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 파도를 이 물결을 돌려줄게>
우리는 우리가 얼마나 다른 사람인지를 잊는 것 같다. 가끔, 어쩌면 생각보다 더 자주. 당연한 결과이긴 하다. 세상에 태어나기도 전에 이미 인간사회에 포함되어 틀 안의 규칙을 배우니까.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르고. 옳은 말과 행동엔 칭찬과 격려가, 어긋난 것들엔 꾸중과 질타를. 어린아이일 땐 ‘왜?’라는 물음을 일삼으며 그만의 이유를 찾아가지만, 언젠가부터 입 밖으로 물음이 튀어나오지 않는다. 계기는 알 수 없으나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의젓함, 성숙, 적응의 결과라고 여긴다. 사회에 있는 무수한 '어른'들이 그러하듯.
하지만 암묵 속에 묻힌 물음은 언젠가 터져 나오기 마련이다. 모두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규범과 정상성, 그 모든 것을 전복하려는 시도 또한. 혼란에 빠뜨리려는 게 아니다. 너무 좁지 않느냐고 묻고 싶은 거다. 우리가 수용하는 옳음은 마치 송곳처럼 좁고 뾰족하기만 하다고. 송곳의 원래 의도는 무언가를 뚫거나 구멍을 내기 위함인데 우린 왜 그 도구 위에 발을 디디어 서고자 하느냐고. 그러면 다칠 텐데.
어느 누군가들은 각자에게 주어진 송곳에 잘 적응해서 문제없을지도 모르겠다. 다만 송곳은 송곳이라서 살면서 한 번쯤은 삐끗할 일이 생긴다. 주류에서 한참 벗어난 느낌, 나의 존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느낌, 깊은 구덩이에 잘못 빠진 느낌. 내쳐지는 경험을 인간 모두가 경험한다는 건 참으로도 다행인 일이다. 상황은 다를지언정 괴로운 때의 감각은 아주 잘 아니까.
사람들에겐 서로를 이해할 수밖에 없는, 본질적으론 똑같은 경험이 존재한다. 다만 그 존재를 인지하지 않고, 인정하려 들지 않고, 서로 다르다고 배척하기에 끝없는 경계를 만든 것이지. 이 영화를 보는 시선도 비슷하지 않을까? 실험영화라고 한들 최소한 극영화의 틀은 갖춘 것인지, 레즈비언을 다뤘다고 할 수 있을지, 사랑이라고 보기 어렵진 않은지. 취향이고 아니고의 관점에선 평이 갈리겠지만 스스로 되물어 볼 질문이 있지 않나.
이 영화는 왜 이렇게 찍은 거지?
뭘 보여주고 싶었던 거야?
* 아래부터 연출의 일부를 언급하지만, 영화 관람에 방해가 될 정도는 아닙니다.
암전 된 화면에서 내레이션으로 시작하는 영화. 그런데 러닝타임 내내 내레이션이 이어진다면? 낯설 게 자명하다. 그런데 그보다 더 낯선 흐름들이 많아서, 장담컨대 대화는 없고 인물들의 내레이션만 나온다는 사실을 가장 나중에서야 깨달을 거다. 이처럼 비정형성을 띄고 있는 영화이긴 하나 '실험영화'라는 카테고리 안에선 지극히 전형적인 면모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과 당연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들 또한 이와 비슷할지 모른다. 어느 카테고리에서는 유별나도 또 다른 곳에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그럼 결국, 차이랄 게 있나. 객체는 변함없다. 판단의 주체인 우리 개인이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지각하는 것이지.
우리는 괴물이고, 마녀이고, 도깨비이다.
영진과 재연이 서로를 꽁꽁 숨기며 살아야 하는 것, 함께 살 수 없는 것은 그러므로 당연한 일은 아니다. 어쩔 수 없는 일도 아니고. 대다수가 그들을 괴물과 마녀, 도깨비 같은 카테고리를 투과해 본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 대다수. 머릿수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나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견고하고도 암묵적인 틀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들이 숨어야 한다는 사실에 동의할 사람이 이전보다 줄었다고 한들 그들은 여전히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으니까.
두 사람은 구체성을 지녔다. 영진, 이라는 이름과 재연, 이라는 이름. 그리고 둘의 외형으로. 흐릿하고 깨진 이미지들이 시각적 혼란을 야기한다고 해도 인물들이 지워질 정도는 아니었다. 게다가 그들은 끊임없이 발화한다. 자신을 주어로.
액자식 구성과 비슷하다고 할까. 주인공은 두 사람이 아니다. 정확히는 '겨우' 두 사람은 아니다. 이름도, 생김새도, 목소리도 알 수 없어서 마치 비존재하는 것 같은 무수한 이들. 다소 남루한 모양새가 동정을 불러일으키질 않고 되레 기이함을 불러오는 이들. 그래. 마녀, 괴물, 도깨비. 그런 것들과 어울릴 것 같은 존재들. 이러한 비존재들은 아무리 모습을 드러내도 세상이 인지하기엔 턱없이 미미해서 구체적인 인물이 필요했던 게 아닌가.
그렇다고 해서 두 사람이 모든 비존재를 대변한다고 말하긴 어렵다. 그건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성립할 수 있는 관계이다. 일종의 환상이랄지. 모두가 비존재인 건 마찬가지인데 그중 몇몇은 마치 자신의 모습을 자유로이 드러내고 일상을 영위할 수 있어서, 사회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존재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을 일컫는 카테고리는 바뀌지 않았다. 정말, 이 둘이 자유로웠다면 낙원 찾기에 돌입할 리 없다.
낙원.
그건 어디인가. 유토피아의 다른 말이 아닌가. 상상하면 할수록 아득하게 멀어지는.
디스토피아 세계에서 유토피아를 찾는 또 다른 영화, <매드맥스:분노의 도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진다. 주인공은 정체 모를 낙원을 향해 살던 곳을 떠나고 좌절한다. 자신의 삶을 지탱하던 꿈같은 공간은 말 그대로 꿈에 그쳤다. 이젠 어디로 향한단 말인가. 그는 습관처럼 어딘지도 모를 앞을 향하려 한다. 이미 거나하게 뒤통수를 맞아놓고도, 습관처럼.
하지만 낙원은 다른 곳에 있지 않다. 여길 벗어나 새로운 곳을 간다고 해서 크게 달라질 건 없다. 오히려 새롭게 무언가를 일구고 적응할 시간과 노력이 배로 들 게 분명하다. 그럼 대체 어디로 가야 한단 말인가? 돌아가야 한다. 자신이 그토록 벗어나고 싶던 곳으로. 그곳은 좋든 싫든 그가 여태껏 살아온 터전이고 집이니까. 낙원은 발견하는 게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그 과정에선 몇 천 번의 부서짐을 만날 것이다. 굽이치는 물결이 부서지고, 다시 물결을 만들고, 순식간에 부서지고, 그럼에도 다시 물결을 이루듯이.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빙글빙글 돌며 하나의 작은 원을 그리다 보면 또 다른 비존재가 모여들어 조금 더 큰 원을 그리고, 사회 안에 자연스럽게 속한 다른 이들도 손을 잡고. 끝나지 않을 물결이 요동친다.
바다가 끝나는 곳에 다다르기엔 물결이 너무나도 큰 시점이 오면, 파도는 더 이상 부서질 일이 없겠지. 꿈에만 그리던 낙원이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앞에 펼쳐지는 순간. 그때를 기약하며 오늘도 파도는 망설임 없이 철썩대며 부딪힌다.
2023. 04. 28 / 13:00 (230) 메가박스 전주객사 1관
2023. 04. 30 / 13:30 (335) 메가박스 전주객사 6관
2023. 05. 02 / 21:00 (411) CGV전주고사 4관
2023. 05. 04 / 16:00 (822) 메가박스 전주객사 3관
2023.04.27(목) ~ 2023.05.06(토)
*씨네랩에서 전주국제영화제 기자로 참석하여, 관람 후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