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구 Dec 11. 2024

소설을 시처럼 읽었다 “작별하지 않는다”

언어의 품격을 느끼다

    

책을 들고 활자에 몰입하는 순간 눈밭을 거니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 평탄한 길에 쌓인 눈인지 험한 돌짝을 덮은 것인지 아직 가늠하지 못한 작가의 의도를 벗기려 애써 읽어 내렸다. 장문의 소설이 어떻게 시의 운율과 리듬으로 쓰일 수 있을까 경이로워하면서 그 윤곽이 빨리 드러나지 않아 조바심 났다. 역사를 문학에 꼭꼭 감추었다가 마음 깊은 슬픔을 경험해야만 진실에 다가설 수 있게 만드는 작가의 역량에 감탄한다. 결국 한 두 장으로 요약해서 표기할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을 가슴 판에 새겨 넣고 잊지 말아야 한다는 깨달음에 이르게 한다.     

속 시원히 꺼내 이야기할 수 없었던 상실과 좌절 억울함을 가슴에 안고

살아내야만 했던 어머니의 마음은 오죽했을까?     


“얼마나 아팠을까? 손가락 두 개가 잘린 게 이만큼 아픈데 그렇게 죽은 사람들 말이야. 목숨이 끊어질 정도로 몸 어딘가가 뚫리고 잘려나간 사람들 말이야.”  
    

딸은 현재 자신이 당한 불의의 사고를 통해서 과거의 상처가 얼마나 형언할 수 없을 만큼의 고통이었을지 비로소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절단 한 손가락을 봉합한 부위를 3분에 한 번씩 바늘로 찔러 3주간 피를 내야 하는 고통을 참아내야만 신경이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참아내는 것은 마치, 평생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작별하지 않으려 했던 어머니의 몸부림처럼 각인된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 뜬금없이 사상범으로 몰리고, 이유 없이 도망 다녀야 했던 야만의 시간과 공간에서 목숨을 부지해야만 했다. 옴짝달싹할 수 없는 제주라는 공간에서 육지의 끝 바닷가 해변에서 한라산의 골짝과 동굴에서 무고한 생명이 처형당했다. 그들은 바로 엄마의 남편이었고, 어린아이들이었으며 젊은 삼촌이었던 것이다. 어디론가 끌려가고, 살육당하고 묻혔으니 어찌 잠시라도 이들을 잊고 살 수가 있었을까? 

    

압도하는 폭력, 재갈 물린 세월을 참아내고 속앓이를 견뎌내며 엄마는 아직 이별하지 않은 죽은 자들과 실종자들을 찾아 섬과 육지를 오가며 진실을 밝혀낼 수 있는 세월까지를 인고 해냈던 것이다. 

잊지 않으려는, 아니 잊을 수 없고 매 순간 또렷이 기억하며 살아내야 했던 어머니는 자신이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도 먼저 간 이들과 작별하지 않았다.     


“무엇을 생각하면 견딜 수 있나
 가슴에 활활 일어나는 불이 없다면
          기어이 돌아가 껴안을 네가 없다면. “      

이제는 드러내어 말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지만, 잊으려 하는 순간 야만이라는 폭력의 그림자는 또다시 그 야욕을 드러내곤 한다.    


“반국가세력, 체제전복, 계엄사의 통제, 처단한다. ”


위협과 강압 폭력과 폭압이 아무런 부끄러움도 없이 역사를 4-5십 년 전쯤으로 후퇴시키고 있는 작금의 현실과 마주한다.

단어가 주는 의미와 느낌이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시민에겐 어떠한 살기와 공포로 다가오는 퇴행인지도 모른 채

취한 언어로 내뱉어진 어휘가 현재를 뒤덮고 있다.

    

“영원처럼 느린 속력으로 눈송이들이 허공에서 떨어질 때

중요한 일과 중요하지 않은 일이 갑자기 뚜렷하게 구별된다.

어떤 사실들은 무섭도록 분명해진다."

     

언어의 품격으로 세상에 우뚝 서

수줍지만 겸허한 모습과 세련된 문장으로

사랑을 일깨우는 이가 있어서 안도하고 축하한다.


한강의 노벨상 수상에는 기품과 감동이 번졌다.

     

빛과 어둠이 공존함을 잊어서는 안 되고 

우리는 역사와 작별해서도 안 된다. 


노벨상을 수상하는 한강 작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