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근원 Mar 29. 2022

감염성 질병에 특화된 긴급재난정보 서비스에 대한 고민

코로나19 감염성 질병에 특화된 개인 맞춤형 긴급재난정보 서비스

코로나19로 인해 시민에게 재공하는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현재의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은 지자체의 개별적인 독립성이 보장되어 시민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사람을 통해 감염되는 이동성의 재난문자에 대한 시민들이 겪는 문제는 아래와 같다.



문제점 도출


정보 제공

- 애매한 정보 제공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 정보의 활용성 부족

- 정보 확인 프로세스의 복잡함으로 인해 정보의 확인의 불편함


일상의 피해

- 과도한 메세지와 알림

- 메세지와 알림의 빈도에 따른 불안감 형성

- 메세지와 알림에 의한 일상의 위험도 상승 / 예) 차량 이동 중


개인정보 보호

- 공개되는 정보의 제한이 불분명하여 확진자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오픈되는 점 / 그에대한 2차 피해



이를 종합하여, 코로나 19 이후, 주어진 긴급재난문자의 정보 부족과 빈번한 문자를 통한 불편함을 극복해 나가며 스마트폰을 적극 활용하는 사용자가 유용한 코로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우리가 긴급재난문자의 정보 활용과 빈번한 메시지 알림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



심층 인터뷰 진행


20대, 50대를 대상으로 총 6명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기본적인 문항은 데스크리서치를 통한 조사된 코로나 상황에 대한 인식과 긴급재난문자에 대한 질의로 진행을 한다. 질의를 통한 문제점을 친화도분석을 한다.

©김민수, 이근원

이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핵심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문자가 아닌 표를 통해 보기 쉽게 통일된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길 원한다.

▶ 이전의 긴급재난문자의 경우 자연재해와 같은 중요 정보를 긴급하게 전달하였지만, 현재 코로나로 인해 너무 많은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다.

▶ 긴급재난문자가 일상적으로 인식이되고, 익숙해지면서 신경을 쓰지 않게 된다.

▶ 확진자의 성별, 나이 상관없이 이동경로와 방문한 곳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현재 제공되는 정보는 지역구 별로 다르며, 일정한 형식 혹은 규칙이 정해질 필요가 있다.

▶ 코로나 관련된 지난 정보와 현재의 정보까지 모두 확인하고 싶다.



페르소나 설정


핵심요구사항을 기준으로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개선사항을 체크한다. 페르소나는 다음과 같다.


©김민수, 이근원




컨셉 설정


©김민수, 이근원



디자인 테마


심층인터뷰를 통해 얻게된 시민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다수의 집단이 모여 회전하여 생각을 자유롭게 나눈다. 이를 통해 가장 많은 표를 얻게된 아이디어의 테마를 설정하고 서비스의 정보와 시스템을 구체화한다.


©김민수, 이근원



프로토 타입


©김민수, 이근원





1) 김민수, 이근원, 정재희(2020), 코로나19 감염성 질병에 특화된 개인 맞춤형 긴급재난정보 서비스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