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드카피 Mar 15. 2023

034. 아이가 없는 아이의 공간에서

쏟아놓은 에너지들을 줍줍




아침에 후다닥 유치원 버스가 떠났다. 이제 아이들의 반자리는 온전히 엄마인 내 몫이다. 제일 먼저 놀이방으로 향한다. 그저께 블록으로 자동차 만든 걸 정리한답시고 분리했다가 혼쭐이 났었다. 이번에는 만들어 놓은 것 고대로 한켠에 밀어 놓는다. 그것도 잘 보이게 밀어 놓는다. 엄마의 정리 기술은 이런 데서 나온다. 잘 보이게, 그러나 너저분하지 않게. 놀이방에 널린 장난감들을 하나씩 치운 후 잘 정리됐는지 다시 한번 돌아봤다. 음 합격. 


서재에 놓인 내 작은 책상은 이제 큰 아이의 차지다. 다리가 길어지고 의자가 맞으니 놀이방 앉은뱅이책상보다 마음에 쏙 드나 보다. 노트북 하나 달랑 올려져 있던 책상은 이제 알록달록한 낙서들이 가득한 책상이 되었다. 엄마, 아빠, 동생, 공주님, 왕자님, 요정들... 본인이 알고 있는 온갖 캐릭터들의 왕국이다. 어제 그리다 만 그림이 눈에 띈다. 공주와 왕자가 같이 소풍을 간 거라고 추측된다. 도시락도 있다. 메뉴는 불분명하다. 없어지기라도 하면 잠시 후 난리가 날 테니 책상 한가운데 잘 놓아둔다. 


안방 침대 위 이불들을 들어서 툭툭 털어내니 작은 장난감이 툭툭 떨어진다. 밤새 손에 쥐고 잔 장난감들이 아침에 주인을 잃고 이불속을 헤매고 있었다. 자면서도 장난감의 온도를 느끼는 건지, 둘째는 자다가 손에서 장난감을 놓치기라도 하면 귀신같이 알아채고 벌떡 일어난다. 그리고 세상 귀여운 목소리로 장난감을 찾는다.

"어디 써 어디 써."

아빠는 모르는, 엄마만 알 수 있는 이 모습도 특권이라면 특권이다. 


식탁 위에는 먹고 남긴 아침의 흔적이 너절하게 남아있다. 빵가루, 남은 우유, 베어 문 사과 등등. 치우기 귀찮다는 생각 대신 더 먹었어야 하는데 생각이 드는 걸 보니 6년 차 엄마가 맞긴 한가보다. 정리하는데도 도가 텄다. 담을 건 담고 버릴 건 버린다. 내 커피물까지 동시에 끓인다. 엄마가 된 후 저녁 시간 한정으로 손도, 발도, 귀도, 입도 정확히 두 배로 늘었다. 두 아이의 말을 동시에 듣고 각각 대답하면서 손 발은 또 다른 일을 해내고 있다. 가끔 스텝이 꼬이기도 하지만 다시 정신 차리는 시간 역시 빨라졌다. 


청소기까지 윙윙 돌린 후, 잠시 소파에 앉아 두리번거린다. 작은 사람 둘이 없을 뿐인데, 소리도 온도도 너무도 다르다. 그 작은 몸들에서 어떻게 그런 에너지가 쏟아져 나오는지 빈 공간에서 더 크게 느껴진다. 아이들이 머물렀던 공간들을 정리하는 일은 이제 내 하루를 단정하게 시작하는 루틴이 되었다. 오후 4시부터 다시 시작되는 에너자이저들의 소리와 온도를 상상하며 그 사이 시간을 야무지게 쓰려는 노력이다. 에너자이저들이 남겨놓은 흔적들로 나의 에너지를 채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아무튼 신기하다. 아이들은 있을 때도, 없을 때도 나에게 힘이 된다. 병 주고 약 주고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지만 뭐 어떠랴. 결국 웃게 해 주니 고마울 따름인걸. 





매거진의 이전글 033. 너의 그 시선이 부럽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