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호 Mar 24. 2024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를 읽고

All the Beauty in the World

저자가 아픔을 딛고 일어서는 과정을 지켜보며 독자인 내가 치유되는 것처럼 느껴졌다. 왜 그렇게 느꼈는지, 무엇으로부터 치유되었는지 정확히 모르겠다. 저자의 이야기를 읽으며 자연스레 내가 겪어왔던 아픔들을 되돌아보며 괜스레 메마른 눈물자국을 찾아보기도 하고, 앞으로 겪게 될 아픔들에 대해 생각하며 괜한 조바심과 염려를 하기도 했다. 그런 감정들을 한 손에 꼭 말아 쥔 채 책을 읽었다. 미술관을 처음 가는 관광객이 팸플릿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것처럼. 


원서는 『All the Beauty in the World』이다.  


확실한 건 내가 저자에 느낀 감정이 연민보다는 존경에 가깝다는 것이다. 저자의 결단(기존의 직업을 버리고 무작정 미술관 경비원으로 근무한다는)에는 큰 용기가 필요하다. 단순히 직업을 바꾸는 개념보다는 삶을 다르게 살기로 한 것이니 그런 결정을 내린 사람은 애초에 그릇이 큰 사람인 것이 아닐까. 


또한 그는 경비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하면서 보고 느낀 바를 기록했을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그저 미술관을 지키는 Nobody였겠지만 그는 끊임없이 생각하고(혹은 생각하지 않으며), 감상한 바를 기록하는 사람이었다. 저자가 10년간의 이야기(삶)를 잘 녹여낸 하나의 작품을 우리는 각자의 미술관에서 읽은 셈이다. 그러니 그는 미술관에서 근무했던 한 명의 예술가로도 볼 수 있다(나는 그의 글을 예술이라고 보고 싶다).


언젠가 나도 꼭 메트에 방문해보고 싶다


책을 읽는 중간중간 작가의 삶에 대한 태도에 공감하게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특히 '예술을 배우려고 하기보다는 예술을 통해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 나만의 생각과 해석을 가지고 내 삶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는 부분은 몇 번이나 곱씹어 보게 되었다. 가끔 가는 전시에 항상 무엇인가를 배우려고 달려드는 경향이 있는 나에게 필요한 문장이었다. 


이 밖에도 책을 덮으면 할 이야기가 많은 고마운 책이다. 메트에 가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작품이 가장 실제로 보고 싶은지, 혹은 자신이 실제로 본 작품들 중 인상 깊었던 건 어느 것이었는지. 작가의 시선을 통해 바라본 예술에 대한 관점, 삶에 대한 태도의 변화 등 풍성한 이야깃거리를 가지고 모임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조만간 미술관에도 가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크로스핏을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6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