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승우 Oct 26. 2022

[미국주식 공부] 63. 넷플릭스(NFLX)

시가총액 순으로 기업훑기(훑기만 한다)

미국주식 상품을 담당하게 되었다.

(물론 최종 운용 결정은 대표님이 하신다.)


나는 요즘 미국 기업들을 시가총액 순으로 하나하나 살펴보고 나름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 있다.


예순 세번째 훑기 시간이다.


다시 한번 얘기하지만 정말 훑기만 한다.


---------------------------------------------------------------------------------------------------------------------------


넷플릭스(NFLX)

 

1. 기업 개요(뭐하는 회사인가)


글로벌 최대 OTT기업이다. 어떤 기기에서든 영화, 드라마, TV프로그램,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든 무제한으로 볼 수 있는 플랫폼이다. 1997년 설립되었다.


'인터넷(Net)'과 '영화(Flicks)'를 합성한 이름이라고 한다.



<점유율>

T4에서 가지고 왔다.

스트리밍 서비스 1위는 일단 넷플릭스라고 말해주는게 맞는거 같긴 하다.



2. 사회, 산업, 기업에 대한 그냥 생각


넷플릭스는 파괴적 혁신의 대명사로 생각이 든다.


1997년 창업 이후 연체료 없는 DVD 렌탈 서비스를 통해 경쟁 대여점 프랜차이즈를 줄도산 시켰다.


2007년 스트리밍 서비스를 출시했고, 영화를 다운로드 받던 시절에서 스트리밍으로 보는 시대를 만들었다.


2013년에는 자체 제작 오리지널 콘텐츠를 시작해 OTT 시장 내에서도 혁신을 추구했다.


반면 최근 개인적으로 느끼는 넷플릭스의 방향성은 파괴적 혁신이라는 느낌은 들지가 않는다.


가격인상을 꾸준히 하고 있고, 구독자 수가 늘면서 실적 전망치 보다 실적이 잘 나왔다, 못 나왔다 정도로 주가 움직임이 결정되고 있다.

Statista에서 가지고 왔다.

당연히 기업의 분기 실적이 중요하고 가격인상도 좋고 구독자가 늘어나는 것도 좋다.


다만 워낙 넷플릭스는 파괴적 혁신 기업으로 각인되어 있다보니,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다.


최근 넷플릭스가 게임 시장에 진출하고 구독자가 즐길수 있는 콘텐츠를 확대하는게 다음 혁신으로 이어질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겠다.


---------------------------------------------------------------------------------------------------------------------------


넷플릭스 사업보고서를 조금만 살펴보자.


<매출 구성>


연단위로 우선 봐보자.

넷플릭스 연간보고서

연간 매출 29.7B$, 영업이익 6.2B$, 영업이익률 21% 수준. 2022년에는 영업이익률 1분기 25%, 2분기 20%, 3분기 19% 였다.


2022년 6월 디즈니가 ESPN플러스와 훌루를 합쳐서 2억2110만 명으로 넷플릭스를 추월했었다. 최근 발표된 2022년 9월 넷플릭스 구독자 수는 총 2억 2,309만 명.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다.


지역별 상황을 봐보자.


넷플릭스 연간보고서

매출 규모든 멤버십별 평균 매출이든 미국이 가장 컸다.


넷플릭스 연간보고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변동성이 꽤나 높다.



<CEO>

리드 헤이스팅스(왼쪽), 테드 사란도스(오른쪽)

넷플릭스의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는 1960년생으로 수학을 전공했다. 공동CEO인 테드 사란도스는 1964년생으로 2000년 입사 이후 2020년부터 넷플릭스 공동CEO를 맡았다.



3. 한 줄 요약


연간 매출 29.7B$, 영업이익 6.2B$, 영업이익률 21% 수준.


What if...


디즈니와 넷플릭스 둘 중 고르라면, 디즈니를 선택할거 같긴 하다.

작가의 이전글 [미국주식 공부] 62. AT&T(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