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표정의 소재와 아가페 사랑]

1. 소재의 투명성

시는 소재의 투명성과 표정의 소재를 찾아 의식의 토로를 거쳐 나오는  글을 정서의 질서 현상이라 한다.

[대중문화평론가/칼럼니스트/이승섭시인]

왜 그런가 하면 누구나 체험이 바탕을 이루면서 상상력의 조력을 받을 때 일정한 질서의 규범을 지켜가면서 시인 개개인의 정신세계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만의 세계를 만들기 위해 삶의 방식을 추구하면서 의미의 조직화에 혼신 힘을 발휘한다.

거기에 더러는 성공한 사람도 있을 것이며 도로(徒勞)에 그치는 시인도 있다.

그러나 명망(名望)을 얻거나 그 반대인가는 그리 중요한 일은 아니다. 다만 새로움을 찾아 자기만의 성을 구축하려는 일상의 노력이 가상한 것이지 유명의 대열과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

유명은 부풀어 오른 거품현상이지 자신의 참된 의미와는 무의미할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시를 그리고 글을 쓰는 일도 그렇다. 삶과 생이라는 고해의 바다에서 오로지 자기 정화 혹은 수양의 도구일 때, 시의 가치 글의 가치는 참된 자기와의 만남 혹은 그런 표정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시를 쓰고 글을 쓰는 일은 진실, 혹은 순수와 대화를 나누는 일이 한정된다.

자신 삶과 오뇌(懊惱)와 고통 신산한 생의 이름들이 모여 순화의 과정을 거칠 때 비로소 시와 글은 아름다움을 손짓하는 가락으로 이름을 갖는 역설의 이름이기 때문이다.

시는 헌신과 사랑 그리고 삶에 대한 성찰 혹은 자기를 돌아보는 닦음의 소재가 의식의 통로를 통해서 가락을 형성한다. 물론 저변에는 부모나 고향, 자연, 삼라만상의 정서가 시의 원형을 이루는 표정이기에 늘 순수함을 잃지 않는 정신 정서가 있어야겠다.    

       

2. 함께하는 의식과 아가페 헌신         

  

낮은 곳에 흐르는 물은 속성이 겸손에 있다.

거스름이 없고 순리에 따르는 것은 그만큼 달관의 높은 경지를 확보했다는 의미도 되지만 인생에 커다란 교훈으로 남을 것이다.  

지배보다는 헌신이고 교만보다는 겸손을 앞세울 때 아가페 사랑의 마음이 깃들게 되고 사랑의 넓이는 따스함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Van Gogh가 파리 시대에 그린 「Les Souliers」라는 작품 본 적이 있다. 한 켤레의 농부 구두에서 서럽게 살아온 농부의 슬픈 삶에 고달픔과 생의 아픔이 낡았고 지친 표현의 구두에는 충분한 소명이 담겨 있는 것을 느낀다. 그뿐만 아니라 Gogh가 그린 「La Chaise De Vincent」 또한 딱딱하고 비뚤어진 의자 모습에서 삶의 고단함을 유추하는 일은 쉬운 일일 것이다.

이러한 일들은 작품과 작가의 모든 생을 압축하는 일이기 때문에 결국 체험과 상상력은 작품과 밀접한 상관 하에서 출발한다.     


변함없이 발을 감싸는 신발

지치고 고달프고 고통을 당해도

마음 넓게 감싸는 신발     

제 몸 모두 닳고 닳아도

내색하지 않고 발을 보호하는 신발

남 보기 부끄러워도 묵묵히 나의 분신     

닳고 닳은 모양새

언제나 나를 지켜주는 신발

분신이고 내 짝인 너 고맙다. 신발    

 

                    <분신> 중에서     


시인이 시집을 상재할 때마다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건 작품의 순서를 배열해야 독자에게 강한 모습과 첫인상을 독자에게 어필하려는 발상에서 맨 앞 페이지에 있는 작품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을 감싸고 인간을 보호하는 의상은 다양하다. 그러나 의상과 어울리는 신발이 깔끔하면 그 사람의 인상은 멋진 사람으로 인식하고 지저분하게 의상을 입으면 흐린 인상을 각인시켜주는 일은 우리 인상에서 좌우되는 것은 당연하다. 앞에서 고흐가 그린 농부의 신발에서 삶의 고단함과 서글픈 농부의 등식처럼, 시인과 구두는 비교가치로 연결되어 가치가 높다 보겠다.


신발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기에 어떤 경우에든지 주인을 위해 아픔을 참고 “/끈기 있고 /마음 넓게 나를 감싸는 신발”/이라는 임무에 헌신해야 한다. /지치고 고달프고/ 고통을 당해도/마음 넓게 감싸는 신발/남 보기 부끄러워도 묵묵히 나의 분신/무한 성실을 다할 때 우리의 앞날이 밝아지는 희망의 푸른 이름이 빛이 난다.

헌신, 봉사는 때로 고독하고 외로울 수가 있다. 왜 그런가 하면 이타행(利他行)은 자기를 희생하는 바탕 위에서만이 비로소 성립되는 Eros 적인 희생이기 때문이다.

       

햇빛은 늘 변함없이 환한 웃음 선물하고

우리네는 마냥 선물만 받는다.


세상 인연 맺은 날부터 지금까지도

무한 사랑에 에너지를 주었건만

우리네 당연하다고 생각하기만 하고     

빛은 우리네에게 행복하게 살라고

알려주지만 그 의미 모르고

우리네는 깨닫지 못하고 사네     


                   <감사하는 마음> 중에서     

  

사랑은 대상과 대상의 교감이 성립될 때, 비로소 빛을 발하는 이치처럼 헌신과 봉사에도 그런 교감은 필요할 것이다. 왜 그런가 하면 일방적일 경우 짝사랑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神에게 드리는 기도조차도 응답을 기다리는 신도의 자세처럼 봉사에도 일정한 대가는 보여야 할 것이다.

시인은 햇빛의 일방적인 사랑에 ‘우리네’ 감사함이 없이 마냥 받고 돌아서는 일에 서운함이 있을 것이다. 몰이해(沒理解)는 실망과 고단함이 따라오지만 조건 없는 사랑을 바칠 때, 아가페적인 무한의 사랑은 고귀한 것이다. 일방적으로 받아서가 아니라 주었을 때, 비로소 빛나는 가치로 돌아서는 이유를 우리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3. 아가페 사랑        


시인이란 사물을 바라보면서 사랑을 찾아 나서고 그것을 어떻게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인가 또는 생을 다해 어떻게 작품을 완성하는가의 신명을 다 바치는 사람들이기에-

왜 그런가 하면 시는 곧 인간을 사랑하는 일이고 자연을 끌어와서 인간과 하나로 통합하는 일을 대신하는 사람일 때, 시는 고귀한 가치와 정신으로 표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시는 가장 많은 시적 정서가 사랑의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 말을 바꾸면 인간을 사랑하고 자연과 대상을 하나로 묶어 평화로운 땅을 만들 때, 시는 공고한 성주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의 변신」, 「사랑의 그물망」, 「사랑의 전서」, 「꽃의 사랑」 등을 보면 더욱 그렇다.

시는 체험의 요소와 상상력 그리고 의미와 신념이 1편의 시를 만나는 일기기 때문에 종국은 생각의 방향과 의지가 시화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면 사랑의 감수성이 많은 이유는 시인의 정서 모두가 그런 방향으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하기에-

시인은 시인의 내적 고백이고, 이 고백은 진실의 함량이 우선하기 때문에 독자의 심금을 울릴 수 있다는 뜻이다.          


언제부터인지 내게 그대라는 은행이

하나 생겼어요.

장기로 복리 우대로 사랑 계좌를 만들었어요.

당신이 내게 사랑이라는 원금을 보낼 때마다

모두 그대를 위해 입금했어요.

고스란히 찾아서 그대가 가지세요.

사랑의 통장을     


           <사랑 통장> 중에서          

 

너무나 신선하고 상상 비유의 사랑법인 듯하다. 많은 시평을 해보았지만 사랑을 은행에 저장하여 복리로 부풀려서 주겠다는 비유는 가히 약성의 비유인 듯하여 독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시인 듯하다.

시는 비유일 뿐만 아니라 상징의 도구를 통해 언어의 신선함을 위해서는 심지어 언어를 버리면서 언어를 획득하려는 역설의 기교를 높게 평가를 하고 싶다.

은행의 이름은 그대이고 시인은 사랑의 계좌에 수시로 입, 출금이 들락거리면서가 아니라 복리를 위해 장기간 계좌를 준다는 점에서 사랑의 가치가 한층 고조되어 너무나 멋진 시가 아닌가 한다.

여기서 사랑은 계산이 아니고 오로지 저금하는 일이라는 의미에서 뒷날 받을 자산가치는 행복이 넘치는 화려한 것이다.

이는 곧 행복이라는 궁극의 지점에 도달됨을 뜻하는 것이다.    

 

4. 에필로그 하면서     


사랑은 헌신에서 나오는 것이며 헌신은 더 큰 사랑의 길을 여는 아가페 사랑이라면 시는 순수한 투명이 남다르게 시의 표정을 밝게 한다.

이는 그의 삶의 질료(質料)가 되기도 하며 평생을 지속하는 삶의 에너지로 작동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소재와 사랑이라는 아름다움에서 관조의 경지에 오른 듯한 때라야 하늘이 보이고 천지가 보이는 것이다.

소재와 사랑은 그렇게 높은 가치가 있는 것이며 행복을 주는 것이라 이를 지키기 위해서 끝없는 자기 수양과 정화의 노력은 배가 되는 것은 당연지사라-     

시인은 이러한 이치를 수행하는 행동의 모범이 날마다 자기 수양을 이어가는 것일 것이다.

생을 살아가는 데에는 정답은 없다.

자기의 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절제와 균형을 갖추는 삶의 모습이 투명해야 한다는 조건 앞에 시인은 당당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질서의 부당함과 불합리에는 몸살을 앓고, 공정, 정의와 옳은 것을 위해 신명을 바치는 자세가 필요하다.

시의 정신을 이룩하고 삶의 지표로 삼는 것은 책무라 보며 진정한 시인이라 할 것이라 강하게 주장하면서 에필로그 한다.  

   

2023. 12.      


대중문화평론가/칼럼니스트/이승섭시인    

[이승섭 시평집]
[이승섭 시평집]


작가의 이전글 [한국 시에 대한 정신가치와 변화의 정통성 찾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