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지원 Sep 13. 2020

갑분싸라는 말을 놀리기 위한 도구로 쓰지 마세요

편리한 줄임말 뒤에 숨어서 상대방이 받을 상처를 무시하고 있진 않나요?

나는 말을 재밌게 하는 데 소질이 없다. 내 말에 아무도 대꾸 안 해주는 건 아닐까, 혹시 내 얘기에 상처 받는 사람이 있지는 않을까 고민하다가 말할 타이밍을 놓칠 때가 부지기수다. 그래도 예전엔 ‘수줍지만 할 말은 하는 사람’이었다. 친한 사람들 앞에서는 종종 긴 이야기를 꺼내기도,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설사 이야기가 재미없더라도 이 사람들은 나에게 면박 주지 않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년 이후론 친구들과 대화하는 것조차 조심스럽다. ‘갑분싸’ 사건을 겪은 뒤 나는 부쩍 주눅이 든 채로 지내고 있다. 딱딱한 회의 분위기를 풀어 보겠다고 괜한 농담을 던진 게 화근이었다. 실패한 농담 뒤 잠깐 정적이 흘렀고 이어서 후배가 한마디 했다.


“아~ 갑분싸네요~”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이 실소를 터트렸지만, 당사자인 나는 그 말을 들은 순간 얼굴이 확 달아올라 고개를 들 수 없었다. 침대에 누워 있다가도 샤워를 하다가도 문득 그 말이 떠올라 머쓱해졌다. 

JTBC  <아는 형님>

수많은 신조어가 생겨나고 사라지는 세상에서 갑분싸는 ‘성공한 신조어’다. 어디에 가져다 써도 착착 달라붙는 탓에 갑분핫, 갑분교, 갑분사 등 수많은 파생어까지 만들어졌다. 그렇게 사람들은 갑분싸라는 단어에 익숙해졌다. 아는 사람 몇몇만 쓰던 신조어는 이제 오십 살 넘은 아빠까지 사용하는 일상적인 말이 돼버렸다.


그리고 예기치 못한 피해자들이 생겼다. 바로 나처럼. 주위에는 갑분싸라는 말에 상처 받고 입을 닫아버린 사람들이 늘어났다. 심지어 친구 A에게는 ‘김 갑분싸’라는 별명까지 생겼다. 몇 번 대화의 맥락을 잡지 못했을 뿐인데. 누군가 A를 ‘김 갑분싸’라고 놀리기 시작했고, 그 후로 걔가 말을 할 때마다 “김 갑분싸님이 또 한 건 하셨다”며 놀림을 당했다. A는 애써 웃어넘겼지만 같은 상황을 겪어본 내 눈에는 그가 감추고 있는 당혹스러움이 보였다.


갑분싸가 효율적이고 재치 있는 신조어임은 부정할 수 없다. 대화가 끊기는 복잡 미묘한 상황을 단박에 이해시키니까. 이제 우리는 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세음절만 외치면 된다. 갑분싸! 하지만 그 편리함에 빠진 나머지 갑분싸를 너무 남용하고 있는 건 아닐까? 편리한 줄임말 뒤에 숨어서 상대방이 받을 상처를 모른 척하고 있진 않은가? 


그리고 말이 나와서 하는 이야긴데 사실 대화의 흐름 좀 끊으면 어때. 죽을죄를 지은 것도 아니고. 친구가 던지는 농담이 재미없다고 쳐. 그래도 그 이야기를 준비한 정성을 봐서 귀엽게 봐줄 수 있잖아. 안 그렇습니까 친구 여러분? 팍팍한 인생이잖아요. 우리 서로서로 귀엽게 봐주면서 삽시다.

작가의 이전글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