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쨌거나 글쓴이 May 06. 2016

시지프스는 개뿔

오랜만에 쓴 게 이런 칙칙한 단상이라니

 죽음에 대해 이야기가 나올 때면 몸서리를 쳤다. 얄팍하게 접해놓고도 감히 실존주의를 참 좋아한다고 말하고 다녔는데. 모순적이게도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는 대자적 노력'과 거리가 멀다. 시지프스는 개뿔. 치열하게 밀어올려야할 돌에, 실은 거의 집착했다. 친구와의 대화에서 "야, 나는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에 있을거야."하는 우스갯소리를 덧붙이기까지 한 걸 생각하면, 실존주의를 입에 올릴 자격이 충분히 없지 싶다.


 쿵쿵 심장소리가 유난히 크게 들리는 밤이 있었다.  나는 살아있었다. 그리고 살아있다는 것은 곧 언젠간 죽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했다. 다른 사람들의 이전 '사례'들을 보아 나는 순간을 맞이해야 하는 찰나의 존재였다. 그러나 내 사고, 느낌, 감각, 기분은 사라져서는 안됐다. 어스름한 새벽을 보는 쓸쓸한 감각까지 느끼지 못하게 되는 일. 상상만으로 절망적이었다.


그런 날이면 다음날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보려는 나름의 시위였던 것 같다. 그리고 다시 밤이 오면, 무너져내렸다. 필사적인 사투에도 심장이 뛰는 소리는 여전히 매우 잘 들렸으므로. 밤마다 그렇게 몸서리쳤고, 몇년이 지난 요즘도 가끔 그랬다. 이야기가 나오거나, 홀로 잠이 들 때 종종. 기껏 까먹고 있었는데, 하면서.  하다못해 스치는 공기까지도, 무엇이든 느끼는 것을 놓을 수 없어 나는 이 집착을 버리지 못하리라 싶었다. 자연의 섭리에 수긍하는 어른들의 태도를, 나는 결코 갖지 못하리라고.


 그런데 오늘, 감히 가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처음 생각했다. 그토록 집착하던 것을 포기할 수도 있겠다고. 새벽도, 공기도, 그 작은 것들조차 차라리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게 편할 수 있겠다고. 자신을 이유로 살아가는 것에서 고립을 느낄 때, 정말 나밖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을 때, 닿을 곳이 아무데도 없을 때. 삶에 집착하지 않게 되는 일은 여유나 연륜이 아닌, 그 무엇이 잘근잘근 사람을 짓눌러 나오는 것일지도 모른다. 결국은 하나씩 포기하게 되는, 그리고 그렇게 얻게 되는 것. 


여전히 실존주의를 말할 자격은 없다. 시지프스는 개뿔. 돌에 깔리고 말았다.





작가의 이전글 부디 안녕히, 가족여러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