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뽀미누나 Nov 06. 2023

있는 그대로 아름다워

내 안의 깊은 결핍 때문이었을까. 난 늘 잘하고 싶은 아이였다. 세상의 모든 칭찬을 먹고 자라난 괴물이 내 깊숙한 속에 자리 잡았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어린 시절 보호자 역할을 자처해야 했던 책임감 때문이었을까. 엄마는 늘 내가 맏딸인 걸 다행으로 여기셨다. 

  “덜렁거리는 네 남동생을 잘 챙겨줘서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 엄마가 네 덕분에 산다.”

  부모님이 오지 않는 운동회, 더러워진 실내화, 하굣길 오롯이 비를 맞고 걸어가야 했던 때를 떠올린다. 때마다 덜 어려야 했던 순간들이 있었다. 그랬음에도 그들에게 짐을 지우고 싶지 않았다. 그러기엔 그들의 뒷모습이 아주 많이 휘청거렸고, 연약해 보였으니 말이다. 삐거덕거리는 철제문을 열고 새벽을 개어 나가던 그들의 발뒤축이 금방이라도 부서질 것 같았다. 

  완벽주의적 성향은 실제의 나보다 내가 더 나은 사람인 것처럼 포장했으며, 늘 좋은 결과를 만들어주었다. 엄격한 기준이나 강박으로 늘 편두통을 달고 사는 것 즈음은 괜찮았다. 나만 겪으면 되는 일이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가장 힘든 건 인간관계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 번 내 기준에서 벗어난, 감정을 상하게 한 친구와는 말을 섞고 싶지 않았다. 

  두루두루 잘 지내야 하는 사회생활 속 그러한 결점은 큰 약점으로 작용했다. 승진의 기회에서도, 오래된 친구와 만나게 될 때에서도 마음의 빗장을 열릴 새를 몰랐다. 완벽하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은 어디에서 기인한 걸까.

   있는 그대로의 나를, 그리고 너를 사랑하고 싶다. 깊이 내재 된 불안과 허기를 뿌리째 걷어 깊은 장막이 드리뤄진 내 삶을 빛으로 밝히고 싶다. 사랑엔 조건이 없으니, 대가 없이 모두를 사랑하는 방법을 공부하는 중이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으니, 사랑과 인정을 갈구했던 어린 소녀에서 벗어나 이제 조금씩 알을 깨어 나가는 중이다. 

작가의 이전글 직장인의 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