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훈 Jan 07. 2020

뿌리

1.

최근에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지금은 대기업 - 그것도 대학생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 순위에 자주 오르내리는 곳 - 에서 연구원으로 일하시는 분과 저녁 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나는 평소 습관처럼 의례적으로 '서울대 나오시다니 대단하세요'라고 말했는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대답을 듣고 말았다. 자신은 서울대가 내 소속이라고 느껴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했다. 마치 빌려 입은 옷처럼 불편하다고 했다. 그래서 일부러 회사에서도 서울대 이야기는 한 마디도 안 한다고 했다. 충격이었다. 아마 나였다면 동네방네 소문을 내고 다닐 텐데. 그러면서 그분은 말했다. 나는 서울대를 내 뿌리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내 뿌리는 학벌에서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2.

최근에 회사에서 자꾸 같은 부서 사람과 부딪히게 된다. 나이는 나보다 어린데 회사에는 먼저 들어온, 아무래도 좀 어정쩡한 관계이다. 그동안은 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 한 번 크게 싸운 이후로 더 불편하게 됐다. 정확히 말하면 싸우지도 않았다. 내가 부서 회식 때 지나가듯 한 이야기가 아마 많이 기분이 나빴던 모양이다. 회식 날 이후 한 달이 넘게 지나서 나에게 이야기 좀 하자고 할 때, 나는 이미 무슨 이야기를 했었는지도 가물가물한 상태였다. 한참 동안 진행된 설교는 장황했지만 결론은 하나였다. 어떻게 부서 후배들이 다 보는 앞에서 네가 나를 망신 줄 수 있느냐 하는 말이었다.



3.

사람들마다 자존감의 뿌리는 다르다. 학벌이 될 수도 있고, 나이가 될 수도 있고, 돈이 될 수도 있다. 내가 많은 사람들을 지켜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겉으로 잘 보이고 물질적인 수단에 더 많이 기대는 것 같다. 최근에 나는 자신의 자존감을 표현하는 양 극단을 보았다. 한 사람은 자신의 자존감을 회사 경력으로 지탱하고 있었고, 후배에게 무시당한 기억은 한 달이 넘게 그의 자존감을 자극했다. 반대로 다른 한 사람은 누구나 부러워할 만한 배움의 성취를 이뤘지만 그곳에서 안주하지 않았다. 자신의 자존감은 다른 곳에 기대지 않고 자기 스스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4.

그렇다면, 나의 뿌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나의 자존감은 무엇으로 완성되는가?

작가의 이전글 정의란 무엇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