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udy Aug 22. 2023

엄마는 맥시멈이스트

나는 미니멀이스트

큰일났다. 어쩌다가 이 지경까지 되었을까!


지난 추석에 친정에 갔다가 집안 구석구석 바닥에서 천정까지 쌓여있는 물건들을 보고 나는 깜짝 놀랐다. 더욱 놀라웠던 건 집안이 물건들로 빽빽이 들어차 편히 앉을 공간조차 찾기 어려운 이 상황이 엄마와 아빠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을 정도의 일상이사실이다.


친정집엔 늘 물건이 많았던 건 맞다. 어린 시절을 생각해봐도 우리 집은 좀 정신이 없이 어질러져 있었던 것 같다. 그땐 내가 어려서 잘 느끼지 못했는데, 내 기억 속에 낮잠을 자는 엄마는 있어도 청소하는 엄마는 없다. 화장하는 엄마는 있어도 정리하는 엄마는 없다.


초등학생 시절 활동적이지 않았던 나의 주 놀이터 중 하나는 엄마 화장대였다. 거울에 붙어 있던 엄마의 새치를 크리넥스로 훔치고 화장대 위에 놓여있는 로션과 스킨들의 자리를 조금씩 바꿔가며 바닥에 앉은 먼지를 치운 후 키순서대로 정렬다. 화장대에 붙어 있는 두 개의 서랍을 차례로 뒤집어 어떻게 그 속까지 들어갔는지 알 수 없는 먼지들과 허연 가루들을 닦아 버리고, 서랍 속 립스틱과 펜슬, 이름을 알 수 없었던 뚜껑이 사라진 색조화장품 케이스들을 그저 가지런히 정리하고 나면 환했던 안방이 어둑해져 있곤 했다.


나는 화장대가 따로 없다. 지금은 화장을 하지 않으니 필요도 없지만, 화장을 하던 때에도 나에겐 화장대라는 게 필요하지 않았다. 로션 한 개, 스킨 한 개 그리고 콤팩트 한 개, 마스카라 한 개, 펜슬 두 자루, 립스틱 서너 개만 있으면 그 어떤 색조화장도 할 수 있었다. 이 정도의 것을 놓기 위해 별도의 거울 달린 가구를 좁은 방 안에 세워둘 필요가 있을까. 화장을 해야 한다면 화장실의 커다란 거울 앞이 적격일 게다.


검은색 자개로 된 엄마의 화장대를 다시  올려보자. 엄마의 화장대는 왜 그렇게 가득 차 있었을까. 눈을 감고 그때의 장면을 떠올려 본다. 알았다! 엄마의 화장대 위엔 로션이 서너 개, 스킨도 서너 개 있었다. 왜? 똑같은 로션이 두 개 있는 경우도 있었다. 왜? 그때는 1+1으로 물건을 팔 정도로 물자가 흔한 세상이 아니었다. 그런데 엄마는 왜 그렇게 많은 화장품을 두고 썼을까? 우리 집이 그 정도로 부자는 아니었는데. 부자였다 치고 같은 화장품이 세 개일 수 있다 쳐도, 왜 엄마는 그 로션들을 다 꺼내놓고 썼을까? 한 개만 꺼내놓고 쓰다가 다 쓴 다음 새것을 꺼내 쓰면 되지 않을까?


친정집의 물건들이 내 목구멍에 걸려 며칠을 삼키지도 뱉지도 못하는 지경에 이르니 매사에 짜증이 나고 별일 아닌데도 신경질을 내게 됐다. 남편이 이런 나를 감지하고 제안을 했다.


"장모님께 말씀드려봐. 계속 집안에 물건이 쌓이니 명절에도 자고 갈 수도 없고 식구들이 편히 앉아 있을 데도 없으니 점점 더 가고 싶지 않아 진다고."


이 말을 그대로 전달한다면 여고생의 감성을 아직 벗지 못한 엄마는, 오고 싶지 않으면 오지 라, 며 삐칠 게 뻔하다. 하고 후회할 일은 하지 않는 게 상책. 하지만 이대로 두고 볼 수도 없는 일. 내 목구멍의 가시는 아직 빠질 기미도 내려갈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Maximalist 엄마와 Minimalist 나


어쩌면 좋단 말인가!

작가의 이전글 '적당히'가 중요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