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람 Aug 10. 2022

<헤어질 결심> 감상평

불가능한 애도를 위하여


"이제 내 사진을 붙여놓고 잠도 자지 못한 채 계속 내 생각만 하게 될 거야."



 얼마 전에 <헤어질 결심>을 친구와 조조 영화로 감상했다. 개인적으로는 <헤어질 결심>의 마지막 장면들을 보면서 프로이트의 <애도와 멜랑콜리>(한국에서는 <슬픔과 우울증>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어 있음)가 떠올랐다. 여기에서 말하는 멜랑콜리아는 어떤 대상이 상실되었을 때 그 대상을 애도하는 데 실패하고 거기에 집중되었던 리비도를 다른 대상으로 옮기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그렇게 사라진 대상을 자기 안으로 끌고 들어와 내 안에서 그 죽은 대상이 쭉 살아있을 수 있도록 납골당을 만들게 된 상태다. 이제 그 대상은 자아 안에서 유령처럼 계속 살아있게 된다. 마치 서래가 아무도 찾을 수 없는 곳에서 구덩이를 파고 스스로 죽음을 맞이함으로써 해준의 마음 속에서 매 순간 살아숨쉬고자 했던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멜랑콜리아는 애도 자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구조적 결핍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누군가와 헤어지고 나서 힘들어 할 때 혹자는 시간이 해결해주리라고 조언하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맞는 말처럼 보이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조금씩 그 기억은 망각되면서 다시금 다른 대상들에 대해 에너지를 쏟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랑하는 사람일수록 그러한 애도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도 한다. 심지어 다 잊어서 괜찮아졌다는 생각이 든 이후에도 꿈 속에 불쑥 찾아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아니면 지나가다가 우연히 그와 '닮은 사람'을 마주치다가 나도 모르게 주저앉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지점에서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의문을 떠올려볼 수 있다. 어쩌면 혹시 애도 자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닐까? 만약 그렇다면, 멜랑콜리아가 인간에게 더욱 근원적인 것이 아닐까? 즉, 멜랑콜리아는 단순히 치료받아야만 할 병리적 요소만이 아니라 주체의 근본적인 구성조건인 것이 아닐까?



 영화 속에서도 서래는 "헤어질 결심"을 했기 때문에 다른 남자들을 만났다고 했다. 그렇지만 이별에 대한 애도는 그렇게 '결심'만 한다고 해서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법이다. 아니, 거듭 말해온 것처럼 애도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마치 이별에 대한 애도가 완전히 성공할 수 있는 것처럼 매번 그 외상적인 기억을 봉합하며 살아가지만, 그 봉합은 언제 터질 지도 모른 채 불안하기만 하다. 근원적으로 인간은 무언가를 상실한 채 살아가는 멜랑콜리아적 주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떻게 그 사람을 완전히 잊어버리고 아무 일도 없었던 때처럼 돌아가 살아갈 수 있겠는가? 그렇게 서래는 "헤어질 결심"을 했다고 말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애도를 성공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멜랑콜리아적 주체를 충실히 드러낸다. 결국 그녀는 해준을 잊지 못하고 이포까지 찾아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준이 애써 진실을 외면함으로써 억지로 봉합해버린 자신의 사건을 다시금 미결 사건으로, 영원한 미결 사건으로 되돌려 버린다. 바로 이 지점에서 멜랑콜리아는 결코 종결될 수가 없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멜랑콜리아는 왜 종결될 수 없는가? 자아가 대상을 완전히 지배할 수 없기에 그러하다. 대상 자체가 이미 자아 속에 들어와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분명 자아는 대상에 의해 압도당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기에 타자는 한편으로 자아 속에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아를 넘어선다. 그러므로 멜랑콜리아는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멜랑콜리아적 주체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내 안에 이미 항상 들어온 타자는 너무나 오랫동안 억압되어왔기 때문에 내가 결코 지배할 수 없는 낯선 형태로 계속 남아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타자를 내 안으로 끌어들여 환대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주체가 된다. 안개가 자욱하기에 모호하면서도 알 수 없는 타자라는 무대에 나를 내던져서 노출할 수 있을 때에만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마치 무진기행을 연상케 할 정도로 안개가 가득한 이포, 그러한 안개처럼 종잡을 수 없는 서래의 마음, 그로 인해서 도무지 종결될 수 없는 해준의 수사... 그 모든 것들이 하나같이 모호하기만 하다. (참고로 말하자면 공교롭게도, 박찬욱 감독이 대표로 있는 영화 제작사 이름도 '모호필름'이라고 한다.) 극중에서 해준의 아내는 그녀가 내거는 "원전 완전 안전"이라는 표어에서 알 수 있다시피 남편 해준을 "완전"히 통제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렇게 알 수 없는 타자를 손에 움켜쥐어서 내가 다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소화시키려 하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작업일 뿐이다. 프로이트가 말했듯이 억압된 것은 돌아오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우리네 삶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인생에는 그 어떠한 정해진 목적도, 의미도 없다는 사실을 위와 같은 멜랑콜리아적 분석이나 체험을 통해서 깨달을 때가 있다. 인생은 그저 안개가 자욱한 이포처럼 당최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 확신할 수 없어서 끊임없이 '붕괴'되어가는 멜랑콜리아의 미궁일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정신분석 강의> '일곱 번째 강의' 정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