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마음과 눈으로 보는 상상]

『마음의 눈』

      

시(詩)는 버리는 것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이는 정신의 맑음과 자정하고 지향하기 위한 조건이지만 사실 무엇을 버린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왜 그런가 하면 인간의 마음은 모으는 것을 원하지만 버리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詩)는 세상의 모든 사물을 쌓으려는 욕망이 아니라 무심(無心)의 경지로 화(化)하는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시(詩)를 쓰기는 일상인의 정서와는 다른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사물을 통찰하는 눈 – 아니 심안(Minds Eye)의 경지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상의 눈 – 가시의 범위는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기에-

[대중문화평론가/칼럼니스트/이승섭시인]

그러나 마음으로 가는 길은 제한이 없고 무한의 거리를 질주할 수 있음에서 형형(炯炯)한 공간을 점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시(詩)는 욕망으로는 쓸 수 없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마음에서 욕망의 파도를 걷어내야 하며 현실에서 언어의 절제를 할 줄 아는 태도와 자정 능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결굴 이 둘의 문제는 시인이 시(詩)를 쓰는 태도와 상관을 갖지만 시(詩)는 정신이라는 규범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산문은 팽창적인 언어 운용이 필요하지만, 시는 수축적이고 긴축적인 언어 운용에 따른 언어 탄력을 요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시(詩)는 정신의 도(道)를 갖추는 일이 조건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정신이란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시를 쓰는 시인들에게 필요한 문제는 언어 운용의 절제와 사물을 바라보는 눈을 현실적 혹은 현상적인 것에 국한되는 시야의 “좁음” 현상의 타개 즉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방법과, 시인이 무엇인가의 정신문제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세 가지의 문제는 시(詩)를 쓰는 본질이겠지만 늘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열성에서 노력을 배가할 일이라야 할 것이다.     

시(詩)는 천재적 상상이 빚은 산물이지만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 모든 책을 섭렵하여 덧칠하는 문학이 아니라 상상의 날개를 달아 창작의 수순을 밟는 것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무조건 강조하고 싶다.



군더더기가 많은 것은 시(詩)의 노화 현상이고 언어의 절제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은 시(詩)적인 기교에 부족함을 증하는 일이기 때문에 언제나 자기 자신을 돌아보면서 앞으로 가는 길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언이 필요할 것 같다.     

사실 문학의 길은 인간의 삶이 펼쳐지는 길이기 때문에 표현 속에는 작가의 삶이 투영되어 나타난다.

물론 눈으로 보이는 현상적인 길이 아닌 내면의 세계를 표출하는 점에서 문학은 진솔한 모습과 만나는 일인 것이다. 물론 전자에서는 위장이 나타날 수 있고 후자에서는 낯설게 하기라는 방법으로 변형을 일삼지만 진정성이 확인되는 점에서 문학의 가치는 유용한 삶의 길을 제시하는데 목표가 있는 것이다.

진실은 가장 강한 힘을 갖고 있기에 감동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물론 진실한 마음 위해 문학적 언어의 기교를 더할 때,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심성(心性)은 대체로 선천적인 반면 언어의 운용은 절차탁마 (切磋琢磨)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지 않으면 선천적으로 유산을 받았다 해서  좋은 시가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평범한 말이지만 수련에 의해 일정치의 목적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시인(詩人)은 끝없는 곳에 도달하기 위해 거의 맹목의 수도승과 같은 행보를 보여야 한다.



새로운 감수성을 충전하기 위해 눈을 두리번거리면서 자기 시(詩)의 수호자가 되기 위한 방황은 결국 시(詩)의 맑은 표정을 만남으로써 시인의 소망은 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詩)는 항상 시인(詩人)과 먼 거리를 유지하면서 손짓을 보내지만 시(詩)와 시인(詩人)의 관계는 분리된 거리만큼 시(詩)의 열망은 사랑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시(詩)는 궁극적으로 사랑의 소산이기 때문에 감동을 잉태하는 이치이고 자연의 육화(肉化)와 같을 것이다.

바라보는 자연과 느끼는 자연이 있다면 전자보다 후자에서 훨씬 심화된 의미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오감의 80%가 시각에 의존하는 양이라면 눈으로 보는 것 –

이를 과학이라 하는 것이다. 하나 무당이 시퍼런 작두 위에서 맨발로 서는 이치나, 시인(詩人)이 신을 불러오는 것 – 이를 Ectasy라 하면 이에 대한 정확도나 과학적인 설명은 벽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눈으로 보는 현상적인 것보다는 심안(minds eye)에서는 천리 길조차 투시할 수 있는 것이 시인(詩人)의 마음인 것이다.


왜냐하면 사물을 마음으로 볼 때, 오히려 새로운 것 그리고 신기한 것을 찾아내는 인간의 마음을 과학은 도저히 설명할 수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시(詩)는 감각적인 통합 작용이 빚은 조화미(調和美)라면 편향성을 넘어선 또 다른 지평을 만나는 일이 감각의 지평을 넘는 조화(調和)의 일이 될 것 같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따로따로 구분되는 의식이기보다는 오히려 하나 속에서 다 향함의 특색을 만나는 이치 –

이것이 감각의 통합성이 될 것이다.      

자칫 혼합해서 오는 혼란을 부추기는 우를 범할 수 있지만, 원숙의 길이 열리면 이러한 이치는 염려를 넘어 조화를 이룩하게 된다.

시(詩)에서 결점이 있다면 장식적(裝飾的)인 요소는 이미지의 과시 혹은 꾸밈으로 인해 시적 팽창을 방해하지만, 한약에서는 독약조차 적절한 배합으로 양약(良藥)이 되는 경험의 배합은 시에서도 예외가 아닌 것이다.

    

에필로그에서》    


추억은 항상 질축한 정서를 이끌고 오지만 달관의 숲에 들어서 무게를 느낄 수 없는 느낌이 오는 것이 유명의 시인이라 하는 것이다.

명성이 자자한 작가라면 원숙의 경지에 올라서면 무게를 느끼지 못하는 시인의 경지에서의 인상이 확인되는 것이다.

길을 재촉하는 인상이나 혹은 조급증이 없는 지상의 시인(詩人) 다시 미지의 공화국 건설을 꿈꾼다.

그 공화국은 아름다움과 순수와 투명한 의식을 가진 시인만을 위해 문을 열고 싶어  하는 것이다.

이는 상상으로 빚은 낙원의 이름일 때, 꿈꾸는 시인의 모습이 숙연해진다.

자연의 육화는 대상과 대상이 경계를 갖지 않을 때, 많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

심지어 풀과의 대화나 새들과의 대화에서 있고 없음을 넘는 천의무봉을 지향하는 순수의 깊이를 방문하게 된다면, 그리고 대가의 시인이라면 이제 길을 열어놓고 손짓을 모습이 보이는 것 같다.     

모든 시(詩)에는 그 나름의 시적인 인상이 남는다.

명상의 숲을 지나면 인생의 깊이를 방문하는 의미의 무상함이 본질로 읽히고, 평화롭고 조용한 공간을 소요하는 스님들의 모습에서 생(生)의 장엄함을 연상케 한다.

황혼의 꿈으로 가는 길이 이어지고 내일에의 손짓이 아름답게 채색되는 분위기에서 초연함이 연출된다.           

가는 계절 감각의 추억을 일구는 봄이 기다려지는 것은 익어가는 등가를 이루면서 시(詩)의 무드를 장악하게 되는 것이다.

시는 의미를 건지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는 감동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전달의 방법은 가장 시(詩)적인 의장을 걸칠 때 언어의 미감(美感)은 살아나는 것이다.

시(詩)와 언어의 결합은 결국 시인의 재능에 귀속할 뿐만 아니라 사상을 내포하는 기교까지 수용되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소회는 동양적인 우주관과 일치하고 인식, 정적, 평온한 정서, 관조하는 느림 미학, 등이 시의 그림을 그리고 시의 얼굴을 그려가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마음과 눈으로 보는 상상의 눈으로 시를 그려야 한다는 이치는 불멸의 원칙이 아닌가 하면서 필자의 초라함 보다는 그래도 경륜에서 나오는 뜻에서 이 글을 에필로그 한다.



2024. 01.


      

대중문화평론가/칼럼니스트/이승섭시인 

[필자의 저서]
[필자의 저서]
[필자의 시평집]


                     

작가의 이전글 [내 머물 곳 어디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