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멘탈(申興Mental)]
이 글은 독립탐정언론 <신흥자경소>에 2024년 5월 3일(오후 4시 14분) 올라온 기사입니다. ->원문보기
[신흥자경소] 어느 종이든 ‘독립적인 개체’가 있다. 어딘가에 소속되지 않고, 누군가에 지시받지 않는,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부류다. 그들은 소위 ‘개썅마이웨이’라거나 ‘독고다이’ 등 과격한 표현으로도 불린다. 비자발적 외톨이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혼자 움직이는 개체다. 호랑이가 홀로 산속을 거닐 듯, 그들도 혼자 움직이며 타인 도움을 거절한다. 당연히, 그들은 고독하다. 외로움은 비교적 덜 탈지라도, 내면 깊이 찾아오는 고독함은 피할 수 없다.
대개 사람은 사회성의 동물이다. 집단 속에서 부대끼며 서로 위안받으며 살아간다. 그 속에서 따뜻한 말과 감정적 교류를 얻고자 한다. 사람과의 교류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쌓아가며 ‘나’란 사람이 무엇인지를 느끼고 깨닫는다. 대부분은 홀로 지내는 걸 싫어한다. 그렇기에 조직에서 이탈하는 것을 ‘도태’로 받아들이기도 쉽다. 조직과 집단에서 이탈하지 않기 위해 그 무리에게 잘 보이려 한다. 특히 직장에선 권력자 눈 밖에 나지 않도록 조심한다. 아양을 떨거나 순종적이거나, 혹은 똥꼬가 헐도록 입발림으로 핥아대거나. 그렇게 조직에 잘 붙어있기 위해, 집단 실세와 발맞추기 위해, 분위기를 파악하고 눈치를 살핀다.
그렇게 하면, 조직에서 안정적으로 밥 벌어먹고 살 확률이 올라간다. 이는 밥벌이인 직장생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일을 하든, 사회와 완전히 따로 떨어져 살 수는 없다. 모두 사회 각 요소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살게 된다. 아무리 독고다이가 체질적으로 잘 맞고 그 기조로 인생을 살아가도록 설계된 인간이라 해도, 세상 시스템과 아예 무관할 수는 없다. 가령, 누군가 사업체를 차렸다면 이미 그 업종 내 플레이어들끼리 모여 형성된 생태계를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중엔 비즈니스에 유리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도 있을 수 있다. 업종이 오래됐을수록 그 기성 시스템에 입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은 대개 까다로운 편이다. 면접관처럼 구는 평가자들이 요구하는 기준을 따라야 한다. 물론 그 요구를 맞추면 기존 사업체들처럼 그 업종 비즈니스에 맞는 교과서 같은 정갈함이 장착될 확률이 높다. 그러면 그에 따라 기성시스템을 빌어 비즈니스를 하기도 수월해질 것이다.
반대로 그 기준을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기존 시스템에 입성하기 어렵다. 그럼 당연히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도 포기해야 한다. 그게 싫다면 그 시스템을 따라야 한다. 그들 요구대로 맞춰야 하기에 튀는 색채는 잘라내야 한다. 개성은 사라지고 기성복에 맞춘 또 하나의 복제품이 탄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은 개성을 버릴지언정 기성 시스템 안으로 들어가는 게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대세를 따르지 않으면 도태된 것처럼 느낀다. 그래서 그 영역에서 낙오되지 않도록 더욱더 가이드라인을 신봉하고 철저히 따른다. 그럴수록 기성 권력은 자기 바운더리에 속한 자들을 자기들 입맛대로 주무르기도 쉬워진다.
그럼 대체 그 잣대는 누가 만들었는가. 그 기준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정답은 관련 조직 최상위 지배자다. 대놓고 자기 정체를 드러냈든, 흑막 속에 숨어있든, 어느 무리든 실세는 있는 법이다. 그들 입맛대로 꾸려진 기준이다. 월급쟁이 세계인 ‘직장’에서 최대주주나 회장·대표들이 직원들을 자기 기준에 맞게 통제하고 주무르는 것처럼, 세상 모든 기성 권력도 자기들 기준대로 수하를 조종하려 한다. 기존 공교육도 그런 노예 길들이기에 최적화됐다. 사회에서 ‘학벌’을 따지는 가장 큰 이유도, 실상 고학벌자가 반드시 뛰어나서라기 보단, 그들이 말을 잘 듣는 ‘성실성’을 지녔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고교 시절, 고분고분하게 말 잘 듣고 충성하고 규율을 잘 따를수록 그에 따라 얻어지는 보상은, 그런 식으로 분명히 존재한다.
독립적 개체는, 그래서 늘 인생에서 손해를 본다....(하략)...
....
...
..
.
.
.
<신흥자경소>
문의 및 제보 연락처 : master@shinhjks.com
[Copyright ⓒ 신흥자경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