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eeeyview Mar 13. 2022

수동태로서의 대사, 수사, 서사들을 겨누는 영화

영화 <해피아워> 리뷰


1. '탓'과 '덕'으로 얼버무려졌던 말버릇들이 헐벗어진다면.


"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다"

"무엇할 수밖에 없었다"

"무엇 때문에/덕분에 이렇게 되었다"


언뜻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것인가 하고 착각했지만, 이 고요함과 혼란스러움이 교차되는 328분의 러닝타임은, 주어를 대상으로 만들었던 우리의 수동태식의 서사들을 겨누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키라, 준, 사쿠라코, 후미는 이혼했거나, 이혼에 실패했다. 혹은 이혼을 결심했거나, 그 결심마저도 되돌렸다. 이 영화를 헤어짐을 소재로 하는 단순한 '무소의 뿔'들의 당당한 홀로서기로 이해한다면, 이 작품의 의미값은 너무 축소된다.


하마구치 류스케는 '인과'를 너무 쉽게 매칭해왔던 우리의 말버릇들, 즉 '사후 발명'된 원인들의 민낯을 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탓 혹은 덕으로 설명된 다양한 원인과 동기들에는, 실은 더 다양하고 교묘한 상황과 감정과 이해관계와 사람이 연루되었다. 어쩌면 어떤 일이 일어난 원인은 '~たい(~고 싶다)'와 'できる(~할 수 있다)'의 사이 그 어디쯤으로만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특히 마지막 후미와 사쿠라코가 이혼을 결심하면서 내뱉은 그 많은 문장들의 어미가 이 두 동사의 반복이라는 것은 이를 잘 방증한다.




2. 말로만은 설명하지 못할 부분들을, 많은 말로써 설명해내는 영화였다.


후미는 아키라의 예전 말을 인용하며 이렇게 말한다.


"준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어. 너도 전에 그랬잖아. 말로 하면 다 틀린 게 될 것 같다고. 나도 이해해. 솔직해지려 할수록 되레 말을 못할 때가 있으니까."


말로 하면 할수록 수렁에 빠지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물론, 말할수록 내가 말하고자 했던 것을 명료히 찾아나간 경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꼭 말 때문이었을까. 수렁에 빠지게 하는 말과 광명 찾게 하는 말.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답은 없고, 찾고 싶지도 않다. 다만, 이 영화의 캐릭터들의 말은 그 자체로 '행위'가 된다는 점이다.


'말'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이곳 캐릭터들의 대사는 서사를 진척시키기 위한 수사로 존재하지 않았다. 그들의 말은 그 자체로 미장센처럼 다가왔다. 많은 의미를 함축한 채, 많은 것을 설명하려 들지는 않는. 각각의 인물들이 지닌 감정과 정서들을 단순화하지도 않고, 평면적으로 그 캐릭터를 구축하지도 않는다. 그들의 대사로 하여금 그들을 함부로 '이해할 수 있다/없다'로 환원해버릴 수 없었다. 그들을 이해할 수 있었고, 동시에 이해할 수 없었다. 그들을 이해하고 싶었고, 그러고 싶지 않았다. 살아 존재하는 사람들의 '부대끼는' '대화'란...




3. 압도적이었던 장면은, 노세의 낭독회 후 회식자리. 네 친구들의 시선을 따라가던 관객으로서, 노세와 코헤이는 가장 먼 타인으로서의 캐릭터였을 것이다. 그런데 가장 주요한, 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하여 핵심이 되는 대사들을 이들이 내뱉는다.


대변과 위화감, 재판과 농밀한 소통, 그리고 작가와 캐릭터 사이, 다성성.



작가의 이전글 점선과 실선 사이의 생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