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내가 아는 사람 Sep 27. 2023

경제적 결혼식 문화에 대한 생각

11월에 있을 조카 결혼식 관련해서 언니와 통화 중이었다. 결혼식에 입을 한복을 안 사돈끼리 같이 가서 맞추고, 바깥사돈은 바깥사돈끼리 양복을 맞추러 갔다고. 일반적이지 않은 이야기에 난 '사돈끼리 마음이 너무 잘 맞나 보네. 듣기만 해도 좋네'라고 했다. 옆에서 통화를 듣고 있던 남편이,


남편 : 난 결혼식 때 한복 안 입을 거야!. 돈만 아깝게. 몇 번 입지도 않는 비싼 한복을 뭐 하려 해? 꼭 입어야 한다면 대여를 해서 입으면 되지. 아니면 한복 대신 일반 정장으로 입으면 되고.


나나 : 정장은 뭐고, 한복 대여는 또 뭐란 말이에요? 참 당신도. 그러고 싶어요? 맞네. 한복은 내가 입는데 왜 당신이 그걸 걱정해요? 만약 한복 대신 정장을 입어야 된다면 난 정장 말고 최고로 비싼 드레스로 사 줘요. 그럼 입을게요.


남편 : 드레스를 몇 번 입을 건데?. 한 번 입을걸 비싼 돈 주고 왜 사? 차라리 한복을 사지 말고 대여하고 남는 돈으로 결혼하는 자식 살림에 보태라고 주면 되지.


나나: 대여는 싫다니까요! 말이 그렇지. 진짜 드레스를 입겠다는 것이 아니라 그냥 일반 사람들이 하는 그냥 한복을 입으면 되지. 갑자기 무슨 정장이냐 그 말이죠? 평범한 우리, 평범하면 안 돼요? 한복 대신 정장을 왜 입어요? 우리가 무슨 창조자, 혁신가, 그것도 아니면 선두주자? 아니잖아요.

 

남편 : 우리가 바꾸면 되지. 바꾸자고. 난 기존의 틀을 깨서 형식을 바꾸고 싶어.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한복 대신 신랑 신부 부모님이 일반 정장 입고 결혼식 하기도 할걸. 다 그렇게 한다고.


나나 : 아직 주변에 그런 사람 한 번도 보지 못했어!

남편 : 많다니까. 결혼식 준비에 왜 돈을 많이 써?, 필요 없는 것은 줄여서 차라리 살림에 보태야지! 젊은 사람들 중에 결혼식을 경제적으로 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나나 : 그러나 저러나 아직 우리 아이들이 결혼한다는 말을 한 것도 아닌데 우리끼리 왜 결혼식 이야기를 꺼내서 싸우는 거죠? 몇 년이 될지, 언제 결혼을 할지도 모르는데.


남편 : 그러니까. 둘이서 쓸데없는 이야기로 아까운 시간을 낭비했구먼.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은 귀가 그렇게 얇아서 되겠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