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원 Aug 26. 2023

 그때 그 아이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나요

성장 단계별 내면아이 탐구하기

태아기-신생아기(0-8개월)

가장 중요한 관계: 어머니와의 관계

주요발달과업 :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1. 나를 임신했을 때 엄마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나요?




2. 임신 당시 부모님의 관계는 어떠했나요?




3. 나를 임신한 엄마의 주된 감정은 무엇이었을까요?




4. 아버지는 엄마의 임신을 환영했나요?




5. 만약 환영받지 못했다면 태아였던 나는 어떤 감정과 생각이 들었을까요?




6. 나는 부모님의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라고 생각하나요?

('예' 이면 6번 질문을 건너뛰세요)



7.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 나 자신이 어떤 존재로 느껴지나요?



8. 이 시기에 나에게 일어났던 가장 중요한 사건은 무엇인가요?



9. 엄마 자궁 속의 나를 그려보세요. 자세히 그리지 않아도 됩니다. 

   태아는 어떤 색으로 그리고 싶나요? 자궁은 어떤 색으로 그리고 싶나요?

    잠시 눈을 감고 상상해 보세요. 자궁 속 느낌은 어떠한가요?



10.이 시기에 가족체계가 당신에게 요구한 역할은 무엇인가요?

(참고)가족체계속에서 자녀의 역할

책임감 강한 아이, 스타, 아버지의 기쁨, 어머니의 기쁨, 거짓말쟁이, 눈치보는 아이, 해결사, 아픈 아이, 공격자, 반항아, 피해자, 가해자, 있으나마나한 아이, 영웅, 완벽한 아이, 종교적인 아이, 예쁜이, 애어른, 작은 부모, 가족의 희망, 없는 아이, 모범생, 화풀이 대상, 정서적 배우자, 사고뭉치, 가족의 희생자, 보호받는 사람, 돈 벌어주는 사람, 조정자, 광대,걱정거리, 엄마의 친구, 아빠의 친구, 천사, 나쁜아이, 엄마의 연인, 아빠의 연인, 따돌림당하는 아이, 잊혀진 아이 등






<작업지 작성의 예 >       작성자: 해원     

 


1.  나를 임신했을 때 엄마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나요?


내가 엄마 자궁 속에 있을 때 생후 8개월이었던 언니가 죽었다. 첫 딸이 갑자기 사망했지만 엄마는 누구의 위로도 받지 못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자신의 슬픔을 털어놓을 친구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 임신 당시 부모님의 관계는 어떠했나요?


엄마는 딸의 죽음이 아버지와 관련이 있다고 의심했다. 부모님과 연관해서 남아있는 자료들과 지인들의 증언들을 종합해 볼 때 아버지는 언니가 자신의 딸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아버지의 의심을 알고 있던 엄마는 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아버지의 탓으로 돌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를 임신했을 때 부모님의 관계는 최악이었다. 엄마의 우울이 깊어졌고 망상이 시작되었다.



3. 나를 임신한 엄마의 주된 감정은 무엇이었을까요?


딸의 죽음에 대한 슬픔, 아무도 없는 혼자라는 외로움, 딸을 지키지 못한 죄책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 남편에 대한 분노, 자신의 인생에 대한 억울함



4. 아버지는 엄마의 임신을 환영했나요?


아버지는 엄마의 임신을 환영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윤리적 기준이 엄격했던 아버지는 엄마와의 이혼을 고려했을지도 모른다. 나는 아버지의 발목을 잡은 아이였을 수도 있다. 



5. 만약 환영받지 못했다면 태아였던 나는 어떤 감정과 생각이 들었을까요?


   감정--슬픔, 절망감, 무력감 

   생각---태어나고 싶지 않다. 사라지고 싶다. 죽고 싶다



6. 나는 부모님의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라고 생각하나요?


아니오



7.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 나 자신이 어떤 존재로 느껴지나요?


   수치스러운 존재, 쓸모없는 존재


8. 이 시기에 나에게 일어났던 가장 중요한 사건은 무엇인가요?

언니의 죽음과 부부갈등으로 인한 엄마의 불행



9. 엄마 자궁 속의 나를 그려보세요. 자세히 그리지 않아도 됩니다. 

   태아는 어떤 색으로 그리고 싶나요? 자궁은 어떤 색으로 그리고 싶나요?



잠시 눈을 감고 상상해 보세요. 자궁 속 느낌은 어떤가요? 

미끌미끌하다. 미끄러져 떨어질 것 같다.



10. 이 시기에 가족체계가 당신에게 요구한 역할은 무엇인가요?

태어나기 전 : 조용한 아이, 없는 아이

태어난 이후 : 조용한 아이, 말 잘듣는 아이, 부모의 감정을 보살피는 아이






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 이론을 정립한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에 의하면 이 시기는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는 시기입니다. 한 인간의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는 이 시기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시작됩니다. 부모의 일관적인 보살핌으로 아기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충족되고 세상은 안전한 곳임을 경험하게 되면 아기는 세상은 살만한 곳이고 자신에게 우호적이라는 신뢰감을 갖게 됩니다. 이 신뢰감은 아기의 전생애에 걸쳐 영향을 끼칩니다. 만약 이 시기에 부모와의 안정적 신뢰감 형성이 좌절되면 세상에 대한 불신감이 발달하게 된다고 에릭슨은 말합니다.


아기에게 일관되게 따뜻하고 안정적인 보살핌을 제공할 수 있으려면 양육자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있어야만 합니다. 이 시기 나의 양육자는 정서적으로 어떤 상태였나요?  


신생아기의 나의 내면아이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부모님의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알아야만 합니다. 아기의 첫 자아는 엄마의 눈 속에 있다는 말이 있고, 엄마가 아기에게 줄 수 있는 것은 그녀가 남편으로부터 받은 것이 전부라는 말도 있습니다.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자녀에게 가장 큰 선물은 서로를 존중하고 아끼는 부모의 부부관계인데, 양육자와의 신뢰 관계를 통해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를 형성하는 이 시기에 부모의 부부관계는 특히 중요합니다. 아기의 첫 자아는 아기의 부모가 서로를 바라보는 눈 속에서 태어나기 때문입니다.


어떤가요? 이 시기의 당신의 내면아이에게는 어떤 일이 있었나요? 그 때 그 아이에게 세상은 살만하고 믿을 수 있는 곳이었나요? 아니면 세상은 믿을 수 없고 안전하지 않으며 의지할 수 없는 사람으로 가득차 있는 곳이었나요?

작가의 이전글 내면아이 치유에 관한 Q&A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