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자들은 18C는 자유의 시대, 19C는 평등의 시대, 그리고 지금 20C는 공동체의 시대라고 말합니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서로 다른 너와 내가 안전하게 공존하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현함으로써 조직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빠른 속도와 결정이 효율적이라 생각했지만, 이제는 다양한 목소리가 함께 동의할 때 오래 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변화를 결정하는 과정에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오류와 분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구성원들은 각자의 장점이 있고, 어떤 조직도 자원을 낭비할 여유가 없습니다.
다양한 이들의 자원(다양한 장점, 관점, 잠재력)들을 다 활용해서, 각자가 속한 조직이 더 유연하고 독창성(독특성)을 지닌 공동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자신이 속한 조직에 소속할 만한 가치를 발견하고, 그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주체성을 찾으며, 자신의 의견과 주장이 적용될 수 있는 통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면 개개인은 조직에서 포용성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이런 고민을 하는 곳은 이로움을 추구하는 기업이나 학교만은 아닙니다. 물리적, 정기적으로 같은 공간에 소속되어 있고, 동일한 가치체계를 갖고 있는 조직인 종교단체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권위적 명령체계나 급여체계가 명확하지 않고 사회 내 조직에서 통용되는 가치가 아닌 별도의 가치체계를 따르기 때문에 소속감을 갖지 못해 떠나거나 예전에는 당연하다 여겼던 가치와 행위에 대해 '왜요? 제가요? 이걸요?'라 묻는 이들에게 무엇이라 말해줘야 할 지 도저히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종교단체의 리더들은 '왜 떠날까/ / 왜 나오는 사람만 나올까? / 왜 하는 사람만 할까?' 고민합니다.
공동체성을 주제로, 한 교회에서 강의 요청이 있었습니다. 30대~70대 분들 40명 정도가 참여하셨습니다.
<강의 세부 내용>
Intro. 당연하다 생각한 것, 누구를 불편케 하는가
--> 방향: 원래 그렇지 않아? << 모두를 위한 곳
--> 방법: 다름을 받아들이는 힘을 기르는 것
1. 우리의 안전한 울타리가 가진 양면성
1) 안전한 나(우리)의 경계
-안전감을 위해 경계(울타리) 형성: 규정짓기, 효율적 판단에 도움이 됨.
-대중의 보편적 인정 / 개인 삶의 경험을 통해 형성됨.
--> 특정한 인식 아래에 대상을 가두는 것 ; ‘대상화’
2) 내 인식의 경계를 해칠지도 모르는 너(너희)의 배제
: 상식은 정말 ‘모두’의 기준인가?
2. 모두가 자연스럽고 편안한 공동체
1) 자기에 대한 인식: 이상적 자기 / 당위적 자기 / 실제적 자기
2) 자신을 지키기 위한 감정-자기긍정과 자기혐오
3) 자연스러운 나로 존재할 수 있는 곳: 계속된 자기발견(경계를 넘어)과 수용(미완료의 나)
4) 너와 내가 편안하게 존재할 수 있는 곳
* 왜 떠날까/ / 왜 나오는 사람만 나올까? / 왜 하는 사람만 할까?
; (다양성) --> (포용성) --> (공동체성)
힘이 되는 공동체는 세계시민교육, 문화 예술교육, 진로 준비교육, 마을공동체 역량 강화 교육 등
각 분야의 석사, 박사, 교수 등의 현장 전문가들이 강의,
연구, 정부부처의 사업과 퍼실리테이터 경력을 토대로
교육 및 컨설팅을 수행합니다.
강의, 컨설팅, 사업, 퍼실리테이션 등에 대한
상황별 대상별 맞춤형 교육 설계, 교육과정 개발,
교육 진행이 가능합니다.
관련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언제든 문의주세요 :)
전화번호: 010 2292 8938
이메일: withcommunit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