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재경 Aug 27. 2022

마음이 끓는 온도가 각자 다를 뿐

“어떤 영화를 제일 좋아하세요?”

세상에서 가장 뻔한 질문 앞에서도 가끔 말문이 막히곤 한다.


‘OOO 감독의 영화를 좋아한다고 할까? 아냐, 그렇게 말하기엔 난 그 감독의 영화를 다 보지도 못했어. 내가 안 본 영화 얘기가 나오면 망신만 당할 거야. 그럼 그냥 OO 장르를 좋아한다고 답할까? 그런데 그 장르의 역사를 물어보면? 난 잘 모르는데.’


머릿속에서 이런 고민들이 어지러이 떠다니는 동안 내 답변은 점점 늦어져만 간다. 그러다 상대방이 나의 침묵에 머쓱할 때쯤 힘겹게 입을 뗀다.


“저는… 그냥 안 가리고 다 좋아해요.”


이렇게 세상 재미없고 뭉툭한 답변을 내놓을 때마다 뭐든 깊게 파고드는 사람들이 부러웠다. 좋아하는 대상에 몰두하는 끈기와 누가 물어도 “아 그건 말이지….”라며 막힘없이 썰을 풀어놓는 정보력까지. 눈을 반짝이며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사람들을 볼 때면 마음이 한없이 쪼그라들었다. 끈기가 부족한 나는 뭔가에 꽂혀도 그 열정이 3개월 이상 가지 못했고 이내 다른 대상에 눈을 돌리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이런 나와 달리 친구 K는 하나에 빠지면 뭐든 끝을 보고야 마는 성격이다. K가 그림 그리는 걸 좋아하게 됐다 치자. 그럼 K는 낙서를 끄적거리는 수준에서 끝내지 않고, 태블릿을 사서 본격적으로 웹툰을 그릴 정도로 깊숙이 파고들고는 했다. 이런 K가 얼마 전 새롭게 빠진 대상은 바로 ‘서핑’이다. 몇 년 전 서핑에 입문한 K는 여름만 되면 서퍼들의 성지라는 양양과 부산의 바다를 오가며 서핑을 즐기기 시작했다. 그것만으로도 ‘얘 참 대단하네.’라고 생각했는데 하다 하다 서핑하러 호주까지 다녀와 날 놀라게 했다. 


이쯤에서 반전 하나는 내가 K보다 1년 먼저 서핑을 배웠다는 것. 그리고 여기서 더 반전은 나는 아직도 파도를 제대로 된 자세로 타지 못한다는 사실. 당연한 결과다. K가 서핑에 꽂혀 여러 번 바다를 오가고 서핑 트립까지 떠나며 명실상부 ‘서핑 마니아’가 되어가는 동안 나는 고작 두어 번 더 바다를 찾았을 뿐이니까.


언제나 그렇듯 K와 달리 나는 뜨뜻미지근하게 서핑의 주변부만 맴돌았다. 그러나 의외인 건 몇 번 안 되는 서핑의 추억을 떠올릴 때마다 ‘그때 참 재밌었지.’라는 생각과 함께 입가에 미소가 걸린다는 거다.


이런 내 모습을 보며 생각했다. K만큼 뜨겁진 않지만 나도 내 나름의 방식으로 서핑을 좋아하는 건 아닐까, 하고. 몇 번 타보진 않았지만 보드에 엎드려 패들링을 하고, 폼나게 서핑슈트를 입고 백사장 위를 걷는 건 꽤 신났다. 운동 신경이 별로인 탓에 멋진 자세로 유유히 파도를 가르진 못했지만, 물살에 나를 맡기고 보드 위에 누워 둥둥 떠다니는 순간은 나쁘지 않았다. 나는 분명 서핑을 하는 내내 즐거웠다.


그럼에도 나는 K만 서핑을 ‘좋아한다’고 말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정말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보다가 나름의 답을 내렸다. K처럼 서핑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처럼 서핑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거라고.

당연한 말이지만 ‘좋아함’의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액체마다 끓는점이 다르듯 누군가는 100도에서 펄펄 끓는 마음으로, 누군가는 36도에서 적당히 끓는 마음으로 뭔가를 좋아할 수 있다. 그저 마음이 끓는 온도가 각자 다른 것일 뿐.


그동안 나는 ‘좋아한다’고 말하려면 그 대상에 열렬히 끓는 마음을 가지거나, 누가 뭘 물어봐도 척척 답할 수 있을 정도로 잘 알아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니까 좋아하는 데에 어떤 자격 같은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내 마음이 가는 대로 좋아한다고 말하지 못하고, 속으로 ‘이게 좋아하는 게 맞나?’ 하고 자꾸 마음의 온도를 잰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인정하려 한다. 나는 원래 뭔가에 그렇게 뜨거운 사람은 아니라고. 하지만 분명 내 나름의 온도를 갖고 있다고. ‘뜨뜻미지근’한 온도가 내가 무언가를 좋아하기에 딱 적당한 온도라는 것을 말이다.     


무언가에 뜨겁게 빠져드는 마음만이 좋아함의 기준점은 아닐 거다. 각자 본인에게 알맞은 좋아함의 온도가 있겠지. 그러니 부럽다고 남들을 따라 무리해가며 내 마음의 끓는점을 높이려 하지 않을 거다. 지금처럼 주변부만 맴돌아도 나만 즐거우면 된다는 마음으로 뭔가를 좋아해야지.


나에게 필요했던 건 ‘좋아하는 마음’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정도의 마음만으로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니 앞으로 누군가 내게 OO을 좋아하냐고 물으면, 좋아한다고 답할 수 있는 용기를 내봐야겠다. 다른 사람들처럼 그것을 잘하거나 완벽히 알지는 못해도 나는 나만의 온도로 그 대상을 충실히 좋아하고 있는 걸 테니까.     




추천사

사는 게 피곤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자꾸만 다짐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에는 이렇게 하지 말아야지, 내일은 이렇게 말해봐야지, 라고. 마음을 자꾸 가다듬는다는 건 실수를 곱씹는단 뜻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픈 사람만이 습관적으로 후회하니까. 이들은 타인의 장점은 쉽게 찾아내면서 자신에겐 엄격하기 때문에 스스로를 초라하다고 느끼기 쉽다.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데도. 이 책은 스스로를 소심하고 줏대 없다고 평가하는 저자가 그런 자신과 잘 지낼 수 있는 삶의 방식들을 찾아본 결과다. 서재경 작가가 이어가는 이런저런 다짐들은 잘 살고 싶은 마음에 오늘은 피곤했으니, 내일은 좋아질 거라는 다독임으로도 읽힌다. 작심삼일이 취미고 실망하는 게 특기이며 스스로를 애매하다고 생각하는 이에게 특히 추천한다.

- 정문정(작가, 《더 좋은 곳으로 가자》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 저자)


구매처

예스24 바로 가기

교보문고 바로 가기

알라딘 바로 가기

인터파크북 바로 가기


작가의 이전글 나를 바꾸지 않고도 나와 친하게 잘 사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