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권수 Apr 16. 2024

생각의 독배, 과잉일반화 벗어나기

자신의 불행도 일반화 하면서 통제하려고 한다.

나는 오늘도 잠시 ‘과잉일반화’의 독배를 들었다 놨다. “뻔하지 뭐! 그야 항상 그랬으니까”라고 생각하면서 감정 섞인 생각을 강하게 옹호했다. 통제하기 힘든 상황이나 타인을 과잉일반화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것이다. 하지만 이해득실을 따지면 가능성과 희망을 잘라버린 나의 독배이고 손해다. 

 

한두 가지 정보만으로 모든 것을 일반화해 버리는 과잉일반화는 모든 사람이 흔하게 하는 인지 오류 중에 하나다. 사람의 뇌가 에너지를 덜 쓰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본능적으로 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제감을 획득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기도 하다. 


자신의 입장과 생각을 강화하기 위해서 과잉일반화를 쓰기도 하지만 

어렵고, 힘들고, 불안할 때 

과잉일반화가 잘 일어난다. 

이때 더 위험하기도 하다. 


부정적 사고와 감정의 기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빠르게 장악하는 과잉일반화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불행을 일반화하기 때문이다.  

현실이 불행한 것이 아니라 

불행을 일반화하는 생각이 힘든 것이다.

 자신도 모르게 일어나는 과잉일반화된 생각이 자신을 불행하게 만든다. 

 

사람들은 힘들 때 과잉일반화가 강화된다. 힘든 상황을 부풀리면서 스스로 통제하고 있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원래 그래', '다 그래'라고 일반화하면서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고 믿는다. 사실은 회피하고 있는 중인데 말이다. 통제본능이 강하고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강할수록 과잉일반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자기보존에 대한 두려움과 상처의 경험들이 복잡한 현실을 과잉일반화하면서 설명력과 이해력을 높이려는 것이다. 과잉일반화는 감정에 압도된 생각이다. 하지만 과잉일반화된 생각이 엄습할 때는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많다. 

 

과잉일반화는 상황과 대상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심리적, 인지적 유연성을 떨어뜨린다. 낙관성과 희망이 싹트는 것을 차단해버려서 불행을 곤고히 해버리는 해로운 습관이 될 가능이 높다


비관적인 사람의 특징은 현재 일어난 일시적인 사건을 전체로, 영구적으로 확대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현재의 힘든 상황과 사건, 타인의 평가가 현재에 국한되지 않고 영원히 모든 일에 똑같이 일어날 것이라는 무의식적 믿음을 극복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결코 현실을 그렇지 않다. 시간이 좀 걸릴지 몰라도 현실은 매 순간 변한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과잉일반화는 확증편향과 함께 호흡한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믿음과 일치하는 사건과 정보만 편향적으로 취하면서 일반화한다. 그러니 확실하게 느껴질 뿐이다. 현실의 입장에서 모두 오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이고 믿음일 뿐이다. 

 

과잉일반화는 약한 자의 독백이고 아우성일 뿐이다. 결코 현실이 아니다. 현실에 대한 수용력과 유연성, 적절한 대응을 선택할 힘들게 만든다. 회복력이 강하고, 활력이 넘치고, 의지가 강한 사람은 힘든 상황에서 과잉일반화의 위협을 벗어난 사람들이다. 그래서 유연하고, 낙관적이고 희망의 관점을 가지고 전전할 수 있었던 사람들이다. 

 

오늘, 매일 과잉일반화된 불행의 목소리를 알아차리고 툴툴 틀어버릴 수 있을 때 생명력이 살아난다. 과잉일반화에 닫혔던 낙관성과 희망의 문을 열어봐야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