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5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감히, 어떻게, 그렇게

다시 네팔_02

by 김단단 Jan 24. 2025

19년 만에 다시 찾은 네팔...

떠나기 전, 기대와 우려가 섞여 있었다.

얼마나 변했을까? 예전의 그 모습은 없겠지? 


그런데 도착한 카트만두도, 포카라도 거짓말처럼 그대로였다.

식당이며 숙소며, 상호나 간판 색까지 그 자리에 그대로... 

마치 세월을 스틸 사진에 잠시 잡아두었다가 풀어놓은 양, 변한 게 거의 없었다.

지난 여름, 런던에 한달 다녀오고 그 사이 집 주변이 꽤나 많이 변한 걸 보고 적지 않게 놀랐던 것과 대비가 되었다.

문을 닫은 커피숍이 두 어 개에 새로운 가게를 시작하는 곳들로 시작해 천변의 산책로는 인공 조형물이 더해져 있었다. 고작 한 달 사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만큼 말이다.

그런데 이 곳은 어제처럼 그대로다. 무려 19년의 세월 사이에 말이다.

나는 그게 반가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좀 슬펐다.

'mother nature' 라는 말이 맞춤정장처럼 어울리는 이 곳, 회귀 본능을 일으키는 고향 같은 곳이 그대로인 것은 감사하고 기쁜 일이지만 이 곳은 여전히 낙후되었고 이 곳 사람들은 여전히 가난했다.

그렇지 않아도 몇 년 전, 대지진으로 인해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가 박살이 났고 그나마 지금은 많이 회복된 수준이라 하니...그들의 삶이 얼마나 무력하고 고단할지, 가늠조차 송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이방인' 으로서의 '이기심' 은 또 다른 마음이었나보다.

서울에서의 근사한 한 끼 외식비가 평범한 이들에겐 한달 생활비가 될 수도 있는데 가격표가 붙어 있지 않은 물건을 살 때면 혹시라도 '눈탱이' 를 맞지 않을까, 악착 같이 확인하고 밑져야 본전, 깎아 본다.

또한 외국인인 나를 노골적으로 응시하는 그들의 눈빛을 순박함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차가운 시선으로 끊어내기도 하고 한 어린 아이가 내 빵을 꼬질한 손으로 만지자 나도 모르게 발끈해버린다. 

 "Don't touch! It's mine." 내 거야, 만지지마!

해석해놓으면 정말 더 가관이다. 

그저 호기심 많고 조금 산만할 뿐인 어린 아이인데 말이다. 

이런 일도 있었다. 네팔의 커피가 꽤 맛 좋다 해서 찾아간 로스터리 카페에서 원두와 함께 드립용 여과지를 값도 묻지 않고 골라놓고 나중에 계산서를 보고 뜨악해버렸다. 

한국에서는 3천원이면 살 수 있는데 7천원 가량인 것이다. 

나는 눈을 동그랗게 뜨고 직원에게 "와, 어떻게 한국보다 비싸요? " 며 놀라움 반, 의심 반이 섞인 멘트를 날렸다. 


이런 순간 순간마다 이내 후회와 부끄러움이 밀려왔다. 

어째서 네팔은 한국보다 비싸면 안된다고 생각하는가? (한국과 네팔, 내가 산 여과지는 모두 수입품으로 유통경로가 네팔이 더 어렵기 떄문에 따져보면 당연한 일!)

한국에서도 아이가 내 빵을 만지면 그렇게 대놓고 화를 낼 수 있었을까? 그것도 애 아빠가 옆에 있었는데 말이다. 


감히, 어떻게, 그렇게 말하고 행동할 수 있단 말인가?

이들 앞에서 난 뼛속까지 우월감에 젖어 있었구나. 그저 '한국' 이라는 나라에 태어난 운 밖에 없으면서...

주사위를 던져 정해진 것처럼 아무 노력도, 아무 대가도 없이 얻은 것이면서...


오늘부터는 진심으로 그들의 미소와 친절을 닮아가보련다. 끝. 










작가의 이전글 극적인 동행자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