관에서 택리지를 읽다 필사한 구절이다.

토지에 대한 관찰인줄 알았으나, 사람에 대한 기록이었다.


작가의 이전글 제16차 이산가족상봉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