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맘 Mar 14. 2022

그냥 쓰자, 그리고 가벼워지자.

멀고도 가까운, 리베카 솔닛

세상이 크다는 사실이 구원이 된다. 절망은 사람을 좁은 공간에 몰아넣고, 우울함은 말 그대로 푹 꺼진 웅덩이다. 자아를 깊이 파고들어 가는 일, 그렇게 땅 밑으로 들어가는 일도 가끔은 필요하지만, 자신에게서 빠져나오는 일, 자신만의 이야기나 문제를 가슴에 꼭 붙들고 있을 필요가 없는 탁 트인 곳으로, 더 큰 세상 속으로 나가는 반대 방향의 움직임도 마찬가지로 필요하다. 양쪽 방향 모두로 떠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며, 가끔은 밖으로 혹은 경계 너머로 나가는 일을 통해 붙잡고 있던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가는 일이 시작되기도 한다. 이것이야말로 말 그대로 풍경 안으로 들어온 광활함, 이야기로부터 당신을 끄집어내는 광활함이다.
...
나 자신의 이야기는 이제 내게 딱히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이런저런 사건들은 먼지가 되어버렸고, 그 먼지가 쌓인 곳에서 풀이 몇 포기 자랐다. 그 풀에서 피어난 꽃 무더기, 어쩌면 그 향기만이 허공에 떠다닐 뿐이지만, 거기서 생겨난 질문 혹은 생각은 여전히 의미가 있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멀고도 가까운, 리베카 솔닛



나는, 어릴 때 나는, 내가, 내 경우에는 말이야.. 어릴 적 일기장의 모든 말머리가 그랬듯, 내가 쓰는 모든 글머리는 나로 시작했다. 그런데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는 더 이상 관심의 대상이 아니라 말을 하니 그 말이 부러웠다. 나는 아직도 우물 속을 들여다보고 있는 셈이니 말이다. 일인칭에서 벗어나려면 시선을 어떻게 확장해야 하는 걸까. 좁은 방구석에서 엉덩이 털고 일어나 탁 트인 곳으로, 더 큰 세상 속으로 나가는 반대방향의 움직임을 찾아보기로 한다. 하도 죽치고 앉아있었더니 바닥이 맨질맨질하다.


요즘 들어 목구멍에 뭔가가 턱- 막힌듯한 느낌이 있다. 여기저기 온오프라인 모임을 하고 있지만 어떠한 이야기도 쉽게 내뱉지 못해서 일거란 생각을 해본다. 애초에 그래서 쓰기 시작한 것도 있지만, 내 생각과 의견을 정리해 말하는 게 여전히 어렵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에서는 뭐든 유창하게, 매끄럽게 이야기해야 할 것만 같은 강박이 있어 음- 하고 시간을 끄는 게 미안하기도 하고, 가깝지 않은 관계에서는 특히나 내 생각과 의견을 드러내는 데 두려움도 있다. 그러니 그냥 생각 없이 뱉어도 될 말을 ‘굳이-‘ 하며 자꾸만 삼키고, 그것들이 목구멍에 자꾸 쌓이나 보다. 예전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와 같은 이야기를 뱉어냈다면 이제는 그냥 쓰자.라고 나에게 말해준다. 부정이던 긍정이던, 노트에 쓰던 여기에 쓰던, 누가 읽던 말던, 뭐라 하든 말든 단 몇 자라도 써보자고. 그럼 차차 가벼워지겠지 바라보며.

작가의 이전글 [너의 찰나를 차곡차곡] 너에게 들려주고픈 ‘바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