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해 Dec 17. 2017

강철비

#브런치 무비패스


강철비가 다른 남북 첩보 액션 영화와 다른 점은 무엇보다도 시선과 태도를 명확하게 드러낸다는 점이다. 그것이 보는 이들에겐 투박하고 조금은 노골적으로 보인다 할지라도 꽤나 뭉클한 뚝심임에는 분명하다. 또한 한쪽으로 편향된 관점으로 영화가 치우쳤다기보다는 모두가 바라는 지향점을 향해 나아간다고 할 수 있다. 양우석 감독의 이전작 <변호인>에서 헌법 제1조 2항을 이용한 송강호의 대사나 이번 작품 <강철비>에서 "분단국가 국민들은 분단 자체보다는 분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이들에 의해 더 고통받는다"라는 대사와 같이 누가 봐도 알 수 있게, 하지만 편향된 관점이 아니라 모두가 바라는 지향점, 모두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묵직한 감정으로 영화를 밀고 나가고 있다.


우리가 실제로 느끼고 공감할 만한 이야기와, 가장 가까이 존재하지만 건드리기 민감한 주제를 상업 영화의 거대한 틀 안에서 다루고 있다. 메시지는 묵직하지만 과하지 않게, 블록버스터 영화의 면모로서도 액션, 유머, 불어난 스케일 모두 블록버스터 장르에 뒤처지지 않게끔 현대적인 감각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배우들의 공이 정말 컸던 것 같다. 정우성은 최근 필모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연기를 해주었고, 곽도원은 서민적인 정겨움과 공적인 능숙함 침착함을 역시 유연하게 표현해주었다.

아쉬운 점은 남북의 분단 상황 주변 국가들을 충실히 묘사한 것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장르적인 전개를 위해 너무 일차원적이거나 기능적인 역할로 묘사되고 소모될 수 있을 법했고, 실제로 고개를 갸거리는 장면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북쪽 철우와 남쪽 철우, 영화를 이끌어가는 두 인물이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다는 게 이 영화의 가장 큰 설정이다. 가족과 떨어져 남한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북쪽 철우, 아내와 이혼해 떨어져 살고 있는 남쪽 철우, 이름도 같고 나이도 비슷하며 이는 곧 본래 하나였다가 나누어진 국가, 시간이 지나도 비슷한 점이 많은 남북으로 귀결된다. 극 중 시종일관 두 명의 철우는 투닥거리지만 촌스럽지 않게 꽤 멋진 앙상블을 만들어낸다.


북쪽 철우와 남쪽 철우가 같이 파주에서 잔치국수를 먹는 장면은 굉장히 묘한 기분을 주었다. 남한에는 계엄령이 떨어지고 북한에는 쿠데타가 발생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둘은 오랜만에 밥다운 밥을 먹고 있고 남한 철우가 북한 철우의 수갑을 풀어줌으로써 둘은 서로 간의 신뢰를 확인한다. 이 상황에서 국숫집 아주머니는 북쪽에 있는 가족을 두고 어디로 도망을 가냐 라고 말하고 있다. 재밌는 상황이다. 작게나마 서로에게 마음을 연 남과 북, 그리고 분단으로 인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인물들이 한 공간에 있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가 정말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 시대에 화두를 던지는 장면이라고 생각했다.


가족과 떨어져 남한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북쪽 철우, 아내와 이혼한 남쪽 철우, 살아있는 가족을 북쪽에 둔 채로 피신하지 않는 파주 국숫집 아주머니. 영화는 이렇게 저마다의 이유로 각자 분단된 채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조망한다. 그리고 나중에는 반포동에서 같이 살자는 이야기를 나누고, 약속을 한다. 그리곤 그렇게 다시 남과 북으로 떨어진 채로, 남겨진 가족들을 챙기면서 살아간다. 영화는 이렇게 끝난다. 자칫 노골적이라고 느껴질 수 있는 메시지와 인간애 넘치는 대사들, 하지만 강철비의 결말은 제목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따뜻하다고 말하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지막 히스 레저, 아이 앰 히스 레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