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달씨 Jan 24. 2024

어떤 질투


어떤 책을 읽다가 혼자 마음이 삐뚤어졌다.

비혼과 비출산을 긍정하고 축복하는 것이 기혼과 기출산을 불행으로 낙인찍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나의 자격지심일까?

사실 양자 간에 대립해야 할 이유도, 특별한 상관관계도 없을지도 모른다. 그냥 이런 삶, 저런 삶이 있을 뿐일 텐데.

아무튼 나는 누군가를 돌볼 준비가 된 사람이라서, 혹은 그런 게 행복해서라거나 그런 쪽에 취향이나 재능이나 자격이 있어서 이런 삶을 살게 된 것이 아니다. 그저 우연일지라도 나에게 온 생명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있는 것뿐. 이런 나의 삶도 축복받아 마땅하지 않을는지?

유기동물/반려동물을 돌보는 것보다 아이를 낳고 키우고 돌보는 일에 더 칭찬이 인색한(당연하게 여기는) 세상인 것 또한 반페미니즘적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를 낳지 않을 자유만큼이나 아이를 키우는 자에 대한 축복과 지지도 중요하다고 괜히 하소연해 본다. 아니, 애초에, 아이를 낳고 낳지 않고의 선택이 여성의 행/불행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사실이 기분 나쁘다. 낳아도, 낳지 않아도 저마다 행복할 순 없을까. 그것이 그다지 결정적이지 않을 순 없을까.

우리가 이 문제로 그만 싸울 수는 없을까.



덧.

어쩌면 엄마‘됨’을 가장 혐오하는 건 나 자신일지도 모른다.  그 자격지심이 비혼의 삶에 대한 날 선 ‘질투’로 이어지는 것은 오롯이 나의 문제. 그러니까 이 글은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함이 아니라 나의 마음에 대한 글이다. 오해 없길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 살 길이 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