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3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adolf hildebrand의 순수시각, 동적시각

2-1 공간의 미학 발표자료

by Murkiness Mar 05. 2024
아래로
도식화 정리도식화 정리

[목차]

'움직임’의 시지각 디자인원리

Case 1

방위에 의한 무브먼트 (비정형성 다면체)

여러 관점에서의 순수시각과 동적시각

감정이입미학

Case 2

* 인간의 심적과정에서 생기는 개념

Case 3

* 보이지 않는 공간 덩어리를 없애기



다차원[multi-dimensional] - 위치, 이동

MirroredPavilion for Hungary's Sziget Music FestivalMirroredPavilion for Hungary's Sziget Music Festival

1. 방위에 의한 무브먼트 (비정형성 다면체)

다차원(위치, 이동) 전후 좌우 상하 3방향으로 이뤄진다. 좌우 한 방향은 1차원의 공간, 좌우 앞뒤의 두 방향은 2차원의 공간 움직임의 시지각 중에 가장 간단한 개념이다.





다의미[melti-significaition] - 행위, 현상

자료를 서치 하던 중 좀 더 다른 관점에서의 순수시각과 동적시각의 해석을 알게 됐다.

*aldo rossi의 스키마 공간화 과정

알도로시는 자서전에서 "해마다 그 해 여름은 내겐 마지막 여름이라 여겨졌고 전진 없는 이러한 정지 상태의 감각은 나의 프로젝트들을 상당 부분 설명해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때 그 당시의 감각을 절대적인 것으로 유지하고 싶어 했으며 그러한 의미에서 정지 상태를 절대적이고 순수한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브런치 글 이미지 3

알도로시의 스키마 과정은 시와 공간의식 연관성과 비슷함을 알게 됐다. (위 도식화참조)

정리하자면 정지상태는 우리가 처음 접했을 때의 낯선 장면으로 인식되는 공간(첫 번째 풍경)이며, 다시 접했을 때 처음과 다른 낯선 장면(두 번째 풍경)은 순수시각과 다른 동적시각이다.

시와 공간의식 연관성을 좀 더 풀기 쉽게 윤동주의 문학관을 예로 들어보겠다.


Case 2

* 인간의 심적과정에서 생기는 개념

브런치 글 이미지 4

1번째 장면 제1 전시실

우물-자화상 참회록

관람객에게 궁금증과 낯섦을 유발한다


2번째 장면 제2 전시실 '열린 우물 '

하늘별-서시, 별 헤는 밤

하늘은 시인과 관람객에게 스스로를 비춰보는 아주 큰 거울 우물이다

[용도 폐기된 물탱크의 윗부분을 개방하여 만든 중정]

[윤동주가 죽음을 맞이한 후쿠오카 감옥의 재현][윤동주가 죽음을 맞이한 후쿠오카 감옥의 재현]

3번째 장면 제2 전시실 닫힌 우물 '

감옥-쉽게 쓰인 시

어둡고 적막한 공간감 일상에서 접하기 어려운 낯섦

브런치 글 이미지 6

4번째 장면 윤동주 문학관의 파사드

시작점-새로운 길

작고 소박한 매스를 보며 의아심과 낯섦을 느끼게 한다

전시관람을 마치고 문학관을 나와 다시 접한 흰색 파사드는

관람객이 마주하는 두 번째 풍경이다.


브런치 글 이미지 7

이처럼 case1과 달리 좀 더 다차원적인 시각으로 순수시각과 동적시각은 인간의 심리와 연관된다.

새롭게 언급되는 감정이입의 미학은 앞서 언급된 '첫 번째'풍경과 '두 번째'풍경과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된다. 찾아보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본질은 단순 위치 이동에 초점보다 다소 추상적인 인간의 심정과정에서 발생되는 개념을 공통점으로 가진다.



-정리계속




*참조

동적시점에서 다차원적 표현의 다면체 이해와 해석

풍경으로 바라본 시와 공간의식 연관성 연구

알도로시의 ‘자전적 개념’과 스키마를 바탕으로 한 건축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