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키키 리리 Feb 04. 2024

35. 절전모드를 유지하세요

토요일 오전, 병원에 대기 환자가 많았다. 진료 예약시간이 11시였지만 11시 20분이 되어서야 의사를 만날 수 있었다.


나는 자리에 앉으면서 말했다.


"오늘 환자분이 굉장히 많네요." 


"명절 전 주말이라서 많아요."


"힘드시겠어요." 


"그래서 어제는 공황이 오더라고요."


나는 짠한 마음이 들어서 그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매일 아픈 사람들의 다양한 사연을 듣고 약을 처방하는 그의 일이 고되다고 느꼈다. 




"한 달 동안 어떻게 지내셨나요?"


"요즘 기분이 상쾌하고 우울하지도 않아요. 심지어 행복하다고 느껴요."


의사는 내 말을 듣고 놀라워했다.


"왜 그렇죠?"


"지난번에 교감 선생님이 부장 제의를 하셨는데 심사숙고 끝에 거절했어요. 선생님이 써주신 소견서가 큰 힘이 되었어요. 거절한 이후로 속이 후련하고 기분도 좋아요."


나는 신이 나서 이야기했다. 평소보다 조금 들떴는데 어쩌면 약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가 큰 탓이었다.


"다만 먹고 토하는 습관은 못 고쳤어요. 이번주에는 무려 다섯 번이나 토했어요."


"체중에 대한 부담이 아직 있군요."


"맞아요. 아빌리파이정을 먹고 무려 6킬로가 넘게 쪘는데 사실 이게 약 때문인지 많이 먹어서인지 나잇살 때문인지 운동 부족인지 헷갈리긴 해요."


"파피온을 먹고 토하는 횟수가 줄었다고 하지 않았어요?"


"맞아요. 그런데 요즘엔 천천히 많이 먹고 다 토해버려요."


"스트레스받는 일이 있나요?"


나는 곰곰이 생각했다. 있긴 있지. 아예 없을 수는 없다.


"아무래도 올해는 작년보다는 학교 일이 힘들 것 같아요. 교사 1명이 감원되는 바람에 제 수업시수가 학교에서 제일 많아졌어요."


나는 눈앞에 캄캄했다. 목은 아픈 건 둘째치고 수업에 쏟을 에너지가 내게 충분할지 장담할 수 없었다. 


"수업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지 마세요."


나는 한숨을 포옥 쉬었다.


"아마 그렇게 하긴 힘들어 보이긴 합니다만."


나는 어쩔 수 없다는 투로 말했다.


"수업에 온 에너지를 다 쏟아요. 학생들은 제 수업이 재미있다고 말하거든요. 제가 지루한 걸 견디지 못해요. 그래서 어떻게든 즐겁게 수업을 하려고 애를 쓰죠. 그러면 에너지가 바닥인 상태라 집에 와서는 자식들한테 짜증을 내죠."


우울증이 심했을 때, 내 상태를 돌아보면 항상 그랬다. 모든 에너지를 학교에 다 써버려 방전이 되면 말 한마디 할 힘도 남아있질 않았다. 집에 돌아오면 육아와 집안일이 남아 있으니 짜증과 화가 날 수밖에. 


갑자기 내 새끼들이 안쓰러웠다.


"절전모드를 잘 유지하세요. 롱런하기 위해서요."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앞으로 20년 가까이 일을 더 해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지내다간 롱런은커녕 걷다가 나자빠지게 생겼다. 어떻게 해야 에너지를 잘 분산시켜 일할 수 있을까? 내겐 너무 어려운 문제다.


우리는 최근 내 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더 나눴다. 기분이 좋고 우울하지도 않고 심지어 행복하다고 느끼니 약을 줄일 수 있을까 기대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 


"마음은 많이 좋아졌는데 몸은 아직 마음의 상태를 못 따라가네요."


"토하는 것 때문에 그렇죠?"


"맞아요. 일단 지난번과 똑같이 약을 처방할게요. 그러면 한 달 뒤에 뵐까요?"


나는 조용히 진료실을 나왔다. 


체중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에너지를 잘 분산시키는 것.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


사실 안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기. 

운동하기. 

수업에 온 힘을 다 쏟지 않기. 


지행일치가 이토록 어려운 일일줄이야. 갑갑한 마음을 안은 채 대기실에 앉아 한 달 치 약이 나오길 기다렸다. 봉투는 지난 날과 똑같고 약도 똑같다. 이렇게 내 우울증은 오늘도 생명력(!)을 이어간다.






매거진의 이전글 34. 일을 못하는 척 좀 해보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