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멧별 Feb 03. 2024

글이 될 수 있는 일상

이야기가 없는 하루가 존재하는가?

SNS를 통해 하루하루의 의미를 기록하던 때가 있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해외에서 근무하던 나는 한국 본사에 리포트를 쓰는 기분으로 그날그날 있었던 일들을 남겼다. 사는게 다 그렇지만 의도와는 다르게 무위로 끝나는 일도 있다. 그런 날은 그런 날대로 그 허무함과 함께 다음의 각오를 남겼다. 지금도 가끔씩 SNS는 소위 앨고리듬을 돌려서 그날들의 기억을 일깨워 준다. 지금도 그 기록을 볼 때 나는 가슴이 뛴다. 살면서 몇 번은 모든 것을 걸고 승부를 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때가 그런 때 중 하나다. 그중에서도 으뜸이다. 일이 잘 풀려서 노력과 성과에 그치지 않고 '보람'이라고 하는 부상도 받았다. 그래서 특별하다.


하루하루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 멈추지 않는 한 계속된다. 그래서 나에게도 해가 뜨는 아침과 달이 뜨는 밤이 온다. 그 속에 계획을 세우고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을 받으며 일을 실행해나갈 때 매순간이 의미있어진다. 한가지 조건이 있다면 자기주도라는 형태를 갖추어야 효과가 배가된다는 것이다. 때로는 남이 시키는 일 할 때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누군가 말했듯이 배는 항구에 있으면 안전하지만 그것은 배가 만들어진 목적이 아니다. 항해가 시작될 때 비로소 배는 가치가 생기고, 선장의 입장이 될 때 항해의 모든 것을 온전하게 느끼며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 물론 갑판장이나 조타수나 요리사까지도 주인의식을 가지고 항해에 임한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지만 그런 이상적인 모습은 현실에 잘 없다. 말에도 그런 늬앙스가 묻어 있는데 주인 뒤에는 '의식'이고 노예 뒤에는 '근성'이다. 주도적으로 일을 이끄는 열의와 보람은 또 따로 있는 것이다.


싫으면 자영업하라는 말이 있다. 세상에 갑과 을의 관계는 없어지지 않겠지만, 그래도 을의 입장에 있는 사람들의 입장, 더 나아가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있어야 한다. 일제강점기를 그린 소설을 읽다보면 '지주'로 대표되는 자본가 '매국노'로 대표되는 정치가, 그리고 이들을 통칭할 수 있는 '지배계층'이 거의 모든 악행을 저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반대편에는 '피지배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힘없는 나라의 소작농민' 서있다. 그 두 계층 사이에 항상 주구들이 존재하는데 순사, 마름, 밀정 같은 계층을 예로 들 수 있다.


현대의 '직장'이라는 것은 어떠한가. 긍정적으로 보면 개인의 이상을 조직의 목표에 맞춰서 경제적 이익과 노동의 보람을 느끼는 것이 직장이다. 또 부정적으로 본다면 급여를 받아 삶을 이어가고 싶은, 또는 이어갈 수 밖에 없는 다수의 사람들이 극소수의 사람들에게 삶을 저당잡힌 채 부당한 대우와 강박과 회유와 실직의 공포 속에 살아가는 장소고도 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보는 것과 현실적으로 보는 것으로 구분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민중이 대단한 것은 유구한 역사를 채워 나갔던 그 하루하루들, 지옥과 같을 수 있는 그 하루하루를 어떻게든 살아나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무렇지 않은 하루도 사실은 그렇지가 않으며, 우리의 일상은 이야기가 되고 글이 된다. 그들이 무슨 짓을 하더라도 우리는 흐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