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선거 전략과
기업 마케팅 전략의 차이

21대 국회의원 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결과는 미래통합당의 참패였다. 미래통합당의 선거 전략엔 뭐가 문제였을까? 


필자가 봤을 때 가장 큰 요인은 중도층 끌어 앉기 실패다. 민초의 다양한 생각을 읽어야 하는 선거전략의 기본을 무시하고 힘 있는 지지자(Heavy User)에 의존하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처럼 접근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총선 승패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수도권은 여야가 모두 박빙의 접전을 펼치고 있었다. 당연히 지역구별 당락의 결정적 변수는 중도층이 어디로 쏠리는가 이다. 


야당은 기존 지지자들의 눈치를 보느라 중도층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데 실패했다. 대표적으로 차명진 후보의 세월호 관련 발언이 큰 물의를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제명 대신 자진 탈당을 의결했다. 태극기 부대의 눈치가 보였기 때문이다. 

슬로건은 "힘내라 대한민국, 바꿔야 산다"로 정권 심판론을 계속 주장했다. 그런데 대안 제시가 없었다. 기존 지지자들은 대안 제시 없어도 동의하겠지만 중도층은 다르다. 그들은 누구 이야기가 더 설득적인지 따지는 사람들이다. 


보다 신중하게 접근하는 중도성향 유권자들이 막말 후보에 면죄부를 주고 대안도 없는 발목 잡기 정당을 지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점이 바로 미래통합당이 참패로 가는 분기점이었고 선거전략과 기업 마케팅 전략의 차이를 간과한 오류였다.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서는 2 대 8 법칙이란 것이 있다. 구매액 상위 20%의 고객이 전체 매출액의 80%을 차지한다는 내용이다. 자사 제품을 많이 구매하는 충성 고객에만 집중을 해서 그들의 구매 횟수나 1회당 구매량을 늘리면 굳이 구매자 외연을 확대하지 않아도 충분한 매출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기업에서 투표를 한다면 고객의 구매력에 따라 투표권을 차등으로 배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충성고객에겐 일인당 10표, 비 충성 고객에겐 일인당 0.5 표의 투표권 할당처럼. 주주 총회에선 의결권이 참석한 주주 숫자에 있지 않고 주식 지분율에 달린 것처럼.  


그러나 선거에서는 누구나 한 표다. 나이, 학력, 소득 수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한 표다. 지지층을 더욱 강하게 결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박빙 지역에서 중도층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선거전략의 핵심이다. 그러나 야당은 이점을 간과했다. 열세지역에서 뒤집기는 없었고 경합지역에선 대부분 패배로 끝났다. 


그래서 정치가 어렵다. 계층별 요구는 다양하고 방치하면 제로섬 게임처럼 서로 많이 차지하려고 극한 대립이 일어나고, 균형을 잡으려다 보면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타협이 되기 쉽고…


현대는 과거처럼 힘으로 찍어 누르는 시대가 아니다. 선거전략처럼 누구나 한 표를 가지고 서로 자기 목소리를 내는 시대이다. 그렇다고 현실적으로 그들의 모든 요구를 다 들어줄 수도 없다. 이런 시대에서 대립과 갈등을 줄이고 모두가 만족스러운 해법을 만들기 위해선? 정치가를 비롯해 대한민국 사람들 모두가 협상력을 키워야 한다. 협상이란 “서로 목적이 다르지만 모두에게 이로운 결과를 얻고자 하는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합의점을 찾아가는 과정(로망 꼴망베르)”이기 때문에. 


#선거 #마케팅 #전략 #협상 #국회의원 #총선 #미래통합당 #더불어민주당 #선거전략

작가의 이전글 코로나 19 사태의 교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